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626Y1 - 비누 받침대 - Google Patents

비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626Y1
KR200317626Y1 KR20-2003-0008934U KR20030008934U KR200317626Y1 KR 200317626 Y1 KR200317626 Y1 KR 200317626Y1 KR 20030008934 U KR20030008934 U KR 20030008934U KR 200317626 Y1 KR200317626 Y1 KR 200317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upport plate
inner support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원
Original Assignee
전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원 filed Critical 전상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각종비누를 사용할 때에 비누에 항상 물이 묻어 있음으로 인하여 비누가 쉽게 녹거나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닳아서 작아진 비누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누에서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비누가 작아져도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비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를 상부에 구비한 내측받침판; 및 상기 내측받침판을 수용하는 수납공간부를 마련하고,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측받침판의 비누고정돌기가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연결된 고정돌기돌출공이 상면부에 형성된 외측받침판을 포함하고서, 상기 외측받침판상에 비누를 재치시켜 상기 외측받침판을 돌출한 상기 비누고정돌기로 비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누 받침대{A SUPPORTER FOR A SOAP}
본 고안은 비누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비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후 비누에서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비누가 풀어지거나 쉽게 녹아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부로 다양한 높이의 돌기들을 돌출시키는 한편 높이가 조절되게 하여 닳아서 작아진 비누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비누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비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몸을 씻기 위한 세면용 비누와 세탁물을 세척하는 세탁용 비누로 나뉘어지는 바, 비누의 성질은 물에 잘 풀어져 그 비누입자의 화학작용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빨래비누와 세수비누 등의 각종비누는 물과 같이 이용됨으로써 항상 물이 있는 위치에 함께 보관되고, 또한 물에 쉽게 노출되는 사용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비누는 사용후 물이 묻어있게 되고, 묻은 물이 비누에서 빨리 제거되지 않고 장시간 붙어있으면 비누의 특성상 물에 쉽게 용해되어 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에 불은 비누는 외부면이 용해되어 끈적거리고 시각적으로도 불결할 뿐만 아니라 비누의 마모를 촉진시켜 쉽게 소모되는 폐단을 지니고 있다.
한편, 비누는 물기가 있을 경우에 잘 미끄러질 뿐만아니라 그 보관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누의 보관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비누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비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미도시)과 비누(10)가 놓여지는 받침대(20)로 이루어진 비누곽에 안착되어 사용되고, 이 받침대(20)에는 비누(10)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배수홀(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비누는 일반적으로 비누 받침대(20)를 이용하여 비누(10)를 보관할 뿐만아니라 비누(10)에 묻어있는 물기를 그 배수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비누(10)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위의 받침대는 비누(10)를 담아둘 수 있을 뿐 비누(10)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비누(10)가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홀(22)이 수평면상에 형성되고 테두리가 있기 때문에 물기가 배수홀(22)로밖에는 배출될 수 없어 그 배수효과가 떨어져 비누(10)의 바닥면이 물기가 있는 상태로 분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비누(10)의 보관상태가 나빠짐으로써 비누(10)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비누의 사용시 받침대에서 비누를 꺼내어 손에 쥐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비누의 전표면이 매우 미끄러워 비누를 자주 놓치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매우 작아진 비누는 손에서 잘 빠져나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높이가 다른 다수의 돌기들을 돌출시킴으로써 비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도 비누를 신속하게 건조보관하여 그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비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모되어 작아진 비누의 크기에 따라 