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844Y1 -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844Y1
KR200318844Y1 KR20-2003-0010331U KR20030010331U KR200318844Y1 KR 200318844 Y1 KR200318844 Y1 KR 200318844Y1 KR 20030010331 U KR20030010331 U KR 20030010331U KR 200318844 Y1 KR200318844 Y1 KR 200318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gear
motor
open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택
Original Assignee
조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택 filed Critical 조병택
Priority to KR20-2003-0010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기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와; 동력전달기어의 외측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고, 동력전달기어가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고정판과;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될 때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지 못하고, 개폐마개에 소정수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때는 수축됨으로써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잡아주는 스프링과;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 모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1차단스위치 및 제2차단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모터가 정지되지 않는 경우 동력전달기어가 이탈되어 모터 및 개폐마개의 파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THE CONTROLLER FOR AN AUTOMATIC SWITCH OF VALVE}
본 고안은 개폐마개를 이동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모터의 회전력으로 자동 개폐하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름이나 가스 등 유체의 공급은 통상 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밸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밸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슬루스밸브와 같이 개폐마개를 이동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보편적인 것이다.
슬루스밸브는 개폐마개가 관로를 직각 방향으로 닫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나사 등에 의해 개폐마개를 끌어올려 관로를 열고, 개폐마개를 끌어올린 정도에 따라 관로를 흐르는 유량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개폐마개는 통상적으로 테이퍼를 갖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형상으로 되어 있어 관로를 차단할 때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밸브의 개폐는 통상 수동으로 이루어지지만 원거리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폐마개의 이동을 전기적 신호 등을 통해 제어하는 밸브의 자동개폐장치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44637호(자동개폐 제어밸브, 2001. 06. 01.출원)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43471호(일체형 공기 모터식 밸브, 2001. 05. 24.출원) 등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밸브의 자동 개폐장치는 통상 밸브의 개폐마개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나선부를 갖는 이동봉이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기어의 나선부와 체결되어 있어 회전기어가 회전되면 이동봉이 나선부의 작용으로 상, 하로 이동됨으로써 관로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밸브의 자동 개폐장치에는 개폐마개가 이동되어 관로에 접촉될 때 소정의 위치 이상 전진하지 못하여 개폐마개와 관로 사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폐마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개폐마개가 밸브의 관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이동될 때 일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개폐마개가 관로를 과도하게 압박하여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개폐마개가 파손됨으로써 밸브가 정상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또, 개폐마개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음에도 모터가 계속 회전력을 가하면 모터가 파손되거나 밸브의 스템(stem) 자체가 파손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이동봉이 나선부의 끝부분까지 전진 또는 후진되었음에도계속하여 이동봉이 전진 또는 후진하려 할 경우 이동봉 중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대응된 나선부를 손상시키면서 단단하게 끼임으로써 이동봉이 반대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밸브 자동개폐기에는 개폐마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를, 종래에는 센서나 리밋스위치를 사용하여 개폐마개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제한하는 형태로 구현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개폐마개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방식은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 및 모터의 회전축에 작용하는 토크를 직접 감지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센서나 리밋스위치의 설치 위치가 매우 중요한데 그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즉, 밸브의 개폐를 위한 개폐마개의 적정 이동거리는 밸브의 크기와 개폐마개에 형성되는 압력 조건을 고려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센서나 리밋스위치의 설치는 밸브에 따라 다른 것인데,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은 그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어서 센서나 리밋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잡는 것이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센서나 리밋스위치를 사용한 방법은 센서나 리밋스위치가 민감하여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오작동시에는 개폐마개나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개폐마개에 소정수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이동봉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면 모터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설사 모터가 정지되지 않더라도 동력전달기어가 회전기어로부터 이탈되어 모터 및 개폐마개가 파손되지 않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밸브에 설치할 때 밸브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위치조정 없이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잡아주는 스프링만을 적정한 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이동봉이 과도하게 이동되어 이동봉의 비나선부가 대응된 나선부에 끼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정상 상태
B: 이동봉의 비나선부가 끼인 상태
도 2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를 갖는 밸브 자동개폐기가 밸브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3의 회전기어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여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우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3의 회전기어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여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좌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밸브 11. 관로
12. 패킹 20. 이동봉
21. 개폐마개 30. 모터
40. 회전기어 50. 회전손잡이
51. 부싱 60. 동력전달기어
70. 동력전달기어고정판 81, 82. 스프링
91. 제1차단스위치 92. 제2차단스위치
100. 감속기어 110. 수축률조절장치
111. 조절볼트
본 고안은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회전기어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개폐마개에 소정수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함에도 모터가 정지되지 않는 경우 동력이 회전기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개폐마개 및 모터 등을 보호한다.
