KR200318966Y1 -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66Y1
KR200318966Y1 KR20-2003-0010328U KR20030010328U KR200318966Y1 KR 200318966 Y1 KR200318966 Y1 KR 200318966Y1 KR 20030010328 U KR20030010328 U KR 20030010328U KR 200318966 Y1 KR200318966 Y1 KR 200318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oxidant solution
ultraviolet irradiation
frame structur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코
Priority to KR20-2003-001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과일 자체 고유성은 지속하면서 산화제용액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OH 라디칼을 사용하여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과일이 이송되는 콘베이어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과일에 산화제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과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일의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 조사부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두 개로 분리되며 분리된 두 개의 자외선 조사부 사이에 별도의 산화제용액 분사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ed on surface of fruit}
본 고안은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 유효성분이 잔류하는 과일 표면에 산화제 수용액의 처리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되는 OH 라디칼과 농약 유효성분을 반응시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에 뿌린 농약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과일에 잔류되며, 이러한 과일을 섭취시 농약이 인체에 섭취되기 쉽다. 이와 같이 잔류되기 쉬운 농약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기염소제, 유기인제, 카바메이트계가 있다.
이와 같은 잔류농약의 문제로 1960 년대부터 국내에서도 농약 등록, 농약 사용 등에 관한 엄한 규제들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체계적인 연구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잔류 농약에 대한 두려움이 상당히 현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위생법 제 7 조 기준과 규격에 의거 과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농림부 또한 농약관리법 제 18 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한 과일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시장에 출하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출하기간에 발생하는 과일의 변질을 막기 위해 농약을 과다하게 사용하고, 그 결과 소비자는 농가불신으로 과일 소비가 위축되는 악순환이되풀이되어온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과일에 살포된 농약의 잔류상태는 과일의 표면에 부착, 과일 표면층에 용해, 및 과일 내에 침투 등 3가지 상태로 구분되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성분은 대부분 물에 불용성이기 때문에 물로 세척하더라도 잘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이와 같은 잔류농약의 90 % 이상이 껍질 부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처리법((주)오존스코리아), 전기분리법(열림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280038호), 수세법((주)-호동전자, 이온샘청수기) 등 일부 기술적 시도가 있으나 기존에 제시된 상기한 방법들은 현재 일반적으로 실용화되어 있지는 않다.
이 중에서 오존처리법은 그 처리효율은 우수하나 탈기되는 오존가스로 인하여 관리하기 어려우며 상기 오존가스가 과일자체에 함유된 수분에 녹아 들면 이-취미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적용처가 매우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분리법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직류전기를 사용하여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과 계면활성제를 결합시켜, 이를 전극 쪽으로 이동시켜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그 적용 난이도가 높아 상용화하기 어려우며, 상기 수세법 또한 과량의 잔류농약을 함유하는 유해성 폐수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수세에 의해서는 농약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자외선과 OH라디칼의 촉매제로 공급되는 산화제를 조합한 고도산화처리로 물을 거의 사용하지않으면서 처리효율이 탁월한 동시에 운영이 간편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의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그 개발 과정에서 실용화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장치를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잔류 농약 처리시간과 처리되는 과일의 양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치구조 즉, 자외선 조사부와 산화제용액 분사부의 조합구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와 산화제용액 분사부의 구조 및 크기는 처리대상 과일의 양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열에 민감한 과일의 특성상 자외선 광량을 일정하게 제어해서 과일 표면에 가해지는 열 발생을 차단하고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셋째, 자외선과 산화제용액이 과일의 표면에 고르게 조사 및 분사되도록 하여 과일 표면 전체에 걸쳐 잔류 농약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과일의 종류와 과일의 크기에 따라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와 산화제용액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째 과일 자체 고유성은 지속하면서 산화제용액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OH 라디칼을 사용하여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과일 표면에 가해지는 자외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수 있도록 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자외선과 산화제용액이 과일 표면에 고르게 조사 및 분사될 수 있고, 특히 산화제용액의 경우 과일 표면에 물방울로 맺혀져 자외선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과일의 종류에 따라 과일에 조사되는 자외선과 산화제용액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류 농약 제거장치의 자외선 조사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잔류 농약 제거장치의 산화제용액 분사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산화제용액 분사부 11,21 : 프레임구조물
12 : 과수관 13 : 분무노즐
14 : 공급관 15,27 : 브라켓
16,28 : 가이드봉 17,29 : 가이드홀더
18,30 : 구동모터 19,31 : 피니언기어
20 : 자외선 조사부 22 : 하우징
23 : UV램프 24 : 광필터
25 : 에어공급관 26 : 냉각기
50 : 컨베이어
본 고안은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일이 이송되는 콘베이어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과일에 산화제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과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에 있어서, 과일의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 조사부가 차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두 개의 자외선 조사부 사이에 산화제용액 분사부가 별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과일 이송 콘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UV램프와, UV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는 내측으로 과일 이송 컨베이어가 통과하는 프레임구조물과, 프레임구조물 내측에 설치되어 과일에 산화제용액을 분무시키기 위한 분무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제용액은 자외선을 조사시켜 병합처리할 경우 OH라디칼을 생성하는 산화제인 것 이외에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데 과산화수소, 오존 등의 산화수단이나 기타 촉매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이하, 과수라 칭한다)가 사용된다.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내부에 UV램프를 설치하고, 하우징 하부에 광량을 조절하고 특정파장 범위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필터를 장착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기 위한 급냉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UV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과 열은 광필터와 급냉수단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급냉수단은 공냉식 또는 수냉식 등 다양한 냉각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냉각용 에어에 의한 공냉식이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과일이 이동되는 콘베이어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향되도록 자외선 조사부와 산화제용액 분사부를 설치하여 과일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자외선과 산화제용액이 조사/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산화제용액의 고른 분사를 위해서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의 분무노즐은 산화제용액을 안개와 같은 최소 입도로 분무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특징으로 한다.
