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225Y1 - 휴대용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225Y1
KR200318225Y1 KR20-2003-0009232U KR20030009232U KR200318225Y1 KR 200318225 Y1 KR200318225 Y1 KR 200318225Y1 KR 20030009232 U KR20030009232 U KR 20030009232U KR 200318225 Y1 KR200318225 Y1 KR 200318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radle
conductor
battery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형
Original Assignee
엘지파이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파이어(주) filed Critical 엘지파이어(주)
Priority to KR20-2003-0009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21S9/024Emergency lighting devices using a supplementary light source for emergency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손전등, 랜턴 등의 휴대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또는 상기 정전과 상응하는 전기적 결함발생 시 어두운 곳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 없이 전등의 불빛이 점등되는 휴대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조명기기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대에서 이탈시 램프가 켜지도록 형성된 휴대용 조명기기에 있어서,
전지가 내삽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 후면과 결합되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받침 탄성체; 관통구 안쪽면에, 전도성이 있으며 상기 전지의 전극 일방과 연결되는 제 1 전도체가 형성되는 램프 접속부; 투광판과, 빛을 발산하는 전구와, 상기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과, 상기 램프 접속부와 결합시 상기 제1 전도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로 구성되어 상기 램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램프부; 상기 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램프부를 받쳐주는 탄성체; 몸통부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램프부와 덮개 사이에 형성되고, 일부분이 덮개의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램프부와 일체로 동작하고 상기 거치대에 거치하면 후퇴하는 돌출 유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은 거치대에 끼움돌기 또는 가동접점단자와 고정접점단자 등 특별한 장치나 수단이 필요없으므로 장착시 그 위치에 정확히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거치대 파손 등을 제외한 별다른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탈 시 자동으로 조명기기가 점등되므로 탈골절 환자를 포함하여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또한, 거치대 또는 조명기기에 축광부가 형성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명기기{A portable illuminator}
본 고안은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손전등, 랜턴 등의 휴대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또는 상기 정전과 상응하는 전기적 결함발생 시 어두운 곳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 없이 전등의 불빛이 점등되는 휴대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 또는 충전지가 내장되고, on/off스위치를 가지는 손전등, 랜턴 등 통상의 휴대용 조명기기는 사용자가 서랍이나 공구함, 창고 등지에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찾아서 사용하였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정전 등에 의하여 갑자기 전원이 차단되어 주위가 어두워질 경우 상기 보관된 전등의 위치를 신속히 찾기 어려워 즉각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중 이용업소와 숙박시설 등에서는 정전 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더욱 더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왔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 벽면의 거치대에 조명등을 비치 보관시켜 화재나 재해로 인하여 정전 발생 시 상기 거치대에 있는 조명등을 빼서 활용가능하며 건물 벽면에 형성된 거치대에 손전등을 이탈시켰을 때 램프가 온(ON)되는 특허 및 실용신안이 많이 출원되었다.
그 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94966(명칭: 휴대용 비상등 및 거치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43545(명칭: 비상용 전등과 그 걸이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85071(명칭: 거치형 비상손전등),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123847(명칭: 비상손전등)(도1에 도시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291110(명칭: 화재비상용 조명장치)(도 2 및 도 3에 도시됨) 등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손전등(10)은 절연체의 끼움돌기(11)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판(12)과, 후방에 끼움돌기(11)가 삽입 관통될 통공(17)이 형성되고 전면이 투명체로 형성되어 빛이 투과하도록 된 케이스(16)와, 케이스(16)내측에 설치되는 전지(18) 및 램프(13)와, 전지(18)와 램프(13)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공(17)을 통하여 삽입되는 끼움돌기(11)가 삽탈됨에 따라 접촉, 단락되어 램프(13)를 온/오프시키는 상하부 탄성전극부(14)(15)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비상용 조명장치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부에 움푹 패인 형태의 거치공간부(22)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며, 그 거치공간부(22) 바닥부에 돌출 형성된 단락돌기(23)를 갖는 거치대(20); 내장되는 배터리(BT)를 전원으로 하여 램프(L)에 전원을 인가하는 상시 온(ON)되는 연결회로를 갖되, 상기 거치대(20)에 거치될 경우 단락 돌기(23)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도록 가동 접점 단자(26)와 고정 접점 단자(28)가 구비된 비상용 조명등(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27은 가동접점단자(26)와 단락돌기(23)와의 간섭간격을 좁히며 비상용 조명등(21)이 거치대(20)에 이탈될 경우 단락돌기(23)가 인입되는 구멍을 막아 내습구조를 이루게 하는 실리콘 패드이며, 25은 상기 거치대(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24)와의 암수결합관계인 걸림요홈이다. 또한 L은 램프이이다.