또한, 소정의 밸브에 설치할 때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 없이 스프링만을 적정한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밸브 자동개폐기는,
나선부를 가지며 밸브의 개폐마개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봉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이동봉의 나선부와 대응된 나선부를 갖음으로써 회전시 이동봉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밸브 자동개폐기에 구비되는 본 고안의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는,
모터와 회전기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기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와;
동력전달기어의 외측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고, 일측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중심과 연결되어 동력전달기어를 고정하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갖는다.
또, 이동봉을 이동시키는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될 때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지 않고, 개폐마개에 소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때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잡아주는 고강도의 스프링;을 갖는다.
또한,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의 일측이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 모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의 회전방향 좌, 우에 각각 설치된 제1차단스위치 및 제2차단스위치;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개폐마개(21)의 이동으로 관로(11)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10)를 동력으로 자동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마개(21)와 연결된 이동봉(20)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와, 이동봉(20)과 나선 결합되어 모터(30)에 의한 회전시 이동봉(20)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40)를 갖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밸브의 자동개폐기에 있어서, 개폐마개(21)가 소정의 거리 이상 전진 또는 후진될 때 발생하는 개폐마개(21)의 과도한 압력 및 모터(30)의 과부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마개(21)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개폐마개(21)에 작용하는 압력 및 모터(30)의 회전축에 작용하는 토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회전기어(40)의 회전을 통해 모터(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개폐마개(21)에 연결된 이동봉(20)은 회전기어(40) 또는 회전기어(40)에 연결된 회전손잡이(50)와 나선 결합되어 있으므로 개폐마개(21)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경우 이동봉(20)이 부드럽게 회전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회전기어(40)도 부드럽게 회전되지 못하므로 회전기어(40)는 개폐마개(21)의 압력 및 모터(30)의 과부하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회전기어(40)가 부드럽게 회전하지 못하여 회전기어(40)에 작용하는 토크를 이용하면 개폐마개(21)에 작용하는 압력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개폐마개(21)에 압력이 주어지지 않아 회전기어(40)가 부드럽게 회전할 때는 회전기어(40)에 작용하는 토크가 낮지만 개폐마개(21)에 압력이 작용하여 회전기어(40)가 부드럽게 회전하지 못하면 토크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개폐마개(21)로 관로(11)를 차단하기에 적정한 압력이 작용할 때의 회전기어(40)가 받는 토크보다 큰 토크를 받는 경우 모터(30)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개폐마개(21)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거나 모터(30)의 회전축에 과도한 토크가 발생되는 상태에서 모터(30)가 정지하지 않더라도 개폐마개(21) 및 모터(3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서는 모터(30)의 회전축과 회전기어(40)의 사이에 동력전달기어(60)를 설치하여 모터(3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60)를 통해 회전기어(40)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 상기 동력전달기어(60)는 회전기어(40)에 발생되는 토크가 소정의 수치 이하일 때는 동력이 회전기어(40)에 전달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지만 토크가 소정의 수치 이상일 때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또, 동력전달기어(60)가 이탈되려는 순간 모터(30)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30)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즉, 이동봉(20)이 부드럽게 이동될 때는 개폐마개(21)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동력을 계속 전달하고, 부드럽게 이동하지 못할 때는 개폐마개(21)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하여 모터(30)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내되 모터(30)가 정지되지 않을 경우 소정 위치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기어(60)가 소정의 토크 내에서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소정의 토크 이상에서는 소정의 위치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방법은 고강도 스프링(81, 82)을 사용한 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동력전달기어(60)의 외측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한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을 구비하고, 이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일측에 동력전달기어(6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여 동력전달기어(60)를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에 고정한다.