넷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 조사부가 과일에 대한 UV램프와 산화제용액 분무노즐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UV램프의 하우징 상부에 수직설치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력을 하우징의 승하강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랙 및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콘베이어의 상단에 위치한 자외선 조사부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의 하단에 위치한 자외선 조사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류 농약 제거장치의 자외선 조사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잔류 농약 제거장치의 산화제용액 분사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는 과일이 이송되는 이송 컨베이어(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과일 표면에 과수를 분사하기 위한 산화제용액 분사부(10)와, 산화제용액 분사부(10) 후단에 위치하여 산화제용액 분사부(10)를 거친 과일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20)는 두 개로 나뉘어 직렬배열되며 두 개의 자외선 조사부(20) 사이에 별도의 산화제용액 분사부(1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장치는 1기의 산화제용액 분사부(10)와 1기의 자외선 조사부(20)가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1조를 이루고, 과일 이송라인을 따라 1조 이상이 연결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10)는 설비 바닥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통로가 관통형성되어 과일 이송 컨베이어(50)가 지나가도록 된 프레임구조물(11)과, 프레임구조물(11) 내측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컨베이어(50)의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과수관(12), 각 과수관(12)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과일 쪽으로 과수를 분무시키기 위한 과수 분무노즐(13), 상기 과수관(12) 일측에 연결되어 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4) 및 상기 분사노줄의 위치를 승하강시켜 분무노즐(13)과 과일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구조물(11)은 입측과 출측에 일정 높이의 통로가 형성되어 과일이 지나가도록 되어 있고 그 나머지 측면과 상,하단은 밀폐되어 분사되는 과수가 프레임구조물(11)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10)에서 과일 표면으로 분무되는 과수의 양과 입자크기는 분무노즐(13)에 의해 조절되며, 이때 분무되는 과수의 입도는 과일의 종류나 과일 표면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무노즐(13)은 과수 분사량 약 0.001-10ml/cm2, 분사각도 약 15-90°, 과일과의 분사거리 약 10-80cm를 유지하여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분무되는 과수 입자가 과일 표면에 고르게 묻을 수 있도록 한다.