고정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매우 작은 비누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비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에 수납되어 상하로 일정간격 이동하며 상부로 비누고정돌기들을 돌출시키는 유동판을 내장한 내부받침판을 외부받침판내에 장탈가능케 결합함으로써 필요시 비누의 사이즈에 따라 일체로 혹은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자력을 이용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원하는 곳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비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종래의 비누 받침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A-A선 단면도들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예시된 비누 받침대를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부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a : 비누받침대 110~110b : 내측받침판
112a~112d : 비누고정돌기 114 : 비누파지돌기
116 : 배수공 118 : 미끄럼방지요철
119 : 지지돌기 120~120b : 외측받침판
122 : 개구 124 : 수납공간부
126a~126d : 고정돌기돌출공 127 : 파지돌기
128 : 배수공 129 : 지지돌기
130 : 이탈방지편 300 : 비누받침대
310 : 내부받침판 312 : 수납공간부
314 : 고정돌기돌출공 316,316a : 걸림턱
318 : 관통공 319 : 걸림돌기
320 : 외부받침판 322 : 장착홈
324 : 걸림홈 326 : 비누파지돌기
328 : 돌출테두리 330 : 유동판
332 : 비누고정돌기 340 : 덮개판
342 : 요입부 344 : 비누파지돌기
350 : 마감편 360 : 부착수단
362 : 부착판 364 : 부착편
366 : 양면테잎 400 : 비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는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와 상기 비누고정돌기보다 작은 높이의 비누파지돌기들을 갖는 내측받침판을 구비하고서, 상기 내측받침판에 상기 비누를 위에서 압입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는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를 상부에 구비한 내측받침판; 및 상기 내측받침판을 수용하는 수납공간부를 마련하고,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측받침판의 비누고정돌기가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연결된 고정돌기돌출공이 상면부에 형성된 외측받침판을 포함하고서, 상기 외측받침판상에 비누를 재치시켜 상기 외측받침판을 돌출한 상기 비누고정돌기로 비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는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를 상부에 구비한 유동판; 적어도 하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동판의 비누고정돌기들이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가능하게 상기 유동판을 수납하는 내부받침판; 및 상기 내부받침판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중앙부위에 마련하고, 상기 내부받침판과 결합 및 분리되는 외부받침판을 포함하고서, 비누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받침판과 결합된 상기 외부받침판상에 또는 상기 외부받침판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받침판상에 비누를 재치시켜 상기 비누고정돌기로 비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 받침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A-A선 단면도들로, 도 4a는 큰 비누의 사용시 상태를 그리고 도 4b는 닳아서 작아진 비누의 사용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누 받침대(100)는 내측받침판(110)과, 이 내측받침판(110)이 끼워지는 외측받침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받침판(110)은 대략 사각판상체로 그 상면부에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내측받침판(110)의 사각모서리 근접부에는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이 돌출하고 있고, 이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의 내측으로는 그보다 낮은 비누파지돌기(114)들이 무수히 돌출하고 있다. 특히,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은 내측받침판(110)의 양측에 적어도 2개이상,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사방 4개로 구성하고, 그 끝을 날카롭게 하여 비누(200)를 쉽게 파고들어가도록 하여 비누(200)에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위의 비누파지돌기(114)들은 닳아서 작아진 비누(200)가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에 고정되지 않아도 미끄러지지 않고 받침대(100)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그 높이는 비누고정돌기(112a~112d)의 높이보다 대략 1/2~1/3 정도가 적당하다. 이 비누파지돌기(114)들은 내측받침판(110)의 상면에 작은 요철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받침판(110)은 그 상면부가 비누(200)에 묻은 물이 잘 배수되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낮아지게 되어 있으며, 나아가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과 비누파지돌기(114)들 사이에 배수공(116)들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되어 배수성을 높이고 있다. 