그런데 첫번째의 경우인 비상용 손전등(10)은 비상사태나 정전이 발생하지 않아서 오랜 기간동안 거치되어 있으면 양 전지(1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양 탄성전극부(14)(15)가 변형되어 본래의 탄성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손전등(10)을 거치대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램프(13)가 켜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대와 손전등의 잦은 결합 및 분리로 인해 상기 끼움돌기가 파손되어 거치대를 새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두번째의 경우인 화재비상용 조명장치(20)는 장기간 사용을 안하게 되면 가동접점단자(26)와 고정접점단자(28)가 변형되어 스위칭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거치대에서 이탈 시켰을 때 항상 켜 있으므로 전력낭비를 가져왔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장치를 안착시켰을 때 거치대의 단락 돌기(23)와 맞닿도록 정확한 위치에 손전등을 놓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거치대에 특별한 장치나 수단, 즉 끼움돌기나 가동접점단자 및 고정접점단자를 구비시키지 않고서도 거치대에서 조명기기를 이탈시켰을 때 별도의 on/off 스위치 없이 램프의 불빛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손전등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기술에 따른 화재비상용 조명장치 분리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과 거치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접속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구가 삽입된 램프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손전등을 거치대에 거치시킨 전과 후의 손전등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벽면에 형성된 거치대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거치대 110 : 안착홈 120 : 걸이홈
200 : 손전등 210 : 몸통부 211, 211' : 제 3전도체
212 : 전지 213 : 누름 스위치 214 : 걸고리
220 : 뚜껑 221 : 전지 받침 스프링 230 : 램프 접속부
231 : 1단 관통구 232 : 2단 관통구 233 : 3단 관통구
234 : 제 1전도체 240 : 램프부 241 : 전구
242 : 투광판 243 : 반사경 244 : 제 2전도체
250 : 스프링 260 : 돌출 유동부 270 : 덮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명기기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대에서 이탈시 램프가 켜지도록 형성된 휴대용 조명기기에 있어서,
전지가 내삽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 후면과 결합되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받침 탄성체;
관통구 안쪽면에, 전도성이 있으며 상기 전지의 전극 일방과 연결되는 제 1 전도체가 형성되는 램프 접속부;
투광판과, 빛을 발산하는 전구와, 상기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과, 상기 램프접속부와 결합시 상기 제1 전도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램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램프부;
상기 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램프부를 받쳐주는 탄성체;
몸통부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램프부와 덮개 사이에 형성되고, 일부분이 덮개의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램프부와 일체로 동작하고 상기 거치대에 거치하면 후퇴하는 돌출 유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는 전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도록 한 누름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통부의 외주면에는 지압돌기 등 파지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 접속부는 다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같이 한 목적은 상기 램프부와 결합시 램프부의 각 부위가 각각 구분되게 끼워질수 있도록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전도체는 환형고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과 거치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벽면에 형성된 거치대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손전등(200)과, 이를 안착시킬수 있는 거치대(100)로 나뉘어진다.
상기 거치대(100)는 손전등(200)을 안착시킬수 있는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0)의 길이는 손전등(200)의 전체 길이에서 돌출 유동부(2 60)를 뺀 나머지 길이, 즉 손전등의 뚜껑(220)에서 덮개(230)까지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에는 벽(281)과의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피스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거치대(10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거치대에 걸이홈(120)을 형성시켜 벽에 고정된 못 등에 걸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는 후자의 경우를 적용한 것이다.
상기 손전등(200)의 외양을 살펴보면, 전지가 내삽된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후면으로 결합되는 전지를 받쳐주는 스프링이 구비된 뚜껑(220)과, 상기 몸통부(210)의 전면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전원 스위치(온/오프) 수단이 구비된 덮개(230)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 부호 280은 끈으로 연결하여 걸 수 있는 걸고리이다.
상기 전원 스위치 수단은 상기 덮개(230)에서 약간 돌출된 돌출 유동부(2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손전등(200)을 거치대(100)에 안착시키면 손전등의 돌출 유동부(260)가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이로 인해 손전등(200) 내부에서전기 전달이 차단되어 램프가 오프(OFF)되는 원리이다.
