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452Y1 - 전선 배관용 덕트 - Google Patents

전선 배관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452Y1
KR200169452Y1 KR2019990018255U KR19990018255U KR200169452Y1 KR 200169452 Y1 KR200169452 Y1 KR 200169452Y1 KR 2019990018255 U KR2019990018255 U KR 2019990018255U KR 19990018255 U KR19990018255 U KR 19990018255U KR 200169452 Y1 KR200169452 Y1 KR 200169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uct
wires
fastened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삼
Original Assignee
김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삼 filed Critical 김홍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건축후에 실내의 보수과정에서 형성되는 전화선 또는 전기선등을 덕트에 내장시켜 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를 간편히 구성시킬 수 있는 전선배관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벽에는 초과된 전화 및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전선을 배선하게 되면서 전선이 벽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배선하게 되어 합선의 위험과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을 발생시키게 되어 PVC 또는 알루미늄제의 상하 암수부재로 구성되고 착탈되는 도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닥트들은 넓은 것은 많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좁은 공간에설치할수 없는 단점과 함께 원자재의 낭비 및 콘센트와 일률적이 결합이 불가능하여 돌출되는 콘센트와 미관을 크게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금형에 의해 일체로 연속 사출되는 덕트를 구성하되, 이 폭이 콘센트의 길이폭과 동일하도록 하고 상기 콘센트가 노출이 적은 상태에서 상하부의 체결부에 각각 체결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닥트의 폭이 좁으면서 콘센트가 미려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선배관용 덕트{A duct for laying pipe of an electronic wi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건축후에 실내의 보수과정에서 형성되는 전화선 또는 전기선등을 덕트에 내장시켜 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를 간편히 구성시킬 수 있는 전선배관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으로 오랜 건축물에서는 건축 당시에 예견하여 설계된 전화, 전기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또는 새로운 장식을 위한 보수과정에서 전화 전기등이 용량을 초과하게 된다.
이때에 건축물 벽에는 초과된 전화 및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전선을 배선하게 되면서 전선이 벽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배선하게 되어 합선의 위험과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명 쫄대 또는 폴대라 지칭되는 PVC 또는 알루미늄제의 상하 암수부재로 구성되고 착탈되는 도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구는 저면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배선도구가 벽면 또는 바닥면에 접착 고정되고 이에 전선등이 내재된 상태에서 커버부를 체결함으로서 전선이 커버 내에 인입되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구성으로 벽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어 배관됨으로 미려하고 합선등의 위험성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배선부의 커버는 이동중인 사람들의 발에 밝히거나 하중이 무거운 물체가 이동할 때에 쉽게 파손이 되어 전선을 노출시켜 합선등의 위험성을 야기되고 또는 접착력이 약해 쉽게 이탈되면서 배선도구인 폴대가 쉬이 파손됨으로서 인입된 전선의 노출로 전선 피복의 절단으로 누전과 함께 합선이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은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제로 구성되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1995년 제 10911호가 선출원되어 종래의 폐단을 개선한 바 있다.
상기 선고안은 알루미늄제로 사출되는 샤시와 이에 뚜껑이 착탈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뚜껑을 절단하여 콘센트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콘센트는 브라킷을 몸체내에 체결하고 체결된 브라킷에 다시 콘센트를 나사 체결하도록 구성한 바 있다.
이러한 선고안은 샤시 덕트관에 브라킷이 내재됨으로서 전선의 수용될 공간을 막게 되는 문제점 즉, 덕트에는 전화선 및 전선등이 배선되어야 하는 공간이 협소하게 됨으로서 덕트의 크기에 비하여 극히 적은 전선만이 수용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선고안에서는 샤시내에 브라킷등의 설치를 제한 함으로서 내부에 전선이 내재할 량을 증가시킨바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1995년 제 10911호의 선출원과 본인의 선출원에서는 닥트관 뚜껑에 체결되는 콘센트가 닥트와 수직으로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덕트의 폭이 증폭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닥트가 넓은 것은 많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원자재의 낭비 및 콘센트와 일률적이 결합이 불가능하여 돌출되는 콘센트와 미관을 크게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금형에 의해 일체로 연속 사출되는 덕트를 구성하되, 이 폭이 콘센트의 길이폭과 동일하도록 하고 상기 콘센트가 노출이 적은 상태에서 상하부의 체결부에 각각 체결구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닥트의 폭이 좁으면서 콘센트가 미려하게 체결될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b)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 11 : 양측벽 12,12-1 : 끼움홈
13 : 고정돌기 14 : 체결공 20 : 지주벽
30 : 뚜껑 31 : 측판 41 : 나공
40 : 고정편 50 : 콘센트
본 고안은 길이로 사출되는 덕트 구성하되, 양측상부로 상하의 끼움홈과 고정돌기를 구성하되 이 폭이 콘센트의 길이와 일치되도록 함께 상기 닥트내에는 측판체결공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편을 돌출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의(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덕트(10)의 양측벽(11)에 내향된 체결부를 형성하여 뚜껑(30)을 착탈함과 함께 상향된 지주벽(20)을 돌출구성시켜 브라킷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1) 상부로 상하의 끼움홈(12)(12-1)과 고정돌기(13)를 구성시켜 나공(41)을 형성한 일자형 고정편(40)을 체결시켜 상기 나공(41)에 콘센트(5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닥트(10)내에는 측판(31)공정용 체결공(14)을 가지는 한쌍의 지주벽(20)을 돌출하여 측판(31)이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덕트(10)의 폭은 콘센트(50)길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1는 체결나사이고 52는 매입되는 전선이며 53은 콘센트 고정용브라킷이고 54는 체결편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덕트(10)의 양측벽(11)에 내향된 체결부와 지주벽(20)을 돌출 구성시켜 콘센트(50)와 또는 그 브라킷(53)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양측벽(11)의 상하 끼움홈(12)(12-1)에 고정편(40)을 끼워 마춤시켜 콘센트(5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콘센트(50)의 고정용 브라킷(53)을 이용함과 또는 탈거한 상태에서의 고정할 것인가를 택일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도 3의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40)은 콘센트의 브라킷(53)이 있고 없는 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가 상이함으로서 콘센트(50)에 브라킷(53)이 없는 상태(도3의(A)도)에서는 상기 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을 상부측의 끼움홈(12)에 삽입고정하고 이에 적층되는 콘센트(50)와 이 콘센트(50)상부로 형성된 체결공을 체결나사(51)를 체결함으로서 콘센트(50)가 뚜껑(30)에서 일정하고 적은 돌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로 뚜껑(30)을 체결하면 뚜껑(30)저면으로 형성된 체결편(54)은 덕트(10)의 고정돌기(13)에 의해 고정되어 뚜껑(30)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콘센트(50)가 덕트(10)와 폭을 같이 함으로 안정되고 모양이 양호하면서 그 돌출이 적은 특징을 가진게 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50)에 브라킷(53)이 구성되는 것일때에는 이 브라킷(53)을 이용한 체결을 이루게 된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40)을 하부측 끼움홈(12-1)에 체결시키고 이에 콘센트(50)에 고정된 브라킷(53)을 재치한 상태에서 나공(41)에 체결나사(51)를 체결함으로 콘센트(50)는 고정편(40)을 체결되고 브라킷(50)에 의한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브라킷(50)이 있고 없는 것에 관계없이 일전한 높낮이로 체결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을 매입하고 측판(31)을 체결함으로서 배관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종래의 전선매입 폴대를 견고하면서 대량생산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전선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개선함과 함께 덕트에 콘센트를 일정하고 안정된 체결과 작업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형에 의해 일체로 연속 사출되는 덕트를 구성하되, 양측벽에 체결턱과 함께 상하끼움홈을 구성시켜 콘센트의 높낮이에 따른 체결로 외부의 콘센트 높낮이가 일정하고 콘센트길이와 덕트의 폭이 동일하여 미려한 특징을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덕트(10)의 양측벽(11)에 내향된 체결부를 형성하여 뚜껑(30)을 착탈함과 함께 상향된 지주벽(20)을 돌출구성시켜 브라킷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1) 상부로 상하의 끼움홈(12)(12-1)과 고정돌기(13)를 구성시켜 나공(41)를 형성한 일자형 고정편(40)을 상기 끼움홈(12)(12-1)에 택일하여 삽입시켜 콘센트(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닥트(10)내에는 측판(31)공정용 체결공(14)을 가지는 한쌍의 지주벽(20)을 돌출하여 측판(31)이 체결되도록 함과 함께, 덕트(10)의 폭은 콘센트(50)길이와 같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배관용 덕트.
KR2019990018255U 1999-04-12 1999-08-30 전선 배관용 덕트 KR2001694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6 1999-04-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36 Division 1999-04-12 1999-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452Y1 true KR200169452Y1 (ko) 2000-02-15

