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07Y1 -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07Y1
KR200317807Y1 KR20-2003-0010068U KR20030010068U KR200317807Y1 KR 200317807 Y1 KR200317807 Y1 KR 200317807Y1 KR 20030010068 U KR20030010068 U KR 20030010068U KR 200317807 Y1 KR200317807 Y1 KR 20031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illow
cover
heating elemen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KR20-2003-001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서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여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다리를 올려 놓고 인체에 진동을 가하면서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으며,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FATIGUE AND FOR REFORMING SLEEPING POSITION}
본 고안은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침시 마사지를 받으면서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로를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시 이불과 베개만을 이용하여 경직된 자세로 오래 자면 근육통이 발생되어 피로가 회복되지 않아 숙면을 취할 수 없으며, 또한 누적된 피로는 취침시 자세를 경직시킴으로써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취침시 피곤해진 다리를 베개나 의자 등에 올려놓거나 베개를 품안에 끼고 옆으로 누워서 취침하는 등의 경우도 있으나, 여름철에는 베개를 끼고 취침함에 따라 더위를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베개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아 피로를 회복할 수 없고, 또한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도 없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서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여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리를 올려 놓고 진동을 인체에 가하면서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머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개와, 상기 베개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으면서 인체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 쿠션체와, 상기 베개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제1 쿠션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쿠션체에 고정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베개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는 제2 쿠션체와, 상기 베개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상기 제2 쿠션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쿠션체에 고정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체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수단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과, 상기 스폰지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히터버튼의 스위칭 온시에 일정시간 간격(t)을 두고 교류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로 나누어서 상기 방열부재에 전원의 인가를 단속(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1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덮개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의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개 2:제1 쿠션체
3:제1 연결부재 4:제2 쿠션체
5:제2 연결부재 11:스펀지0
20:제어기 21:마이크로 프로세서
22:배터리 23:입력수단
23A:전원버튼 23B:강버튼
23C:약버튼 24:표시수단
24A:전원인가 표시램프 24B:히팅설정 표시램프
24C:액정표시소자 25:제1 구동수단
26:제2 구동수단 27:제3 구동수단
33:제1 구동모터 34:제2 구동모터
35:제3 구동모터 40:프레임
42:제1 성형체 44:제2 성형체
46:클램퍼 50:내피커버
60:용기 70:덮개
72:홈 74:볼트
80:방향제 케이스 82:덮개
82a:관통구멍 84:슬라이드판
90:외피 커버 92:조임끈
100:DC전원잭 110:발열부재
112:발열체 114:제1 부직포
116:제2 부직포 122:타이머
124:릴레이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1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덮개측에서 본 도면,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의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는 머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개(1)와, 상기 베개(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으면서 인체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 쿠션체(2)와, 상기 베개(1)로 부터 일정거리 이상 제1 쿠션체(2)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쿠션체(2)에 고정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3)와, 상기 베개(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는 제2 쿠션체(4)와, 상기 베개(1)로 부터 일정거리 이상 상기 제2 쿠션체(4)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1)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쿠션체(4)에 고정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쿠션체(2)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23)과,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4)과,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와, 상기 배터리(22)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수단(2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100)과, 상기 스폰지(11)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히터 버튼(25)의 스위칭 온시에 일정시간 간격(t)을 두고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11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15분 내지 20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 예를 들면 17분 온, 3분 오프)로 나누어서 상기 방열부재(110)에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와,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이 스위칭 온되었을 경우, 강버튼(23B)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순차적으로 강하게 진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약버튼(23C)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순차적으로 약하게 진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과, 상기 입력수단(23) 및 히터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입력하는 타이머(122)와, 상기 히터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의 인가를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로 나누어서 단속하는 릴레이(1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수단(23)은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23A)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강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강버튼(23B)과,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약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약버튼(2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수단(24)은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전원인가 표시램프(24A)와, 상기 히터 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히팅설정 표시램프(24B)와, 상기 배터리(22)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소자(2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피커버(50)는 그 선단부가 상기 제2 성형체(44)의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램퍼(46)에 의해 클램프되어 상기 프레임(40)에 위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 케이스(80)는 그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82a)의 개방크기는 방향제의 발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덮개(82) 내측에 슬라이드판(84)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상기 덮개(8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70)에는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부재(11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 버튼(23A)이 스위칭 온되고, 상기 히터 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발열체(112)와, 상기 발열체(112)의 상부를 덮는 제1 부직포(114)와, 상기 발열체(112)의 하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부직포(114)에 상기 발열체(112)의 위치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고정하는 제2 부직포(1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열체(112)는 전열선, 면상발열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는 편심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있어서, 미 설명부호 74는 덮개(70)를 용기(60)에 고정시키는 볼트이고, 92는 외피 커버(90)의 개구부를 상기 덮개(70)의 외측에서 조이는 조임끈이다.
