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789B1 -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 Google Patents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789B1
KR100397789B1 KR10-2002-0081469A KR20020081469A KR100397789B1 KR 100397789 B1 KR100397789 B1 KR 100397789B1 KR 20020081469 A KR20020081469 A KR 20020081469A KR 100397789 B1 KR100397789 B1 KR 10039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onge
fatigue
frame
sleeping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519A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청기의료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기의료기(주) filed Critical 청기의료기(주)
Priority to KR10-2002-008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789B1/ko
Priority to TW092100042A priority patent/TWI225392B/zh
Priority to EP03000247A priority patent/EP1327406A3/en
Priority to US10/338,340 priority patent/US6694550B2/en
Priority to CN03100193A priority patent/CN1430933A/zh
Publication of KR2003002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 A47G2200/205Vibra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진동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의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와, 냉ㆍ온 찜질용 팩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주머니가 내주면에 봉재되며, 상기 외피 커버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 있으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상에 다리를 올려놓고 있으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의 진동에 의해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취침자세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CUSHION STRUCTURE FOR RECOVERING FATIGUE AND FOR REFORMING SLEEPING POSITION}
본 발명은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침시 마사지를 받으면서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로를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시 이불과 베개만을 이용하여 경직된 자세로 오래 자면 근육통이 발생되어 피로가 회복되지 않아 숙면을 취할 수 없으며, 또한 누적된 피로는 취침시 자세를 경직시킴으로써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취침시 피곤해진 다리를 베개나 의자 등에 올려놓거나 베개를 품안에 끼고 옆으로 누워서 취침하는 등의 경우도 있으나, 여름철에는 베개를 끼고 취침함에 따라 더위를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베개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아 피로를 회복할 수 없고, 또한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도 없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서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여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를 올려 놓고 진동을 인체에 진동을 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유지ㆍ보수할 수 있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의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의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와, 냉ㆍ온 찜질용 팩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주머니가 내주면에 봉재되며, 상기 외피 커버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외부커버를 제거한 후,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5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좌측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프레임을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8은 도7의 화살표 B-B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있어서의 냉온 찜질시트를 분리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스펀지 20:제어기
21:마이크로프로세서 22:배터리
23:입력수단 23A:전원버튼
23B:수동버튼 23C:강버튼
23D:약버튼 24:표시수단
24A:전원인가 표시램프 24B:수동설정 표시램프
24C:액정표시소자 25:제1 구동수단
26:제2 구동수단 27:제3 구동수단
33:제1 구동모터 34:제2 구동모터
35:제3 구동모터 40:프레임
42:제1 성형체 44:제2 성형체
46:클램퍼 50:내피 커버
60:용기 70:덮개
72:홈 74:볼트
80:방향제 케이스 82:덮개
82a:관통구멍 84:슬라이드판
90:외피 커버 92:조임끈
100:DC전원잭 110:덮개
120:찜질시트 121:섬유원단층
121A:외측 방수섬유층 121B:단열 부직포층
121C:화이버 글라스층 121D:내측 방수섬유층
122:주머니 122A:개구부
123:찜질팩 124A:메일(male) 벨크로드테잎
124B:휘메일(female) 벨크로드테잎 125:탄성밴드
122B:체결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외부커버를 제거한 후,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화살표A-A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좌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프레임을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0)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도 2에서 좌측)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 및 표시수단(24)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와,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2)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23)과, 상기 입력수단(23)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표시함과 동시에 배터리(22)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4)과,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3B)을 작동시켰을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각각 구동키도록 구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과, 상기 배터리(22)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 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수단(23)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 및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23A)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동작을 수동으로 일정시간 동안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수동버튼(23B)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강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강버튼(23C)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약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약버튼(23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수단(24)은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전원인가 표시램프(24A)와,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3B)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있음을 표시하는 수동설정 표시램프(24B)와, 상기 배터리(22)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소자(24C;Liquid Crystal Diplay)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피커버(50)는 내측의 망사와 외측에 음이온이 발생되는 세라믹파우더로 코팅된 천을 봉제하여 제작한 일측이 개구된 자루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내피커버(50)는 그 선단부가 상기 제2 성형체(44)의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램퍼(46)에 의해 클램프되어 상기 프레임(40)에 위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 케이스(80)는 그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82a)의 개방크기는 방향제의 발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덮개(82) 내측에 슬라이드판(84)이 스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상기 덮개(8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에 