또, 상기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은 소정의 회전력에는 회전하지 않고, 소정 이상의 회전력에는 회전되도록 고강도의 스프링(81, 8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즉, 고강도 스프링(81, 82)이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을 잡아주도록 하되 개폐마개(21)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이동봉(20)이 정상 이동할 때는 스프링이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개폐마개(21)에 소정수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이동봉(20)이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할 때는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일측이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즉,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60)가 회전기어(40) 또는 모터(30)의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각도로 회전될 때 이를 감지하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좌, 우에 각각 제1차단스위치(91)와 제2차단스위치(92)를 설치한다.
또, 제1차단스위치(91) 및 제2차단스위치(92)에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회전이 감지되면 모터(30)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차단스위치(91) 및 제2차단스위치(92)는 센서를 사용한 스위치나 리밋스위치와 같은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터(30)는 공압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공압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1차단스위치(91) 및 제2차단스위치(92)가 압축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공압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고, 전기모터의 경우는 제1차단스위치(91) 및 제2차단스위치(92)가 전기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30)를 정회전시키면 모터(3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60)를 통해 회전기어(4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기어(40)는 역회전하게 된다.
도 2에서는 회전기어(40)가 역회전하면 회전기어(40)와 결합된 회전손잡이(50)도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회전손잡이(50)의 내측에 결합된 부싱(51)의 나선부와 나선 결합되어 있는 이동봉(20)은 하강하게 된다.
이동봉(20)이 하강함에 따라 개폐마개(21)는 밸브(10)의 관로(11)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개폐마개(21)는 압력을 받게되는데 전진될 수록 압력을 더욱 크게 받는다.
이로 인하여 이동봉(20)은 서서히 이동하게 되거나 이동할 수 없게 되고, 회전기어(40)가 받는 토크는 점점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봉(20)이 전진함에 따라 개폐마개(21)가 받는 압력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커지는 순간 회전기어(40)와 맞물려 있는 동력전달기어(60)는 그 회전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이탈한다.
회전기어(40)가 이탈하게 되는 것은 상기와 같이 개폐마개(21)가 과중한 압력을 받는 순간에 회전기어(40)의 회전속도는 느리고 동력전달기어(60)의 회전속도는 빠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동력전달기어(60)가 받는 힘은 스프링(81)을 수축시킬 정도의 힘이기 때문에 스프링(81)은 수축되고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기어(60)는 그 회전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기어(60)의 이탈은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회전을 가져오며, 그 회전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상일 때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타측이 제1차단스위치(91)를 누르게 된다.
제1차단스위치(91)가 눌림에 따라 모터(30)는 정지하게 된다.
만일, 모터(30)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회전하게 되면 동력전달기어(60)는 회전기어(40)로부터 완전 이탈하게 되어 동력전달기어(60)가 회전기어(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모터(30)의 회전축이 계속 회전하더라도 모터(30)는 과중한 토크를 받지 않아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기어(60)가 완전히 이탈한 경우에도 모터(30)가 정지되면 스프링(81)에 의하여 동력전달기어(60)가 원위치 됨으로써 다시 회전기어(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관로(11)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할 때는 모터(30)가 역회전함에 따라 이동봉(20)이 상승하게 되고 관로(11)의 하부와 개폐마개(2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또, 개폐마개(21)가 밸브(10)의 위쪽에 접촉되면 개폐마개(21)는 다시 압력을 받게 되며, 소정수치 이상의 압력을 받을 경우 동력전달기어(60)는 모터(30)가 정회전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이탈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60)가 이탈됨에 따라 제2차단스위치(92)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30)가 정지하게 된다.