내측받침판(110)의 저면에는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토록 미끄럼방지요철(11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이나 세면대상에 개별적으로 안착시켰을 때 그와의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돌기(119)들을 돌출시키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내측받침판(110)은 외측받침판(120)내에 장착되어 그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만이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측받침판(120)은 그 저면측에 개구(122)가 형성되는 수납공간부(124)가 내측받침판(1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중심부상에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부(124)로부터 연결된 고정돌기돌출공들(126a~126d)이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부(124)내에 내측받침판(110)을 장착하면 내측받침판(110)의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이 고정돌기돌출공(126a~126d)을 관통하여 외측받침판(120)의 상부로 돌출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받침판(120)의 상면부에는 작은 파지돌기(127)들이 무수히 돌출되어 있어 그 위에 재치되는 비누(200)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며, 외측받침판(120)의 형상은 비누(200)의 형상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측받침판(120)의 파지돌기(127)들은 내측받침판(110)의 비누파지돌기(114)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측받침판(120)의 상면을 돌출한 내측받침판(110)의 비누고정돌기(112a~112d)의 돌출높이보다 작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돌기(127)는 비누고정돌기(112a~112d)의 높이보다 대략 1/2~1/3 정도의 높이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외측받침판(120)의 상면부도 내측받침판(110)과 마찬가지로 일측으로경사지거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낮아지게 하여 자연적으로 비누(200)에 묻은 물이 외측방향으로 흘러 배수되도록 하며, 나아가 파지돌기(127)들 사이에 배수공(128)들을 수직방향으로 천공하여 배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외측받침판(120)내에 수납된 내측받침판(110)은 수납공간부(124)에서 상하로 어느정도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장착시 수납공간부(124)에서 개구(122)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토록 이탈방지편(130)을 외측받침판(120)의 개구(122)에 장착하게 된다. 이 이탈방지편(130)으로는 사각형 고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외측받침판(120)의 개구(122)주변부에 지지돌기(129)들을 돌출시켜 바닥이나 세면대상에 재치시 배수성을 높이고 손으로 잡기 쉽게 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비누 받침대(100)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아크릴이 그리고 금속재질로는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이 적합하다.
이상과 같은 내측받침판(110)과 외측받침판(120)으로 이뤄진 비누 받침대(100)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받침판(110)에 닳아 작아진 하나의 비누(200)를 고정하여 사용하고, 외측받침판(120)에는 내측받침판(110)에 고정된 비누(200)보다 조금 큰 것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분리사용시 내측받침판(110)에는 세면용 비누를 그리고 외측받침판(120)에는 세탁용 비누를 안착고정시켜 사용하면 본 고안의 비누받침대(200)는 동시에 2개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내측받침판과 외측받침판을 결합한 상태로 본 고안의 비누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받침판(120)의 개구(122)를 통해 내부공간부(124)로 내측받침판(110)을 삽입하여 수납시킨다. 그러면, 내측받침판(110)의 상면을 돌출하고 있는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이 외측받침판(120)의 고정돌기돌출공(126a~126d)을 관통하여 외측받침판(12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은 외측받침판(120)의 파지돌기(127)들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받침판(120)내에 내측받침판(110)을 수납시킨 후, 이탈방지편(130)을 개구(122)에 삽입시켜 외측받침판(120)의 개구(122)를 일정부분 막아서 개구(122)를 통해 다시 내측받침판(110)이 이탈되지 않토록 한다. 그리고 나서, 외측받침판(120)의 상면에 비누(200)를 올려놓고 외측받침판(120)을 향해 가압하면 비누(200)에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이 진입되면서 비누(200)의 저면이 외측받침판(120)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누(200)를 받침대(100)에 고정한 상태에서 받침대(100)를 잡고 사용하면 외측받침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미끄러짐방지돌기(미도시)들에 의해 사용시 비누(200)가 손에서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누사용후에는 받침대(100)를 바닥이나 세면대 위에 올려놓으면 비누(200)에 묻은 물이 받침대(100)의 경사구조 및 배수공들에 의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비누(200)를 건조시킴으로써 비누의 사용수명이 오래가게 된다.
