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210Y1 -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210Y1
KR200317210Y1 KR20-2003-0010720U KR20030010720U KR200317210Y1 KR 200317210 Y1 KR200317210 Y1 KR 200317210Y1 KR 20030010720 U KR20030010720 U KR 20030010720U KR 200317210 Y1 KR200317210 Y1 KR 200317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air supply
float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구
정진원
Original Assignee
김낙구
정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구, 정진원 filed Critical 김낙구
Priority to KR20-2003-0010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 활동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1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13); 부유금속(34); 상기 부유물(13)이 물에 잠겼을 때 2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여 외부 물의 침입을 막는 부유물(12); 공기통로(21, 22, 23, 24); 방수판(35); 상기 부유물(12)와 함께 상하 이동되어 상기 공기통로(22)의 입구를 막거나 여는 고무판(31); 상기 고무판(31) 및 부유물(12)와 일체로 결합되어 이동을 하는 이동대(32); 보스(Boss, 33); 상기 방수판의 상면 및 측면에 접착되어 균형을 맞추는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11)로 이루어진 급기부표와, 상기 급기부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수중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급기관 및 일방향흡입기(42), 일방향 배출기(44, 43), 배출기 본체(41)로 이루어진 호흡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압축공기통과 압축공기를 충진하는 충진장치로 이루어진 수중 급기장치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쉽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으며, 그 유지 보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표의 부유력에 의해 일정 깊이 이하로의 잠수를 삼가토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Portable Appratus for Supplying Air in the Water}
본 고안은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 활동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압축공기통과 압축공기를 충진하는 충진장치로 이루어진 수중 급기장치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쉽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으며, 그 유지 보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표의 부유력에 의해 일정 깊이 이하로의 잠수를 삼가토록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공기통과 호흡 조절기로 이루어진 종래 수중 급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종래 수중 급기장치 중 스노클(Snorkel)만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중 급기장치는 고중량의 공기통, 상기 공기통의 압력을 강하하는 호흡조절기, 스노클(Snorkel, 도 5 및 6 참조)로 이루어짐으로서, 작동시 무겁고, 구성이 복잡하여 간편하게 수중을 관찰, 탐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이동이 힘들고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산소압에 의한 수중 호흡도 부자연스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겁고 복잡한 압축 공기통의 충진에는 많은 시간과 장비를 필요로 하기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없는 장치로 인식되어 왔었다.
나아가, 스노클(Snorkel)만 단독으로 착용하는 경우도 수중에서 호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얕은 수중에서 잠수 활동시 중량이 가벼워 쉽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고 수중에서의 호흡을 자연스럽게 가능케하여 수중 레저 및 수중 탐구 활동의 효용성을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나아가 그 유지 보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표의 부유력에 의해 일정 깊이 이하로의 잠수를 삼가토록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중 급기장치에 있어서, 1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13); 상기 부유물(13)에 의한 부유력의 중심축으로서 상기 부유물(13) 아래 중심에 밀착된 부유금속(34); 상기 부유물 (13) 가 물에 잠겼을 때 2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여 외부 물의 침입을 막는 부유물(12); 공기의 이동경로의 공간인 공기통로(21, 22, 23, 24); 외부의 물이 상기 공기통로 (22) 및 (23)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수면에 가까운 일면이 개방된 사각면체 형상으로서 그 하단에 공기통로(21)이 일정 간격으로 원의 형상으로 뚫려져 있는 방수판(35); 상기 부유물(12)와 함께 상하 이동되어 상기 공기통로(22)의 입구를 막거나 여는 고무판(31); 상기 고무판(31) 및 부유물(12)와일체로 결합되어 일체적인 이동을 하는 이동대(32); 상기 부유물(12)의 최저 지지대인 보스(Boss, 33); 상기 방수판의 상면 및 측면에 접착되어 균형을 맞추는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11)로 이루어져 수면상에서 오뚜기처럼 자세를 유지하며 떠다니는 급기부표와,
상기 부유금속(34), 부유물(13), 고무판(31) 및 부유물(12)를 관통하여 공기통로(22, 23, 24)를 형성하고 상기 급기부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수중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급기관 및
상기 공기통로(24)로부터 호흡통로(25)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막는 일방향흡입기(42), 호흡후 내부 압력의 증가로 수중 물의 침투를 막고자 바깥쪽과 안쪽의 일방향 배출기(44, 43), 배출기 본체(41)로 이루어진 호흡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급기부표의 내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구성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급기부표의 구성을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급기관 및 호흡배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공기통과 호흡 조절기로 이루어진 종래 수중 급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종래 수중 급기장치 중 스노클(Snorkel)만을 확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3, 12 : 부유물(Floating Material)
31 : 고무판 32 : 이동대
35 : 방수판(Water Shielding) 33 : 보스(Boss)
34 : 부표 금속(Metal) 45 : 급기관
21, 22, 23, 24, 25 : 공기통로
42 : 일방향 흡입기 41 : 호흡기 본체
43, 44 : 일방향 배출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는 크게 급기부표, 급기관 및 호흡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급기부표는 부유력에 의해 수면상에 떠서 오뚜기처럼 일정 자세를 유지하면서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물은 차단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급기관은 수중에서 활동하는 사람에게 급기부표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이동관으로써 호흡기와 연결되며, 상기 호흡기는 급기부표에서 공급된 공기를 잠수자가 호흡한 후에 물속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고안은 크게 수면상에서 자세를 유지하며 부유력에 의해 수면상에서 떠다니는 급기부표와 상기 급기부표에서 잠수자에게 연결되는 급기관 및 상기 급기관에 연결되어 잠수자의 호흡기관(코, 입)과 맞닿게 되는 호흡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상기 급기부표의 내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급기부표 구성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상기 급기부표의 구성을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급기부표는 수면상에서 오뚜기처럼 자세를 유지하며 부유력에 의해 수면상에서 떠다니는 것으로서, 그 내부의 공기통로(21-22-23-24)를 통해 수면 위의 공기가 수중 잠수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도 2 참조) 상기 공기통로 중 (22),(23) 및 (24)는 급기관(45)에 의해 형성되어진 공간이다.