덮개(70)에는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 커버(90)는 세척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직물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름철 사용되는 외피 커버(90)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삼베, 또는 부직포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겨울철에 사용되는 외피 커버(90)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모직 또는 화학섬유 등의 보온감이 좋은 소재를 사용해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는 편심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있어서, 미 설명부호 74는 덮개(70)를 용기(60)에 고정시키는 볼트이고, 92는 외피 커버(90)의 개구부를 상기 덮개(70)의 외측에서 조이는 조임끈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침시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운 다음,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버튼(23A) 및 약버튼(24D)을 스위칭 온하면, 표시수단(24)의 전원인가 표시램프(24A; 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가 발광되면서 배터리(22)로 부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를 받은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이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를 각각 받아 구동되면서 약한 진동을 발생해서 인체에 인가하여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마사지하므로, 비만을 해소할 수도 있고, 이때 방향제 케이스(80)내에 배설된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을 통해서 향기를 발산하여 휴식 분위기 또는 취침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상에 올려놓은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의 크기를 상기 덮개(82)의 배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된 슬라이드판(84)을 도 3에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향기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모터(33)는 복부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모터(34)는 사타구니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3 구동모터(35)는 다리를 마사지하도록 스폰지(11)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각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용이하게 마사지할 수 있다(상기 3개의 구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인체에 진동을 인가할 수도 있으며, 2개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진동이 약할 경우에는 입력수단(23)의 강버튼(23C)을 스위칭 온시키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가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강하게 진동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3)을 누르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가 수동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상기 표시수단(24)의 수동설정 표시램프(24B;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가 발광되어 표시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구동하여 피로회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배터리(22)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DC잭(100)에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DC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 및 배터리(22)에 인가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제어하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3개의 구동모터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터리(22)도 충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22)를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는 배터리 수용실을 덮는 덮개(110)를 개방하여 새로운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다리 밑에 받치거나 베개 대신으로 사용하여 취침하거 또는 휴식을 취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다리 밑에 받쳐서 사용할 경우에는 심장 또는 머리가 다리보다 하부에 위치하므로, 다리쪽의 혈액을 심장으로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에도 혈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더욱 더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8은 도7의 화살표 B-B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있어서의 냉온 찜질시트를 분리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는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0)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도 2에서 좌측)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 및 표시수단(24)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와, 냉ㆍ온 찜질용 팩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주머니가 내주면에 봉재되며, 상기 외피 커버(9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1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외피 커버(90)의 외주면에 냉ㆍ온기를 방출하도록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120)를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찜질시트(120)는 섬유원단층(121)과,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내측 방수섬유층(121D) 상에 봉재되며 개구부(122A)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주머니(122)와, 상기 주머니(122)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122A)를 통해서 착탈가능하게 배설됨과 동시에,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팩(123)과, 상기 외피커버(90)에 착탈고정되도록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길이방향 외측면에 배설되는 일정폭의 메일(male)/휘메일(female) 벨크로드테잎(124A,124B)과, 상기 외피 커버(90)를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적으로 압압하도록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배설된 탄성밴드(1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찜질시트(120)의 섬유원단층(121)은 외측(바깥측)에 배설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외측 방수섬유층(121A)과, 상기 방수섬유층(121A) 상에 배설되어 열을 차단하는 단열 부직포층(121B)과, 상기 단열 부직포층(121B) 상에 배설되어 상기 단열 부직포층(121B)의 변형을 방지하는 화이버 글라스층(121C)과, 상기 화이버 글라스층(121C)에 배설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내측 방수섬유층(121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122)의 개구부(122A)에는 상기 찜질팩(123)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122B), 예를 들면 쟈크, 슬라이드 파스너, 메일/휘메일 벨크로드 테잎, 묶는 끈이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침시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운 다음,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버튼(23A) 및 약버튼(24D)을 스위칭 온하면, 표시수단(24)의 전원인가 표시램프(24A; 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가 발광되면서 배터리(22)로 부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2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를 받은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이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를 각각 받아 구동되면서 약한 진동을 발생해서 인체에 인가하여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를 마사지하므로, 비만을 해소할 수도 있고, 이때 방향제 케이스(80)내에 배설된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을 통해서 향기를 발산하여 휴식 분위기 또는 취침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상에 올려놓은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는 외피 