또한, 큰 비누(200)를 사용시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받침판(120)의 수납공간부(124)내로 내측받침판(110)을 최대한 진입시켜 비누고정돌기들(126a~126d)이 외측받침판(120)의 상면으로 높게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반면에 닳아서 작아진 비누(200a)를 사용시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부(124)에서 내측받침판(110)을 비누(200a)의 높이에 맞게 하강조절하여 외측받침판(120)을 돌출한 비누고정돌기들(126a~126d)의 높이를 적합하게 하여 비누(200a)를 고정사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로,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누 받침대(100a)의 외측받침판(120a)을 사각박스형으로 구성하여 내측받침판(110a)을 그 내부에 앞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로 수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110a)는 사각박스형 이외에도 오각형, 육각형 등의 판형으로 형상화가 가능하며, 그 형상은 위에 고정되는 비누의 형태를 고려하여 그에 적합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받침판(110b)만으로도 비누 받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내측받침판(110b)에 비누(200)를 올려놓고 내측받침판(110b)쪽으로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내측받침판(110b)의 상면쪽에 돌출된 4개의 비누고정돌기들(112a~112d)이 비누(200)내로 진입되며 비누(200)가 내측받침판(110b)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내측받침판(110b)에 비누(200)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내측받침판(110b)을 잡고 비누(200)를 사용하면 내측받침판(110b)의 저면쪽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요철(118)에 의해 손에서 비누(200)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비누(200)를 쓴 후 바닥에 내려놓으면 내측받침판(110b) 상면의 경사배수구조 및 배수공들에 의해 비누(200)를 신속히 건조시켜 비누가 무르거나 풀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실시예의 외측받침판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중심부의 내부받침판(310)과 외곽부의 외부받침판(320)으로 분할하여 장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앞실시예의 내측받침판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유동판(330)으로 명명하였는데, 이는 유동판(330)이 내부받침판(310)내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단지 내부받침판(310)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내부받침판(310)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그 비누고정돌기(332)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받침판(320)내에 작은 크기의 내부받침판(310)을 장착시켜 비누(400)의 사이즈(Size)에 따라 내부받침판(310)을 외부받침판(32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큰 비누(400a) 고정시)하거나 아니면 외부받침판(320)에서 내부받침판(310)을 분리하여 내부받침판(310)에만 비누를 고정하여 사용(작은 비누(400b) 고정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 외부받침판(320)과 내부받침판(310)은 경량의 소재로 제조되며, 알루미늄이나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앞실시예와 다른 점은 내부받침판(310)이 외측받침판(320)에서 분리되어 나왔기 때문에 그 자체가 사이즈만 작을 뿐 앞실시예의 외측받침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에 있다. 즉, 내부받침판(310)은 내부에 수납공간부(3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납공간부(312)에 비누고정돌기(332)들이 상향돌출되어 있는 유동판(330)이 상하로 일정간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다. 이때, 비누고정돌기(332)들은 유동판(330)의 좌우에 각각 일렬로 적어도 2개이상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4개씩 구성하는 것이 좋다. 비누고정돌기(332)들은 내부받침판(31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데, 이를 위해 내부받침판(310)의 상면에는 내부수납부(312)와 연통되는 고정돌기돌출공(3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공간부(312)를 상부쪽으로 완전히 개구시켜 유동판(330)을 위에서 수납공간부(312)에 삽입시키고, 그 위에 덮개판(340)을 덮어 상부를 마감하고 있다. 이때, 덮개판(340)의 양측으로는 비누고정돌기(332)들의 두께 및 폭에 해당하는 요입부(342)들을 형성하여 내부받침판(310)에 장착시 고정돌기돌출공(314)들을 형성하게 하고, 수납공간부(312)의 양측에 걸림턱들(316,316a)을 형성하는 한편 유동판(330)은 걸림턱(316,316a)에 걸리지 않고 수납공간부(31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덮개판(340)은 유동판(330)보다 약간 커서 걸림턱들(316,316a)에 양단이 걸려 내부받침판(3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덮개판(340)은 내부받침판(310)의 수납공간부(312)에 압착고정되거나, 그 대응양측연에 본딩처리하여 고정된다. 이 덮개판(340)의 상면에는 비누파지돌기(344)들이 돌출되어 있다. 이 비누파지돌기(344)로는 원추형 돌기로도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의 돌조가 좋다. 물론, 수납공간부(312)는 내부받침판(310)의 하방으로도 관통되어 있는데, 이 관통공(318)은 수납공간부(312)의 나머지 부분보다 폭이 좁아, 즉 유동판(330)보다 작아 수납공간부(312)의 내부에 내장된 유동판(330)이 하방의 관통공(318)을 통과하여 이탈되지 않게 된다. 관통공(318)에는 하방에서 마감편(350)이 장착되어 관통공(318)을 폐쇄하게 된다. 그 결과, 내부받침판(310)의 아래쪽에서 관통공(318)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이 마감편(350)으로는 탄력을 갖는 판상의 고무나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제조된다.
