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79Y1 - 간이 전등 - Google Patents

간이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79Y1
KR200206279Y1 KR2020000018881U KR20000018881U KR200206279Y1 KR 200206279 Y1 KR200206279 Y1 KR 200206279Y1 KR 2020000018881 U KR2020000018881 U KR 2020000018881U KR 20000018881 U KR20000018881 U KR 20000018881U KR 200206279 Y1 KR200206279 Y1 KR 200206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ttery
socket hole
ligh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홍
우동균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통
Priority to KR2020000018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매우 작으며 특히 렌턴용 건전지의 상면에 단자들이 수용되게 안착시켜 주면 점등이 되게 구성된 것이므로 건전지와 함께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간편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판촉용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고 전구가 노출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점등시 주변의 넓은 장소를 밝혀주기 때문에 일반 가정등에서의 정전시에는 물론 야영이나 밤낚시를 할 때 또는 야간에 차량의 고장등 긴급하게 전등이 필요할 때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것으로,
렌턴용 건전지(20)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이 상면에 부설된 코일스프링형 단자(21)(21')들이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 공동(11)에 수용되게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공동과 통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전구(30)를 결합하는 소켓공(12)과, 일단부가 이 소켓공의 하부를 가로지르게 본체(10)의 내저면 일측에 착설되는 접점편(13)과, 상기 소켓공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위치하게 본체(10)의 내저면 타측에 착설되는 접점편(13')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간이 전등{simplicity lamp}
본 고안은 간이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시에는 물론 특히 야영이나 밤낚시등을 할 때 주변의 조명을 위해 간편히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갑자기 정전이 되는 경우 실내의 조명을 위해 주로 양초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야영을 하거나 밤낚시를 하는등 야외에서 밤을 보낼 때에는 렌턴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양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성냥이나 라이터를 구비하여야 됨은 물론 부주의에 의한 화재의 발생등 사용시 많은 문제점들이 따랐다.
또한, 렌턴의 경우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구입비용이 부담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특히, 렌턴은 빛을 모아서 멀리까지 보내주도록 만들어 진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텐트의 내부 전체를 밝혀주거나 낚시를 할 때 사용자의 주변등 비교적 넓은 장소를 밝혀주는 용도로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입비용의 부담이 없으며 보관 및 휴대는 물론 사용이 매우 간편용이 한 간이 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넓은 장소를 밝혀 주게되는 간이 전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제조 원가가 저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매우 작으며, 특히 렌턴용 건전지에 부설된 코일스프링형 단자에 직접 결합하면 점등이 되는 간이 전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전등을 건전지와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동 전등에서 전구를 분리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전등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공동, 12; 소켓공,
13,13'; 접점편, 14; 격리홈,
15; 절개홈, 16,16'; 걸이단턱,
20; 건전지,
21,21'; 단자,
30; 전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간이 전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부호중 (10)은 전등의 본체이며, 이 본체는 내부가 공동(11)으로 되고 하부가 개방된 장방체로 되게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상기 공동에는, 렌턴용 건전지(20)의 상면에 부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형 단자(21)(21')들이 개방된 하부를 통해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크기는 단자(21)(21')들을 수용하는 정도면 되는 것이며, 상면 일측에는 전구(30)를 결합하는 소켓공(12)이 내부의 공동(11)과 통하게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저면에는 상기 단자들의 상단부가 접지되는 접점편(13)(13')들이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는데, 접점편(13)은 그 일단부가 소켓공(12)의 하부를 가로지르게 착설되며, 접점편(13')은 그 일단부가 소켓공(12)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개부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착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켓공에 전구(30)를 결합하면, 이 전구 하단면의 접점은 접점편(13)에 접지되고 일측면에는 접점편(13)이 접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동(11)내에 단자(21)(21')들이 수용되게 본체(10)를 건전지(20)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단자(21)는 접점편(13)과 접지되고 단자(21')는 접점편(13')과 접지되므로, 상기 건전지의 전원이 이들을 통해 전구(30)로 통전되어 점등이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점등이 되면, 상기 전구는 본체(10)의 상면에 노출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주변의 비교적 넓은 장소를 밝혀주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하부 전후면 중간에는 격리홈(14)을 각각 형성하여 하부가 양측으로 격리 연장되게 하고, 또 격리된 양측의 전후면과 각 측면의 중간부분에는 절개홈(15)들을 하단으로 부터 중간부분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하여 하부 주면에 탄성을 부여한다.
이때, 상기 하부를 상부보다는 비교적 연질인 합성수지로 성형하면, 하부의탄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하부를 벌려주면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러들게 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를 건전지(20)의 상면에 안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안착시에는 하부 내주면이 단자(21)(21')들의 하단를 단단히 잡아 주게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걸이단턱(16)(16')들을 다단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코일스프링형 단자(21)(21')들의 해당 주연부를 걸어 주게함으로써, 안착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간이전등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매우 작으며 특히 렌턴용 건전지의 상면에 단자들이 수용되게 안착시켜 주면 점등이 되게 구성된 것이므로, 건전지와 함께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간편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판촉용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으며, 전구가 노출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점등시 주변의 넓은 장소를 밝혀주기 때문에 일반 가정등에서의 정전시에는 물론 야영이나 밤낚시를 할 때, 또는 야간에 차량의 고장등 긴급하게 전등이 필요할 때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장점도 있다.
그리고, 렌턴의 전구와 동일한 전구를 사용하므로, 야외에서 렌턴의 전구를 급히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체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렌턴용 건전지(20)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이 상면에 부설된 코일스프링형 단자(21)(21')들이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 공동(11)에 수용되게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공동(11)과 통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전구(30)를 결합하는 소켓공(12)과, 일단부가 상기 소켓공(12)의 하부를 가로지르게 본체(10)의 내저면 일측에 착설되는 접점편(13)과, 상기 소켓공(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위치하게 본체(10)의 내저면 타측에 착설되는 접점편(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부 전후면 중간에는 격리홈(14)을 형성하여 하부가 양측으로 격리되게 하고, 격리된 양측의 전후면과 각 측면의 중간에는 절개홈(14)을 하단으로 부터 수직으로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부 양측 내면에는 코일스프링형 단자(21)(21')들의 외주연을 걸어주는 걸이단턱(16)(16')을 각각 다단으로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전등.
KR2020000018881U 2000-07-01 2000-07-01 간이 전등 KR200206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1U KR200206279Y1 (ko) 2000-07-01 2000-07-01 간이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1U KR200206279Y1 (ko) 2000-07-01 2000-07-01 간이 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79Y1 true KR200206279Y1 (ko) 2000-12-01