상기 제2 쿠션체(4)는 자루형상의 외피 커버(4a)와, 상기 외피 커버(4a)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폰지(4b;합성수지 발포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3,5)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끈, 밴드. 탄성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취침시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의 베개(1)를 베고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제1 쿠션체(2)를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운 다음, 입력수단(23)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버튼(23A) 및 약버튼(24C)을 스위칭 온하면, 배터리(22)로부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 및 약버튼(23C)을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전원 및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약진동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약진동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약진동으로 일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으로서 10분, 15분, 20분- - - - 등으로 설정할 수 있음).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약하게 진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히터 버튼(120)을 스위칭 온시키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릴레이(124)에 방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는 상기 릴레이(124)에 방열제어신호를 일정시간동안(예를 들면 17분)에 출력함으로서 상기 릴레이(124)의 코일(L1)에 일정시간동안 전류가 흘러 릴레이(124)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교류전원부(AC)에서 히터 버튼(120)을 통해서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류가 흘러서 열을 방열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일정시간 경과된 후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릴레이(124)의 코일(L1)에 방열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상기 릴레이(124)의 코일(L1)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릴레이(124)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으로부터 떨어져서 교류전원부(AC)에서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가 과도하게 열을 방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은 17분,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시간은 3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 버튼(110)을 스위칭 온한 후에 60분이 경과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제어하에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24)의 전원인가 표시램프(24A; 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가 발광되면서 배터리(22) 또는 교류전원부로부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표시수단(24)의 히팅설정 표시램프(24B)가 발광되면서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류가 인가되고 표시하며, 상기 표시수단(24)의 액정표시소자(24C)에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모터가 순차적으로 구동되면서 약한 진동을 발생해서 인체에 인가하여 마사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열을 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마사지하므로, 비만을 해소할 수도 있다. 이때 방향제 케이스(80)내에 배설된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을 통해서 향기를 발산하여 휴식 분위기 또는 취침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이때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상에 올려놓은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쿠션체(2,4)에 의해 취침 자리가 규제되므로 취침 자세를 교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취침 자세가 교정되면, 베개(1)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쿠션체(2,4)의 간격을 줄여서 취침자세를 더욱 더 교정할 수 있으므로, 취침 자세가 나쁜 사람의 취침자세를 교정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의 크기를 상기 덮개(82)의 배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된 슬라이드판(84)을 도 4에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향기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모터(33)는 복부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34)는 사타구니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3 구동모터(35)는 다리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각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용이하게 마사지할 수 있다(상기 3개의 구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인체에 진동을 인가할 수도 있으며, 2개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진동이 약할 경우에는 입력수단(23)의 강버튼(23B)을 스위칭 온시키면 제어기(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의해서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더욱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등에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히터 버튼(120)을 스위치 오프하면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방열부재(110)에서 열이 방열되지 않는다.
상기 배터리(22)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에는DC잭(100)에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DC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배터리(22)를 충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기(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도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DC잭(100)에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의 플러그를 삽입하였을 경우에는 60분이 경과되면 "삑"하는 비프음을 출력하여 60분이 경과되었음을 경보한다.
또, 상기 배터리(22)를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는 배터리 수용실을 덮는 덮개(110)를 개방하여 새로운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제1 또는 제2 쿠션체(2,4)를 다리 밑에 받치거나 베개 대신으로 사용하여 취침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다리 밑에 받쳐서 사용할 경우에는 심장 또는 머리가 다리보다 하부에 위치하므로, 다리쪽의 혈액을 심장으로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에도 혈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더욱 더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이 약할 경우에는 입력수단(23)에 설치되어 있는 강버튼(24C)을 스위칭 온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이 강하게 진동한다.