비누고정돌기(332)들이 구성된 유동판(33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도 장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b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부(312)의 구조를 아래로만 개구된 형태로 하고 그 구경을 유동판(330)의 크기보다 약게 크게 하여 유동판(330)의 장착을 하방에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외부받침판(320)의 중심에는 내부받침판(310)이 삽입되는 장착홈(322)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받침판(320)과 내부받침판(310)의 결합은 외부받침판(320)의 장착홈(322)에 내부받침판(310)이 꽉 끼는 크기로 하여 끼움압착력으로 고정이 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받침판(320)의 장착홈(322)의 측벽과 그와 밀착되는 내부받침판(310)의 외측벽중 어느 일측에는 걸림돌기를 그리고 그와 대응되는 타측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걸리게 하면 보다 결합력을 배가하고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반구형으로 하고 걸림홈 및/또는 걸림돌기를 약간의 탄력을 갖는 구조로 구성하면 내부받침판과 외부받침판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도면에서는 걸림돌기(319)가 내부받침판(310)에 그리고 그와 대응되는 걸림홈(324)이 외부받침판(320)에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외부받침판(320)은 상면부에 다수의 비누파지돌기(326)들이 돌출하고 있다. 이 비누파지돌기(326)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돌조로 구성되며, 외부받침판(320)의 상면연부로는 돌출테두리(3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테두리(328)는 비누(400)에 진입되면서 고정력을 배가하고 측면에서 물이 고정된 비누(400)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비누받침대(300)는 사용장소에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부착수단(3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착수단(360)은 자석을 이용하여 비누받침대(300)를 금속판에 부착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데, 이 부착수단(360)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7에 예시된 비누 받침대를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의 비누받침대(300)는 간편하게 사용공간에 고정시켜 분실이나 정해진 자리에서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비누(400)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본 비누받침대(300)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360)을 마련하고 있다. 이 부착수단(360)은 욕실의 벽면, 세면대의 측면이나 접근 및 보관이 용이한 부위에 부착되는 부착판(362)과, 비누받침대(300)의 저면에 고정되어 부착판(362)에 부착되는 부착편(364)으로 구성된다. 부착판(362)으로는 물기에도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스틸판이 적합하며, 부착편(364)으로는 부착판(362)에 부착되는 자석이 좋다. 이 부착편(364)은 비누받침대(300)의 내부받침판(310)의 저면에 적어도 2개이상, 바람직하게는 저부외곽에 4개가 고정되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내부받침판(310)만을 사용하여 비누(400)를 고정시킨 경우는 물론이고, 내부받침판(310)과 외부받침판(320)을 결합시켜 비누(400)를 고정시키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 부착판(362)의 후면에는 부착판(362)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6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366)로는 못, 리벳, 볼트나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면테잎이 좋다. 이렇게 하여 벽면(500)에 고정되는 부착판(362)의 전면에는 부착편(364)이 고정된 비누받침대(300)가 부착되는데, 이때 비누받침대(300)가 수직으로 부착된 경우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부착판(362)의 최하단에는 미끄럼방지돌조(368)가 돌출되어 있다. 이 미끄럼방지돌조(368)는 약1~2mm정도 돌출되어 있으며, 그 끝이 곡면으로 라운딩처리되어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부착판(362)과 부착편(364)의 구성은 반대로, 즉 부착판(362)을 자석으로 그리고 부착편(364)을 자성체로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누받침대(300)의 외부받침판(320) 및 내부받침판(310)이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자성체)이거나 적어도 내부받침판(310)만이라도 자성체로 하면 앞에서 도시설명한 바와 동일한 자력부착이 가능하다.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비누받침대의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큰 비누(400a)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받침판(320)의 장착홈(322)에 내부받침판(310)을 삽입하여 장착한다. 