과수에 대한 위의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분무되는 과수의 입도가 작아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분무 조건이 상기한 조건보다 클 경우 과일 표면에서 촉매제인 과수가 방울 형태로 응집되어 빛과 열의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자외선 조사시 자외선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과수의 적용 농도는 분사전 수용액에서의 농도가 약 0.001-15%(w/w) 범위로 적절히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과수 농도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리 적용해야 하는 데 이는 제품에 따라 표피에 탈색 반응인자를 최소화하고 제품의 특성에 따른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과수관(12)이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5)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이 형성된 가이드봉(16)과, 상기 프레임구조물(11)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16)이 지지안내되는 가이드홀더(17), 상기 프레임구조물(11)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8)와 상기 구동모터(18)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16)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9)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8)를 제어작동시키게 되면 피니언기어(19)에 치합된 랙을 매개로 가이드봉(16)이 가이드홀더(17)를 따라 승하강되어 과일에 대한분무노즐(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컨베이어(50) 하부에 위치한 분무노즐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자외선 조사부(20)는 박스형으로 설치되고 전후면에 통로가 관통형성되어 과일 이송 컨베이어(50)가 지나가도록 된 프레임구조물(21)과, 프레임구조물(21) 내측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컨베이어(50)의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다수개의 하우징(22)과, 각 하우징(22) 내에 설치되어 과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UV램프(23), 상기 하우징(22)에 장착되어 UV램프(23)로부터 과일로 조사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광필터(24), 상기 하우징(22)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22) 내부로 냉각용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관(25)과 냉각용 에어배출관(도시되지 않음), 상기 에어공급관(25)과 에어배출관에 연결되어 냉각용 에어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기(26) 및, 상기 하우징(22)을 승하강시켜 UV램프(23)와 과일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산화제용액 분사부(10)를 거친 과일은 컨베이어(50)를 따라 자외선 조사부(20)로 이송되고 UV램프(23)로부터 발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표면 잔류 농약이 제거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UV램프(23)가 설치된 하우징(22)을 승하강시킨다는 것 이외에는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10)의 승하강수단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즉,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하우징(22)이 장착되는 브라켓(27)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이 형성된 가이드봉(28)과, 상기 프레임구조물(21)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28)이 지지안내되는 가이드홀더(29), 상기 프레임구조물(21)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28)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1)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30)의 작동에 따라 브라켓(27)이 이동되어 과일과 UV램프(2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20)는 구동모터(30) 작동으로 브라켓(27)이 승하강함에 따라 하우징(22)에 설치되어 프레임구조물(21) 쪽으로 연장된 에어공급관(25)과 에어배출관이 프레임구조물(21)과 상호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공급관(25)과 에어배출관은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구조물(21)은 입측과 출측의 컨베이어(50) 이동통로 상부에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덮개(32)가 설치되어 UV램프(23)로부터 발사된 빛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은 산화력이 강하지만 잔류성이 없는 안전한 OH라디칼 생성을 유발할 수 있는 산화제 수용액을 과일 표면에 처리한 후 OH라디칼 생성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서 과일의 표면에 변성을 주지 않고 잔류 농약을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컨베이어(50)를 따라 이송되어온 과일은 먼저 산화제용액 분사부(10)의 프레임구조물(11) 내로 진입하게 되고, 프레임구조물(11) 내의 상,하부에 설치된분무노즐(13)로부터 과수가 안개처럼 분무되어 상기와 같이 이송되어온 과일 표면에 과수를 도포하게 된다.
일정 속도로 컨베이어(50)가 이동됨에 따라 과일은 과수가 도포된 상태로 산화제용액 분사부(10)를 빠져나오게 되고 이어서 자외선 조사부(20)의 프레임구조물 (21)내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과수가 도포된 과일은 자외선 조사부(20) 내에 설치된 UV램프(23)로부터 발사된 자외선 빛을 조사받게 되고, 이때 과일 표면에 묻어 있는 과수가 반응하여 OH라디칼을 형성하게 되며 이 라디칼에 의해서 과일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의 유효성분 입자가 분해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산화제용액 분사부(10)와 자외선 조사부(20)를 거치면서 잔류농약이 제거된 과일은 선별 포장 등 최종 출하과정을 거쳐 제품화된다.
여기서 상기 UV램프(23)로부터 발사된 빛은 하우징(22) 하부에 설치된 광필터(24)를 거쳐 과일로 조사되는 데, 상기 광필터(24)에 의해 빛의 세기가 감소되고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어 자외선이 과일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 내부로는 냉각기(26)로부터 만들어진 냉각용 에어가 에어공급관(25)과 에어배출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하우징(22) 내부 열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20)를 거치면서 과일 표면에 도포된 과수가 다 소진되면 그 결과 OH라디칼이 소진되어 더 이상 잔류 농약의 유효성분을 분해시키지 못하게 되는 데, 이 경우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산화제용액 분사부(10)와 자외선 조사부(20)를 추가로 연속배치하거나 자외선 조사부(20) 사이에 산화제용액 분사부(10)를 추가함으로서 과수 분사와 자외선 조사를 단시간 내에 최대한 반복함으로서 잔류 농약의 완전 제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과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위치와 과수의 분사위치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으며, 작업자는 각 구성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8,30)를 제어작동함으로서 과일에 대한 UV램프(23)와 분무노즐(1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외선 조사부(20)의 구동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구동모터(30)가 작동되면서 피니언기어(31)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기어(31)에 랙으로 맞물려 있는 가이드봉(28)이 가이드홀더(29)에 지지된 체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봉(28)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7)이 승강되면서 브라켓(27)에 설치된 하우징(22)이 과일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22) 내의 UV램프(23)와 과일과의 간격을 벌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22)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관(25)과 에어배출관은 주름관형태로 되어 자체적으로 신축됨으로서 