본 고안은 상기 돌출 유동부(260)에 의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수단을 도 6 내지 도 8에 의해 보다 구체화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램프접속부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8은 전구가 삽입된 램프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200)은 뚜껑(220), 몸통부(210), 램프 접속부(230), 전구(241), 램프부(240), 돌출 유동부(260), 덮개(27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몸통부(210)의 후면은 상기 뚜껑(220)과 체결되며, 몸통부(210)의 전면은 덮개(270)와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220)의 내부에는 상기 전지(212)의 (-)전극과 접촉되면서 전지(212)를 받쳐주는 스프링(221)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몸통부(210)의 외주면에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별도의 누름 스위치(213)가 형성되며 몸통부(210) 내부에는 전지의 (-)전극과 연결된 제 3 전도체(211)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접속부(230)는 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3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램프 접속부의 관통구는 그 크기도 각각 다르다. 즉, 상기 도면에서는 램프 접속부의 제 1단 관통구(231), 2단 관통구(232), 3단 관통구(233) 순으로 직경이 커진다.
특별히 한정되진 않지만, 제 1전도체(234)는 상기 램프 접속부(230)의 제 2단 관통구(중간 부분에 형성됨)(232)의 내주면에 환형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내지름과 외지름을 갖는 도넛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전도체(234)는 상기 전지(212)의 (-)전극과 연결된 제 3전도체(211)(211')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전도체(234)와 제 3전도체(211)는 상기 손전등 자체가 하나로 결합되었을 때 항상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전도체(2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접속부(230)의 제 2단 관통구(232)에서 절연체에 의해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은 제 1전도체(2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 6에서 미 설명된 부호 245는 돌출 유동부(260)에 의해 램프가 온/오프가 이루어질때 램프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프링(250)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한 방지턱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램프부(240)는 빛을 발산하며 내삽된 전구(241)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경(243), 그리고 투광판(242) 및 제 2전도체(244)를 포함한다. 상기 도 8에서는 돌출 유동부(260)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투광판(242)은 투명하게 형성된 판이며, 빛은 상기 투광판(242)을 통해 외부로 나간다.
상기 반사경(243)은 상기 전구의 둘레에 형성되어 전구에서 발생되는 빛 중옆으로 새어나가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투광판(242)을 통해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전도체(244)는 상기 램프부(240)가 상기 램프 접속부(230)와 결합시 상기 제 1전도체(234)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원반형태의 전도체이다.
상기 전구(241)는 램프부의 후방으로 착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구의 하단에 형성된 전극과 전지의 (+)전극 사이에 스프링(25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50)은 완충작용을 하여 상기 램프부(240)를 받쳐준다.
또한, 상기 전구(241)의 외주면은 상기 제 2전도체(2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돌출 유동부(260)는 결합시 상기 투광판(242)과 덮개(270) 사이에 형성되며 덮개(242) 외측으로 돌출되며, 램프부(240)와 일체형으로 동작된다.
본 고안에 따른 덮개(242)는 램프부 전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210)와 체결된다.
상기 제 3전도체(211)의 일단부는 전지 받침 스프링(221)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푸쉬(push)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 유동부에 의해 램프가 켜질 때 제 3전도체(211) 안으로, 제 3전도체(211')가 들어가게 되어 서로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휴대용 손전등(200)을 거치대(100)에 안착시켰을 때 손전등의 온/오프(ON/OFF)가 되는 과정을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겠다.
도 9 및 도 10은 손전등을 거치대에 거치시킨 전과 후의 손전등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손전등의 온/오프 되는 과정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전체적인 전기적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겠다.
즉, 전지(212)의 (-)단자는 제 3전도체(211)와 연결되며, 상기 제 3전도체(211)는 램프부접속부의 제 3전도체(211')와 연결되며, 상기 제 3전도체(211')는 램프접속부(230)의 제 2단 관통부(232) 내부에 형성된 제 1전도체(234)와 연결된다. 상기 제 1전도체(234)는 램프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전도체(244)와 연결되며, 상기 제 2전도체(244)는 전구(241)와 연결된다.
한편, 전지의 (+)단자는 스프링(250)에 의해 전구(241) 하단부와 연결된다.