그러면, 외부받침판(320)과 내부받침판(310)은 일체화되어 하나의 판상 비누받침대(300)가 된다. 이렇게 결합된 비누받침대(300)의 상면에 비누(400a)를 올려놓고 관통공(318)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유동판(330)을 윗쪽으로 누르면 유동판(330)의 비누고정돌기(332)들이 비누받침대(300)의 상면으로 돌출하면서 비누(400a)내부로 깊숙히 진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비누크기에 따라 유동판(330)을 누르는 힘을 조절하면 비누(400a)내로 진입되는 비누고정돌기(332)들의 깊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비누(400a)를 비누받침대(300)를 향해 눌러 완전히 밀착시키면 작은 비누파지돌기들(326,344)도 비누(400a)내로 진입되면서 비누는 완전히 비누받침대(300)의 상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때, 비누받침대(300)의 돌출테두리(328)가 비누(400a)에 진입되면서 비누받침대(300)의 내측으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비누(400a)를 비누받침대(300)에 고정한 다음, 부착판(362)을 접근이나 보관이 용이한 곳에 양면테잎(366)으로 부착시키고 나서, 비누받침대(300)를 부착판(362)에 부착시키면 비누받침대(300)의 저면에 마련된 자석의 부착편(364)들이 부착되어 간편하게 원하는 장소에 고정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하여 닳아 작아진 비누(400b)를 고정하려면 그 크기에 맞는 비누받침대가 필요한데, 본 고안에서는 이를 위해 내부받침판(310)을 외부받침판(320)에서 분리하여 작은 비누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부받침판(310)은 외부받침판(320)에서 약간의 힘을 주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밀면 외부받침판(320)에서 쉽게 이탈하여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내부받침판(310)도 그 상면에 비누고정돌기(332)들과 비누파지돌기(344)들이 돌출하고 있으므로 기설명한 외부받침판(320)과 내부받침판(310)이 결합된 비누 받침대에서와 동일하게 비누(400b)를 밀착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은 크기의 비누(400b)는 그에 맞는 크기의 내부받침판(310)에 고정하여 사용하면 되며, 자석의 부착편(364)이 내부받침판(310) 저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부받침판(310)이 외부받침판(320)에서 분리되어도 내부받침판(310)을 벽면에 고정된 부착판(362)에 부착시켜 비누(400b)를 벽면(50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부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비누받침대를 벽면에 고정하는 부착수단으로서 흡착반(38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앞실시예에서 자석의 부착편을 대신하여 부착편이 고정되는 자리에 흡착반(380)을 고정하여 벽면에 흡착시켜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내부받침판(310a)과 흡착반(380)의 결합은 본딩이나 용접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받침판(310a)에 암나선홈(311a)을 형성하고, 흡착반(380)에 숫나사부(382)를 구성하여 상호 나합시켜 이루어진다. 이 흡착반(380)은 탄성의 고무재질로 대략 종모양을 하고서 손으로 벽면에 대고 압력을 주어 밀착시키면 그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서 부착되는 것으로, 외부받침판(320a)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받침판(310a)의 외곽에 적어도 한 개,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적어도 2개이상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누 받침대는 비누를 고정하여 비누의 보관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비누와 접촉되는 물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비누의 수명을 오래 가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면의 경사배수구조 및배수공들에 의해 비누를 신속히 건조시킴으로써 비누가 무르거나 풀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면에는 미끄럼방지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외측받침판내에서 내측받침판이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비누를 고정하는 비누고정돌기들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비누의 크기에 따른 가장 적합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외측받침판을 외부받침판부와 내부받침판부로 분할하여 간단히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누의 사이즈에 따라 조합하거나 별개로 하여 외측받침판과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원하는 곳에 본 고안의 비누받침대를 간편하게 부착하여 비누를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10)