커버(90)의 외주면에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120)가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있으므로, 여름철의 사용시에는 찜질팩(123)을 냉동고에서 차게 냉각시키거나 얼려서 찜질팩(123)의 섬유원단층(121)내주면에 봉재된 다수개의 주머니(122)에 각각 넣은 다음, 상기 찜질시트(120)를 외피 커버(90)의 외주면에 감아서 배설하고 나서 상기 찜질시트(120)의 길이방향 외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어 있는 휘메일 벨크로드테잎(124B)과 상기 찜질시트(120)의 길이방향 내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어 있는 메일 벨크로드테잎(124A)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찜질시트(120)의 길이방향 외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어 있는 휘메일 벨크로드테잎(124B)과 상기 찜질시트(120)의 길이방향 내측에 일정폭으로 부착되어 있는 메일 벨크로드테잎(124A)을 결합시키면, 상기 찜질시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설된 다수개의 탄성밴드(125)가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강하게 압압하면서 외피 커버(9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찜질시트(120)는 섬유원단층(121)의 내측 방수섬유층(121D) 상에 다수개의 주머니(122)에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팩(123)이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있어 상기 찜질시트(120)의 찜질팩(123)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상기 찜질시트(120)의 주머니(122)에 배설된 찜질팩(123)으로 부터 인체에 냉기가 전달되어 여름철에는 시원하게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면서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인체에 인가되어 편안하고 쾌적하게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찜질시트(120)의 찜질팩(123)를 따뜻하게 가열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를 품안에 껴안고 다리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면, 상기 찜질시트(120)의 주머니(122)에 배설된 찜질팩(123)으로 부터 인체에 따뜻한 온기가 전달되어 겨울철에는 따뜻하게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하면서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인체에 인가되어 편안하고 쾌적하게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찜질시트(120)의 섬유원단층(121)은 외측(바깥측)에 배설된 외측 방수섬유층(121A)에 의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고, 상기 방수섬유층(121A) 상에 배설된 단열 부직포층(121B)에 의해 열을 차단하고, 상기 단열 부직포층(121B) 상에 배설된 화이버 글라스층(121C)에 의해 상기 단열 부직포층(121B)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화이버 글라스층(121C)에 배설된 내측 방수섬유층(121D)에 의해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찜질시트(120)의 주머니(122)내의 찜질팩(123)이 파손되어도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머니(122)의 개구부(122A)에는 상기 찜질팩(123)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 예를 들면 쟈크, 슬라이드 파스너, 메일/휘메일 벨크로드 테잎, 묶는 끈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찜질시트(120)의 주머니(122)내에 삽입된 찜질팩(12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제 케이스(8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의 크기를 상기 덮개(82)의 배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된 슬라이드판(84)을 도 3에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향기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진동이 약할 경우에는 입력수단(23)의 강버튼(23C)을 스위칭 온시키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가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강하게 진동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3)을 누르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가 수동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상기 표시수단(24)의 수동설정 표시램프(24B;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가 발광되어 표시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의 제어하에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구동하여 피로회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취침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배터리(22)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DC잭(100)에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DC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 및 배터리(22)에 인가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제어하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3개의 구동모터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터리(22)도 충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22)를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는 배터리 수용실을 덮는 덮개(110)를 개방하여 새로운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덮개(70)내측에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40)을 덮는 덮개(70)의 반대측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배치하고, 또 DC잭(100)도 상기 프레임(40)을 덮는 덮개(70)의 반대측에 배설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에 의하면,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스폰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과, 상기 스폰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성형체를 덮는 내피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의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와, 상기 내피커버 및 프레임을 덮는 외피 커버와, 냉ㆍ온 찜질용 팩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주머니가 내주면에 봉재되며, 상기 외피 커버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취침시 또는 피로회복시에 품안에 껴안음과 동시에 일부를 다리사이에 끼워서 옆으로 누워 있으면, 인체의 척추를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어 취침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상에 다리를 올려놓고 있으면,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의 진동에 의해 다리에 모여 있는 혈액을 심장 또는 머리 쪽으로의 혈액순환을 촉진 및 순환되게 하여 피로회복을 더욱 더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취침자세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유지ㆍ보수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0)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 및 표시수단(24)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와,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2)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23)과, 상기 입력수단(23)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표시함과 동시에 배터리(22)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4)과,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1B)을 작동시켰을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각각 구동키도록 구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25,26,27)과, 상기 배터리(22)를 충전시키도록 외부로 부터 DC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잭(1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23)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 및 제1 내지 제3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23A)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동작을 수동으로 일정시간 동안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는 