Family

ID=1966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81U KR200206279Y1 (ko) 2000-07-01 2000-07-01 간이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588A (en) Light fixture with an LED light bulb hav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post
US6400104B1 (en) Fluorescent lamp assembly with nightlight
US6280053B1 (en) Multiple function electro-luminescent night light devices
US5944407A (en) Flashlight/area table lamp having a flexible neck
US7387407B2 (en) String of light with matched light bulbs and sockets
US5860729A (en) Fluorescent lantern with auxiliary light
US3059137A (en) Screw-i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KR200206279Y1 (ko) 간이 전등
JP2545425B2 (ja) 螢光灯
JP2006309966A (ja) 照明器具
KR200186940Y1 (ko) 조명시설이 부착된 텐트
KR20080001969U (ko) 촛대 일체형 전기 양초
US4850900A (en) Light fixture lampholder
US20030076677A1 (en) Lamp
US6336733B1 (en) Lamp shade for a Christmas light
US1121242A (en) Electric table-lamp.
KR200318225Y1 (ko) 휴대용 조명기기
KR200333224Y1 (ko) 엘이디 전등
KR200204772Y1 (ko) 휴대용 전등
CN209819337U (zh) 一种适用于化妆台的照明灯
US20070121322A1 (en) Lamp string
KR200243680Y1 (ko) 전기 스탠드 겸용 손전등
JP4210617B2 (ja) 電子ろうそく
KR200219497Y1 (ko) 개인용 휴대 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