상기에서 '연결된다'는 것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는 램프의 온/오프는 돌출 유동부에 의해 제 1전도체(234)와 제 2전도체(244)외 접촉/비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온/오프는 상기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가 온(ON)이 된 상태, 즉 전구가 켜진 상태에서 조명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면 램프는 오프(OFF)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상기 손전등(200)을 거치대(100)에 거치시키면 돌출 유동부(260)의 돌출부분이 몸통부(210) 쪽으로 유동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램프부(240)도 같은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러면 상기 램프부(240)에 있는 제 2도전체의 유동으로, 램프 접속부(230)의 제 1도전체의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가 되면서 램프는 오프(OFF)된다. 이 때 램프 접속부(230)는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에서 손전등(200)을 이탈시키면 스프링(250)에 의해 제 1전도체(234)와 제 2전도체(244)가 접촉이 되어 램프가 온(ON) 된다.
상기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거치대와 손전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축광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야간 등 어두운 곳에서 찾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축광부는 상기 거치대 또는 손전등에 야광 표지판으로 형성되거나 형광물질로 상기 거치대 또는 손전등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도포시켜 형성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몸통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에 의해 지압 효과도 함께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치대에 특별한 수단이나 장치(종래 발명의 끼움돌기 또는 가동접점단자와 고정접점단자 등)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종래와같은 효과, 즉 거치대에서 손전등 이탈 시, 자동으로 손전등이 켜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거치대에 끼움돌기 또는 가동접점단자와 고정접점단자 등 특별한 장치나 수단이 필요없으므로 장착시 그 위치에 정확히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거치대 파손 등을 제외한 별다른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탈 시 자동으로 조명기기가 점등되므로 탈골절 환자를 포함하여 누구나 사용가능하다.
또한, 거치대 또는 조명기기에 축광부가 형성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조명기기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대에서 이탈시 램프가 켜지도록 형성된 휴대용 조명기기에 있어서,
    전지가 내삽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 후면과 결합되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받침 탄성체;
    관통구 안쪽면에, 전도성이 있으며 상기 전지의 전극 일방과 연결되는 제 1 전도체가 형성되는 램프 접속부;
    투광판과, 빛을 발산하는 전구와, 상기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과, 상기 램프 접속부와 결합시 상기 제1 전도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 2 전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램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램프부;
    상기 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램프부를 받쳐주는 탄성체;
    몸통부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램프부와 덮개 사이에 형성되고, 일부분이 덮개의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램프부와 일체로 동작하고 상기 거치대에 거치하면 후퇴하는 돌출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기기.
KR20-2003-0009232U 2003-03-27 2003-03-27 휴대용 조명기기 KR200318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32U KR200318225Y1 (ko) 2003-03-27 2003-03-27 휴대용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32U KR200318225Y1 (ko) 2003-03-27 2003-03-27 휴대용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225Y1 true KR200318225Y1 (ko) 2003-06-27

Family

ID=4940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32U KR200318225Y1 (ko) 2003-03-27 2003-03-27 휴대용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2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74A (ko) * 2019-08-02 2021-02-10 정윤교 비상 손전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74A (ko) * 2019-08-02 2021-02-10 정윤교 비상 손전등
KR102413183B1 (ko) * 2019-08-02 2022-06-23 정윤교 비상 손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934B2 (en) Power outage light socket device
US20140265905A1 (en) Switchable Light Bulb Assembly with Integral Power Source
TW201738503A (zh) 具有電池備用功能之電燈
US20090273917A1 (en) Lighting device
KR200318225Y1 (ko) 휴대용 조명기기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JP2006309966A (ja) 照明器具
JP3167851U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器
KR100512380B1 (ko) 공동주택 소화기용 식별 지지대
JP6887111B2 (ja) 照明器具
JP2012164436A (ja) 照明器具
ATE242915T1 (de) Elektrische lampe und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elektrischen lampe
JP2007141598A (ja) 非常用懐中電灯および非常用照明装置
JP2006140067A (ja) 非常用照明器具
KR20100006089U (ko) 에디슨 스쿠류형 발광등의 지지구조
JP2012248530A (ja) Led照明装置
KR200258732Y1 (ko) 분리형 전기스텐드
JP6279333B2 (ja) 照明用ユニット
KR200320809Y1 (ko) 모듈형 휴대용 비상조명등
KR200350513Y1 (ko)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형광등케이스
SU1756734A1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фонарь
KR200243680Y1 (ko) 전기 스탠드 겸용 손전등
KR200206279Y1 (ko) 간이 전등
KR200291121Y1 (ko) 마그네틱스위치를 이용한 휴대용 비상조명장치
JP2006210085A (ja) 自動点灯非常用懐中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