수동버튼(23B)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강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강버튼(23C)과,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의 진동을 약하게 진동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약버튼(23D)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24)은 상기 입력수단(23)의 전원버튼(23A)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 및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모터(33,34,35)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전원인가 표시램프(24A)와, 상기 입력수단(23)의 수동버튼(23B)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고 있음을 표시하는 수동설정 표시램프(24B)와, 상기 배터리(22)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소자(24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커버(50)는 내측의 망사와 외측에 음이온이 발생되는 세라믹파우더로 코팅된 천을 봉제한 자루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커버(50)는 그 선단부가 상기 제2 성형체(44)의 개구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램퍼(46)에 의해 클램프되어 상기 프레임(40)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케이스(80)는 그 개구부를 덮는 덮개(82)에 다수개의 관통구멍(8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82a)의 개방크기는 방향제의 발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덮개(82) 내측에 슬라이드판(84)이 스라이딩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상기 덮개(8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에 덮개(70)에는 홈(7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커버(90)는 세척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직물소재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커버(90)는 여름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삼베,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커버(90)는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도록 모직 또는 화학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11. 일정 길이의 원주형상의 스펀지(11)와, 상기 스펀지(11)내에 배설되어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인체에 진동을 가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33,34,35)에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0)와, 상기 스폰지(11)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도록 양측이 개구되며 원통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프레임(40)과, 상기 스폰지(11)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40)의 제1 및 제2 성형체(42,44)를 덮는 내피커버(50)와, 상기 프레임(40)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되며 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되는 용기(60)와, 상기 용기(6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어기(20)의 입력수단(23) 및 표시수단(24)이 각각 설치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배설되어 방향제를 발산하는 방향제가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80)와, 상기 내피커버(50) 및 프레임(40)을 덮는 외피 커버(90)와, 냉ㆍ온 찜질용 팩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주머니가 내주면에 봉재되며, 상기 외피 커버(9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시트(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시트(120)는 섬유원단층(121)과,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내측 방수섬유층(121D) 상에 봉재되며 개구부(122A)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주머니(122)와, 상기 주머니(122)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122A)를 통해서 착탈가능하게 배설됨과 동시에, 냉ㆍ온기를 방출하는 찜질팩(123)과, 상기외피커버(90)에 착탈고정되도록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길이방향 외측면에 배설되는 일정폭의 메일(male)/휘메일(female) 벨크로드테잎(124A,124B)과, 상기 외피 커버(90)를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적으로 압압하도록 상기 섬유원단층(121)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배설된 탄성밴드(1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KR10-2002-0081469A 2002-01-11 2002-12-18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KR10039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69A KR100397789B1 (ko) 2002-12-18 2002-12-18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TW092100042A TWI225392B (en) 2002-01-11 2003-01-02 Cushion for relieving fatigue and reforming sleeping position
EP03000247A EP1327406A3 (en) 2002-01-11 2003-01-08 Cushion for relieving fatigue and reforming sleeping position
US10/338,340 US6694550B2 (en) 2002-01-11 2003-01-08 Cushion for relieving fatigue and reforming sleeping position
CN03100193A CN1430933A (zh) 2002-01-11 2003-01-10 缓解疲劳和改善睡眠姿势的垫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69A KR100397789B1 (ko) 2002-12-18 2002-12-18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519A KR20030029519A (ko) 2003-04-14
KR100397789B1 true KR100397789B1 (ko) 2003-09-13

Family

ID=2957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469A KR100397789B1 (ko) 2002-01-11 2002-12-18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849A (ko) * 2004-06-11 2005-12-15 청기의료기(주) 피로회복용 쿠션장치
KR102054516B1 (ko) 2019-04-10 2019-12-10 이철웅 다용도 건강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30B1 (ko) * 2010-07-05 2012-05-21 김영구 수면 유도 베개
KR102655080B1 (ko) * 2023-09-01 2024-04-05 김대건 메모리폼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849A (ko) * 2004-06-11 2005-12-15 청기의료기(주) 피로회복용 쿠션장치
KR102054516B1 (ko) 2019-04-10 2019-12-10 이철웅 다용도 건강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519A (ko) 200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550B2 (en) Cushion for relieving fatigue and reforming sleeping position
KR200274179Y1 (ko) 진동모터가 내장된 쿠션체
US9877597B2 (en)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with accessory unit
US20030149384A1 (en) Forced ventilated anatomical supports
AU2001250038A1 (en) Forced ventilated anatomical supports
KR100291011B1 (ko) 미용마사지마스크
JP4663817B1 (ja) 保温可能な湿タオル保持具
KR100397789B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용 쿠션체
KR20150145946A (ko) 다용도 안면 마스크
KR100972060B1 (ko) 경혈 지압용 베개
KR20170068080A (ko) 베개형 마사지장치
KR200312534Y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KR200317807Y1 (ko) 피로회복 및 취침자세 교정장치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CN103327854B (zh) 带有附件单元的看护及婴儿支撑枕
KR100877424B1 (ko)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KR200305341Y1 (ko) 다기능 족온기
ES2256358T3 (es) Dispositivo de collar, particularmente adecuado para la termoterapia cervical.
CN220546081U (zh) 一种多功能电暖被
JP4722345B2 (ja) 身体の冷却加熱装置
JP2001017292A (ja) マッサージ機能を有する枕
JP2005192883A (ja) 温熱治療器
KR102029626B1 (ko) 찜질 및 향기요법용 경추베개
CN210170034U (zh) 一种治疗心脑血管用便携式检测装置
KR101904790B1 (ko) 천연아로마향 발산 메모리폼 베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