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194Y1 -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194Y1
KR200318194Y1 KR20-2003-0008904U KR20030008904U KR200318194Y1 KR 200318194 Y1 KR200318194 Y1 KR 200318194Y1 KR 20030008904 U KR20030008904 U KR 20030008904U KR 200318194 Y1 KR200318194 Y1 KR 200318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sertion hole
cover
fixing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일 석 채
Original Assignee
일 석 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 석 채 filed Critical 일 석 채
Priority to KR20-2003-0008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금속재질의 고정편을 커버의 삽입공에 강제로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편의 양측 걸림턱 없이도 상기 고정편을 커버의 삽입공에 강제로 삽입할 때 상기 삽입공의 찢김현상없이 억지끼움에 의한 고정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본체의 개방부에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벽부에는 하부지지턱 및 삽입공을 갖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전.후로 기구 고정공 및 콘크리트 고정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고정편이 삽입 고정된 것으로 기구고정부를 구성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은 전방측 기구 고정공(21)을 갖는 삽입부(2)와 후방측 콘크리트 고정공(31)을 갖는 고정부(3)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작은 폭을 갖는 선단에서 양측 후방으로 폭이 점차 커지는 경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2)의 후방측으로 상기 삽입공(402)보다 다소 큰 폭을 갖는 끼움고정부(23)가 연이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3)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큰 면적 및 폭으로 형성하여 삽입부(2)와 경계가 되는 선단에 고정턱(32)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턱에 의한 커버의 삽입공 찢김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존에 그 찢김현상으로 인한 고정편 및 전장기구의 유동에 따른 설치 및 조립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contact case for wiring indoors}
본 고안은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금속재질의 고정편을 커버의 삽입공에 강제로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편의 양측 걸림턱 없이도 상기 고정편을 커버의 삽입공에 강제로 삽입할 때 상기 삽입공의 찢김현상없이 억지끼움에 의한 고정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건물 시공시 각 층별로 전기선, 전화선, 안테나선 등과 같은 전선이 건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배선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벽체 골조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다.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에 개방부(101)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방부(101)에 결합되는 커버(200)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에는 외부의 인입선이 본체(100) 내부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인입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0)의 상.하부측에는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장기구(미도시됨)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구고정부(20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구고정부(400)는 금속 재질의 너트(201B)를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200) 성형시 금형작업에 의한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서, 전장기구의 고정편(301)에 형성된 체결공(302)을 상기 너트(201B)에 일치시킨 후 볼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장기구를 옥내배선용 접속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기구고정부가 금속 재질의 너트가 합성수지 재질의 돌출부에 매립되는 식으로 금형에 의한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약할 뿐만 아니라 그 충격에 의해 상기 기구고정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벽체 콘크리트를 부수어야만 되므로 그 교체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금형에 의한 인서트 사출에 의해 기구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그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금형 및 인건비에 따른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인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6065호(2002.02.28)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를 제안한 바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다.
즉,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는 본체(100)의 개방부(101)에 커버(20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인입구(102)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측벽부에 설치홈(401)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하부지지턱(401A)이 형성되고, 그 설치홈(401)의 측벽에 삽입공(40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402)에 금속재질의 고정편(40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구고정부(400)를 구성하되, 상기 고정편(403)의 전.후방측에 기구 고정공(413) 및 콘크리트 고정공(42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구 고정공(413) 및 콘크리트 고정공(423)의 양측방에는 경사면(443A)를 갖는 걸림턱(443) 및 고정턱(453)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턱(443) 및 고정턱(453) 사이의 고정편(403) 양측방에 커버(200)의 측벽부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장착홈(433)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또한 상기 고정편(403)을 커버(200)의 삽입공(402)에 강제로 삽입할 때, 양측 걸림턱(443)에 의해 상기 삽입공(402)의 찢김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그 고정기능의 상실로 인한 고정편(403) 및 전장기구의 유동으로 설치 및 조립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편의 양측에 걸림턱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상기 고정편을 커버의 삽입공에 강제로 삽입할 때 상기 삽입공의 찢김현상없이 억지끼움에 의한 고정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개방부에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벽부에는 하부지지턱 및 삽입공을 갖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전.후로 기구 고정공 및 콘크리트 고정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고정편이 삽입 고정된 것으로 기구고정부를 구성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전방측 기구 고정공을 갖는 삽입부와 후방측 콘크리트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커버의 삽입공보다 작은 폭을 갖는 선단에서 양측 후방으로 폭이 점차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후방측으로 상기 삽입공보다 다소 큰 폭을 갖는 끼움고정부가 연이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커버의 삽입공보다 큰 면적 및 폭으로 형성하여 삽입부와 경계가 되는 선단에 고정턱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경사부 끝부분과 끼움고정부는 삽입부와 고정부의 경계선 상에 동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커버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 및 고정상태를 보인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조립 및 고정상태를 보인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종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고정편
2:삽입부
21:기구 고정공 22:경사부
23:끼움고정부
3:고정부
31:콘크리트 고정공 32:고정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고정편(1)은 전.후로 커버(200)의 삽입공(402)에 삽입되는 삽입부(2)와, 상기 삽입공(402)의 후방측 커버(200)의 외측면에 걸림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부(2)와 고정부(3)는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는 선단부에 전장기구가 고정되는 기구 고정공(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3)는 콘크리트 고정공(3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2)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작은 폭을 갖는 선단에서 양측 후방으로 폭이 점차 커지는 경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2)의 후방으로 상기 삽입공(402)보다 다소 큰 폭을 갖는 끼움고정부(23)가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커버(200)의 삽입공(402)에 대한 고정편(1)의 삽입시, 그 삽입은 용이하면서 억지끼움에 의한 강제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큰 면적 및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2)와 경계가 되는 선단에 삽입공(402)의 후방측으로 걸림으로 고정되는 고정턱(3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중앙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고정공(31)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01은 설치홈이고, 401A는 하부지지턱이다.