기타 작용은 모터(30)의 정회전시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
본 고안의 제어장치가 적용된 밸브 개폐장치를 밸브(10)에 설치할 때는 개폐마개(21)와 관로(11)의 형상에 따른 압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개폐마개(21)와 관로(11)의 형상에 따라 관로(11)를 완전 개폐할 때 개폐마개(21)와 관로(11)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다르므로 관로(11)의 완전 개폐를 위한 적정압력을 찾아내고, 그 압력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회전력을 설정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스프링(90, 91)을 적절한 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의 회전력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개폐마개(21)가 관로(11)를 차단하기에 적절한 압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찾아내는 것은 관로(11)를 통해 유체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시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모터(30)의 회전축과 동력전달기어(60)의 사이에는 동력전달기어(60)의 회전속도를 줄이기 위한 다수 개의 감속기어(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모터(30)의 회전속도가 빨라도 이동봉(20)이 서서히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회전기어(40)에 동일한 토크가 작용하더라도 스프링(91, 92)이 수축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프링(91, 92)을 미리 소정의 거리로 수축시켜 놓을 수 있고, 그 수축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수축률조절장치(1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91, 92)과 접촉되는 부분이 조절볼트(111)에 의해 밀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프링(91, 92)이 수축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본 고안이 적용된 밸브 자동개폐장치를 밸브에 설치할 때 스프링(91, 92)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이 적절한 회전력에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스프링(91, 92)의 수축률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회전력에 동력전달기어고정판(7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91, 92)을 여러 차례 교체하면서 적절한 스프링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봉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경우 모터가 정지됨으로써 개폐마개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개폐마개가 과중한 압력을 받음에도 모터가 정지되지 않는 경우 동력전달기어가 회전기어로부터 이탈되어 모터 및 개폐마개의 파손이 방지되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밸브에 설치할 때 밸브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위치 조정 없이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잡아주는 스프링만을 적정한 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교체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3)

  1. 나선부를 가지며 밸브의 개폐마개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봉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이동봉의 나선부와 결합되어 있어 회전시 이동봉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로 구성된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회전기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기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외측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 우 회전이 가능하고, 일측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동력전달기어를 고정하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과;
    상기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될 때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지 않고, 개폐마개에 소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회전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때는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회전하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을 잡아주는 스프링과;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이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 모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동력전달기어고정판의 회전방향 좌, 우에 각각 설치된 제1차단스위치 및 제2차단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동력전달기어의 사이에는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속도를 줄이기 위한 다수 개의 감속기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을 미리 소정의 거리로 수축시켜 놓을 수 있고, 그 수축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수축률조절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KR20-2003-0010331U 2003-04-04 2003-04-04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KR200318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31U KR200318844Y1 (ko) 2003-04-04 2003-04-04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31U KR200318844Y1 (ko) 2003-04-04 2003-04-04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57A Division KR20030038595A (ko) 2003-04-12 2003-04-12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844Y1 true KR200318844Y1 (ko) 2003-07-04

Family

ID=4941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31U KR200318844Y1 (ko) 2003-04-04 2003-04-04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8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529B1 (ko) * 2015-07-17 2016-01-19 (주)케이.브이.에이 카운터 타입의 앱솔루트 엔코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529B1 (ko) * 2015-07-17 2016-01-19 (주)케이.브이.에이 카운터 타입의 앱솔루트 엔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273B2 (en) Variable frequency drive for a fluid-handling system
JP4171021B2 (ja) ウォータハンマーレスバルブ
US4969628A (en) Valv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428302B (zh) 具有浮动浮球阀和致动杆的家用水龙头或给水栓
US6585228B1 (en) Electric valve actuator with eddy current clutch
KR102067975B1 (ko) 밸브 시스템
KR200318844Y1 (ko)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KR101847869B1 (ko) 밸브 구동장치
KR20030038595A (ko) 밸브 자동개폐기의 제어장치
KR101742475B1 (ko) 밸브 조작기의 밸브 단속시 토크 조절을 위한 변속장치
US20140216556A1 (en) Check Valves,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Same
CN114294438B (zh) 一种具有紧急阻断功能的石油机械阀门
KR100666155B1 (ko) 밸브 조작기 제어용 오픈 토르크 리미터
KR101259451B1 (ko) 볼 밸브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82736B1 (ko) 전자밸브
KR102053032B1 (ko) 밸브 구동 장치
KR20180100219A (ko) 밸브 유형 인식 방법 및 액추에이터
JP2813111B2 (ja) 弁装置
US3255636A (en) Control mechanism
CN217328538U (zh) 一种防泄漏的高自动化液压阀
JP2003083460A (ja) 緊急遮断弁
CN220354609U (zh) 一种阀门驱动装置
KR100526871B1 (ko) 자동변속기용 밸브바디의 릴리프 밸브
KR200309143Y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장치
KR101778005B1 (ko) 공기모터 구동기 자동 안전정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