또한,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이때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상에 올려놓은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의하면, 머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개와, 상기 베개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으면서 인체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 쿠션체와, 상기 베개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제1 쿠션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쿠션체에 고정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베개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는 제2 쿠션체와, 상기 베개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상기 제2 쿠션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쿠션체에 고정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체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수단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과, 상기 스폰지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히터 버튼의 스위칭 온시에 일정시간 간격(t)을 두고 교류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로 나누어서 상기 방열부재에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서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여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다리를 올려 놓고 인체에 진동을 가하면서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으며, 인체를 따뜻하게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머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개(1)와, 상기 베개(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으면서 인체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 쿠션체(2)와, 상기 베개(1)로 부터 일정거리 이상 제1 쿠션체(2)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쿠션체(2)에 고정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3)와, 상기 베개(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해서 배설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품안에 껴안을 수 있는 제2 쿠션체(4)와, 상기 베개(1)로 부터 일정거리 이상 상기 제2 쿠션체(4)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베개(1)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쿠션체(4)에 고정설치되는 제2 연결부재(5)로 구성되어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체(2)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23)과,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4)과,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와, 상기 배터리(22)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수단(2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100)과, 상기 스폰지(11)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히터 버튼(25)의 스위칭 온시에 일정시간 간격(t)을 두고 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11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로 나누어서 상기 방열부재(110)에 전원의 인가를 단속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와,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이 스위칭 온되었을 경우, 강버튼(23B)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순차적으로 강하게 진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약버튼(23C)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순차적으로 약하게 진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과, 상기 입력수단(23) 및 히터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입력하는 타이머(122)와, 상기 히터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방열부재(110)의 발열체(112)에 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의 인가를 60분 동안에 일정 주기(t)로 나누어서 단속(온-오프)하는 릴레이(1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110)는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이 스위칭 온되고, 상기 히터 버튼(120)의 스위칭 온시에 교류전원부(AC)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서 열을 방열하는 발열체(112)와, 상기 발열체(112)의 상부를 덮는 제1 부직포(114)와, 상기 발열체(112)의 하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부직포(114)에 상기 발열체(112)의 위치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고정하는 제2 부직포(1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112)는 전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112)는 면상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KR20-2003-0010068U 2003-04-02 2003-04-02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KR20031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68U KR200317807Y1 (ko) 2003-04-02 2003-04-02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68U KR200317807Y1 (ko) 2003-04-02 2003-04-02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807Y1 true KR200317807Y1 (ko) 2003-06-25

Family

ID=4933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068U KR200317807Y1 (ko) 2003-04-02 2003-04-02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849A (ko) * 2004-06-11 2005-12-15 청기의료기(주) 피로회복용 쿠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849A (ko) * 2004-06-11 2005-12-15 청기의료기(주) 피로회복용 쿠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550B2 (en) Cushion for relieving fatigue and reforming sleeping position
KR100789480B1 (ko) 진동 및 음이온 발생 베개
KR101398677B1 (ko) 침대에 고정 설치가 가능한 휴대용 에어 마사지 매트리스
KR101716262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JP2008515587A (ja) 振動および陰イオン発生枕
US6884256B2 (en) Multiple-effect health device
US4569337A (en) Massage apparatus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US20060075563A1 (en) Nursing aid
KR20150053589A (ko) 전신 마사지기
KR101521717B1 (ko) 전신 마사지기
KR20150098601A (ko) 지압전동기가 부착된 족열기
KR200317807Y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KR101006764B1 (ko) 공압을 이용한 척추 마사지기
JP2001112565A (ja) リラックスチェア
TWI253928B (en) Massage machine
KR100988861B1 (ko) 웰빙 베개
KR100397789B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JP2001178791A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KR200312534Y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JP2003169836A (ja) 姿勢矯正用身体押し当て装置
KR200338700Y1 (ko) 요부마사지장치
KR100877424B1 (ko)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JP2004073643A (ja) マッサージ機
CN210169508U (zh) 一种带充气围挡的按摩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