  1.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와 상기 비누고정돌기보다 작은 높이의 비누파지돌기들을 갖는 내측받침판을 구비하고서,
    상기 내측받침판에 상기 비누를 위에서 압입하여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2.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를 상부에 구비한 내측받침판; 및
    상기 내측받침판을 수용하는 수납공간부를 마련하고,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측받침판의 비누고정돌기가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와 연결된 고정돌기돌출공이 상면부에 형성된 외측받침판을 포함하고서,
    상기 외측받침판상에 비누를 재치시켜 상기 외측받침판을 돌출한 상기 비누고정돌기로 비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고정돌기는 상기 내측받침판 상면의 외곽에 적어도 2개이상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받침판 및/또는 상기 외측받침판의 상면에는 상기 비누고정돌기보다 작은 높이의 비누파지돌기들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로 상기 내측받침판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외측받침판의 저면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에는 수납된 상기 내측받침판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토록 장착되는 이탈방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6. 비누내로 진입되어 고정되는 비누고정돌기를 상부에 구비한 유동판;
    적어도 하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동판의 비누고정돌기들이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가능하게 상기 유동판을 수납하는 내부받침판; 및
    상기 내부받침판이 삽입되는 장착홈을 중앙부위에 마련하고, 상기 내부받침판과 결합 및 분리되는 외부받침판을 포함하고서,
    비누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받침판과 결합된 상기 외부받침판상에 또는 상기 외부받침판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받침판상에 비누를 재치시켜 상기 비누고정돌기로 비누를 고정하는 비누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비누받침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접근이나 보관이 용이한 곳에 부착되는 자성체의 부착판과, 상기 내부받침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부착편에 부착되는 자석의 부착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의 하부개구는 좁아지며, 이 하부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탄성의 마감편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받침판 및/또는 상기 외부받침판의 상면에는 상기 비누고정돌기보다 작은 높이의 비누파지돌기들을 구비하되, 상기 외부받침판의 상부쪽 연부에는 돌출테두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받침대.
KR20-2003-0008934U 2003-01-30 2003-03-25 비누 받침대 KR2003176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62 2003-01-30
KR20030002962 2003-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626Y1 true KR200317626Y1 (ko) 2003-06-25

Family

ID=4940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934U KR200317626Y1 (ko) 2003-01-30 2003-03-25 비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484B2 (en) Magnetic accessory attachment device for sink
US9930998B2 (en) Magnetic sink accessory system
US9528252B2 (en) Debris trap for a drain
US2968888A (en) Utility holder
EP0684007B1 (en) Domestic drainage container
JP2005534377A (ja) ブラシ入れ
US3054211A (en) Bar soap holder
US20130043360A1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KR200317626Y1 (ko) 비누 받침대
US2871615A (en) Utility device
JP4743525B2 (ja) 浴槽台
US4458871A (en) Soap spindle
KR200331746Y1 (ko) 세면대용 선반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US20070163039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foot
KR200373499Y1 (ko) 컵과 이를 위한 컵행거 및 그 세트
KR200410729Y1 (ko) 싱크대용 개수용기
CN217792382U (zh) 一种容器的柔软保护套
KR20180003149U (ko) 다용도 코너 선반
JP3151547U (ja) 浴槽蓋ハンガー
KR200248410Y1 (ko) 컵 홀더
WO2002043544A1 (en) Foot cleaning brush assembly
JP4720860B2 (ja) カップ用壁掛け用具
KR200256506Y1 (ko) 컵걸이대용 컵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