Family

ID=1957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55U KR200169452Y1 (ko) 1999-04-12 1999-08-30 전선 배관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4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301B1 (ko) * 1999-12-24 2002-11-01 김영일 전원공급장치
KR20210113826A (ko) * 2020-03-09 2021-09-17 김호식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301B1 (ko) * 1999-12-24 2002-11-01 김영일 전원공급장치
KR20210113826A (ko) * 2020-03-09 2021-09-17 김호식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KR102364781B1 (ko) 2020-03-09 2022-02-17 김호식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748B1 (en) Deck post
US8979043B2 (en) Multiple-use bracket for lighting device installation
DE59905128D1 (de) Anschlussarmatur mit einem Befestigungsvorsprung
KR970015953A (ko) 수도꼭지
US20230200595A1 (en) Wall Niche Kit and Related Methods
KR200169452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PL213009B1 (pl) Ogrzewacz wody
KR20080062659A (ko) 안정장치
US9920911B1 (en) Exterior wall fixture
KR100901527B1 (ko) 대나무를 이용한 친환경 가로등 지주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US6600117B1 (en) Two-piece doorbell button mounting device
KR200441405Y1 (ko) 옥내 배선용 아웃렛 박스의 기구고정구조
KR200357692Y1 (ko) 단자함
CN219528279U (zh) 一种可走线的装配式踢脚线
KR200346208Y1 (ko) 콘센트 커버
KR0131295Y1 (ko) 가로등 설치 지지대겸용 거푸집케이스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200208521Y1 (ko) 배전반 박스의 조립구조
KR200357693Y1 (ko) 단자함
KR200300946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44112Y1 (ko) 도로 표지판
KR200487474Y1 (ko) 광폭 조명레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0608

Effective date: 2003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