길이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과정은 자외선 조사부(20)의 하단에 설치된 UV램프(23) 및 산화제용액 분사부(10)의 상하단에 설치된 분사노즐(1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이 과일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거리 및 과수 분사거리를 최적화하여 과일 표피의 탄화현상을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에 의하면, 과일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파장과 광량을 제어하여 과일 표면에 가해지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과일 표피의 탄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수를 과일 표면 전체에 미립화시켜 도포시킬 수 있게 되어 자외선에 의한 OH라디칼 생성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과일의 종류에 따라 과일에 조사되는 자외선과 산화제용액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농약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과일이 이송되는 콘베이어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과일에 산화제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과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일의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자외선 조사부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두 개로 분리되며 분리된 두 개의 자외선 조사부 사이에 별도의 산화제용액 분사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각각 1기가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1조를 이루고, 상기 과일의 이송라인을 따라 적어도 1조 이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용액 분사부는 전후면에 통로가 관통형성되어 과일 이송 컨베이어가 지나가도록 된 박스형태의 프레임구조물과, 상기 프레임구조물 내측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콘베이어의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과수관, 각 과수관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과일 쪽으로 과수를 분무시키기 위한 과수 분무노즐, 상기 과수관 일측에 연결되어 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전후면에 통로가 관통형성되어 과일 이송 컨베이어가 지나가도록 된 박스형태의 프레임구조물과, 프레임구조물 내측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콘베이어의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다수개의 하우징과, 각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과일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UV램프,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UV램프로부터 과일로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고 특정파장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광필터 및 상기 UV램프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급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과수 분사량 약 0.001-10ml/cm2, 분사각도 약 15-90°, 과일과의 분사거리 약 10-80cm를 유지하여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분무되는 과수 입자가 과일 표면에 고르게 묻을 수 있도록 한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수관이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이 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프레임구조물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지지안내되는 가이드홀더, 상기 프레임구조물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져 과일과 분무노즐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수단이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수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로 냉각용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관과 냉각용 에어배출관, 상기 에어공급관과 에어배출관에 연결되어 냉각용 에어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브라켓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이 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프레임구조물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지지안내되는 가이드홀더, 상기 프레임구조물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져 UV램프와 과일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과 에어배출관이 자체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KR20-2003-0010328U 2003-04-04 2003-04-04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KR200318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28U KR200318966Y1 (ko) 2003-04-04 2003-04-04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28U KR200318966Y1 (ko) 2003-04-04 2003-04-04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91A Division KR100456084B1 (ko) 2002-03-05 2002-03-05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66Y1 true KR200318966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28U KR200318966Y1 (ko) 2003-04-04 2003-04-04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290A (ko) 2021-03-26 2022-10-05 최용호 블랙사파이어 포도의 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290A (ko) 2021-03-26 2022-10-05 최용호 블랙사파이어 포도의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2741B1 (en) Sterilization
WO20040110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ffecting a chemical or mechanical property of a target site
EP2505505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rilisieren von Verpackungsmitteln
JP2002186472A (ja) 洗浄機
KR102007900B1 (ko) 농산물 살균용 대기압 플라즈마 시스템
KR20060040569A (ko) 자외선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WO2010064773A1 (ko) 식품의 보존 처리 장치
JP2019017808A (ja) オゾン処理装置
KR200318966Y1 (ko)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KR101160628B1 (ko) 이온발생장치를 구비한 농산물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농산물 세정방법
KR100456084B1 (ko) 과일 외피의 잔류 농약 제거장치
CN113456855A (zh) 一种物品表面病毒的光催化消杀装置及其消杀方法
KR20140020512A (ko) 소채류 잔류농약제거, 멸균, 신선도 연장 장치 및 방법
AT501775A2 (de) Substrat-behandlungsverfahren, substrat-behandlungsvorrichtung und computer-lesbares aufzeichnungsmedium
KR100486841B1 (ko) 옥살레이트를 이용한 잔류농약 제거방법
JPH0365739B2 (ko)
GB251702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killing pathogens on the surface of a product
US8549994B2 (en) Produce decontamination apparatus
JP3552373B2 (ja) 食物洗浄装置
KR20060116302A (ko) 식품의 살균처리방법 및 장치
CN207755970U (zh) 处理玉米水解制备肌醇过程废气的装置
KR20160017411A (ko) 청과물 보관장치
CN216685992U (zh) 自动化生禽灭菌装置
KR100506808B1 (ko) 오존을 이용한 살균 및 잔류농약 연속처리장치
CN113371478B (zh) 一种用于车辆上货的多模式消毒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