도 3은 본 고안 고정편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편(1)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후로 기구 고정공(21)을 갖는 삽입부(2)와, 콘크리트 고정공(31)을 갖는 고정부(3)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부(2)는 다시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작은 폭으로 된 반원형의 선단에서 후방 양측으로 그 폭이 점차 커지는 경사부(22)와, 상기 경사부(22)에서 후방측으로 연이어 끼움고정부(23)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경사부(22)는고정부(3)와 경계가 되는 삽입부(2)의 끝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며,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다소 큰 폭으로 형성되는 끼움고정부(23)는 그 경계부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고정편(1)을 커버(200)의 삽입공(402)에 삽입하면, 상기 삽입공(402)은 고정편(1)의 삽입부(2) 끝부분까지 삽입되는 것이며, 그 끝부분, 즉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다소 큰 폭을 갖는 끼움고정부(23)에서 강제로 억지끼움됨으로써 일련의 고정편(1)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커버의 삽입공에 고정편을 강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보다 큰 폭으로 고정편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고정편의 강제 삽입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걸림턱에 의한 커버의 삽입공 찢김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존에 그 찢김현상으로 인한 고정편 및 전장기구의 유동에 따른 설치 및 조립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본체의 개방부에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벽부에는 하부지지턱 및 삽입공을 갖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전.후로 기구 고정공 및 콘크리트 고정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고정편이 삽입 고정된 것으로 기구고정부를 구성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은 전방측 기구 고정공(21)을 갖는 삽입부(2)와 후방측 콘크리트 고정공(31)을 갖는 고정부(3)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작은 폭을 갖는 선단에서 양측 후방으로 폭이 점차 커지는 경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2)의 후방측으로 상기 삽입공(402)보다 다소 큰 폭을 갖는 끼움고정부(23)가 연이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3)는 커버(200)의 삽입공(402)보다 큰 면적 및 폭으로 형성하여 삽입부(2)와 경계가 되는 선단에 고정턱(32)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의 경사부(22) 끝부분과 끼움고정부(23)는 삽입부(2)와 고정부(3)의 경계선 상에 동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2003-0008904U 2003-03-25 2003-03-25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0318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904U KR200318194Y1 (ko) 2003-03-25 2003-03-25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904U KR200318194Y1 (ko) 2003-03-25 2003-03-25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194Y1 true KR200318194Y1 (ko) 2003-06-28

Family

ID=4940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904U KR200318194Y1 (ko) 2003-03-25 2003-03-25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1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839B1 (ko)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318194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641814B1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200276330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0354666Y1 (ko) 레이스웨이용 조이너
KR200261825Y1 (ko) 유연 케이스를 갖는 전선커넥터 콘센트
KR200441405Y1 (ko) 옥내 배선용 아웃렛 박스의 기구고정구조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0384537Y1 (ko) 통신단자함 지지대
KR200426014Y1 (ko) 커넥터와 도어 그로밋의 결합 장치
KR200258011Y1 (ko) 단자용 함체
KR200244112Y1 (ko) 도로 표지판
JP5058945B2 (ja) 配線ボックス及びボックスカバー
KR200477045Y1 (ko) 배전반의 부스바 고정구
KR19990041290U (ko) 퓨즈박스의 고정장치
KR200321631Y1 (ko) 지중 케이블 보호용 입상장치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200169452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0131295Y1 (ko) 가로등 설치 지지대겸용 거푸집케이스
KR200349428Y1 (ko) 단열재용 인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