상기 급기부표에서 (11,12,13)은 부유물(Floating Material)을 의미한다.
상기 부유물 중 (13)라는 물질은 비중이 물보다 작아 부유력을 가짐으로서 전체 급기부표를 수면에 띄우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부유물 (13)밑에 위치하는 부표금속인 (34)은 비중이 무거운 물질로서, 상기 부유물 (13) 상부에 위치하는 부유물 (11)과 함께 수면에서 급기부표 전체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게 되면 오뚜기처럼 전체 기구의 균형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오뚜기와 그 힘의 원리가 같음) 부유물 중 (12), (13)와 부표금속 (34)을 공기통로가 관통하여 급기관(45)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부유물 (12)는 부유물 (11)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물질로 비중이물보다 작은 것이다.
방수판(35)은 도 1,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면에 가까운 일면이 개방된 사각면체 형상으로서, 그 하단에 상기 공기통로 (21)이 일정 간격으로 원의 형상으로 뚫려져 있는 것으로서, 급기부표 외부에서 파도치는 물이나 퍼부어지는 물이 상기 공기통로 (22) 및 (23)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무판(31)은 고무 재질로서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 (22)의 입구와 밀착 또는 격리됨으로서 공기나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공기통로 (22)에 대한 마개(Blocking Head)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동대(32)는 부유물 12 및 고무판(31)과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급기관(45)의 상하로 부유물 (12)-이동대(32)-고무판(31) 전체로 하여금 같이 이동케 하는 딱딱한 고체이다.
즉, 부유물 (12)와 이동대(32) 및 고무판(31)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급기관(45)의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급기관의 외측에 고정된 보스(Boss, 33)에 걸쳐지게 되며, 만약 부유물 (13) 전체가 물에 잠기게 되면 부유물 (12)가 물의 비중에 의해 위로 이동하게 되고 부유물 (12)와 결합되어 있는 고무판(31)이 공기통로 (22)를 막게 되어 물이 공기통로 (22),(23)로 침범하는 것을 막게 된다. 반대로 부유물 (13) 전체가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면 부유물 (12)-이동대(32)-고무판(31)은 중력에 의해 보스(33)에 걸쳐지게 되고 공기는 공기통로(21-22-23-24)를 통해 수중의 잠수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도면에서 부호 H는 높이(height)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십Cm 정도 되어 왠만한 파도로는 물이 급기 튜브에 침범하지 못하게 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부유물 (13)위의 부유물 (11) 등을 포함한 구조물은 대칭적이기만 하면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평면도인 도 3 참조)
요약하면, 본 고안은 수면에 떠 있는 급기부표가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인 바, 수면에 떠 있는 급기부표는 무게중심에 의해 항상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부표일부가 수중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기구적 자동성에 의해 액체가 장치의 급기관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수중 급기장치 중 급기관 및 호흡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급기관(45)의 공기통로 (24)를 지나온 공기가 공기통로 (25)를 통해 사람의 호흡기관으로 전달되게 한다. 일방향 흡입기(42)의 역할은 단방향성 흡입기로 호흡할 공기의 방향이 (24)에서 (25)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25에서 24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호흡기 본체(41)는 수중의 물을 사람의 호흡기관과 분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방향 배출기 (43)와 (44)는 호흡후의 공기가 물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장치로 (44)가 (43)바깥쪽에 위치하여 수중의 물이 수압에 의해 호흡배출기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사람이 숨을 내쉴 때는 호흡배출기 내부 압력의 증가에 의해 (44)와 (43)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고 이 틈을 통해 호흡된 공기가 수중으로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는 복잡한 압축 공기통과 호흡조절기를 착용하여 물속에서 호흡하는 기존의 번거로운 방법 대신 수면에서 부유하는 급기부표가 수중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하여 잠수하면서 호흡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쉽게 운반,이용,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압축공기통과 압축공기를 충전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수중 급기장치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쉽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으며, 그 유지 보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표의 부유력에 의해 일정 깊이 이하로의 잠수를 삼가토록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중 급기장치에 있어서,
    1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13); 상기 부유물(13)에 의한 부유력의 중심축으로서 상기 부유물(13) 아랫면 중심에 밀착된 부유금속(34); 상기 부유물 (13) 가 물에 잠겼을 때 2차적인 부유력을 제공하여 외부 물의 침입을 막는 부유물 (12); 공기의 이동경로의 공간인 공기통로(21, 22, 23, 24); 외부의 물이 상기 공기통로 (22) 및 (23)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수면에 가까운 일면이 개방되어 그 하단에 공기통로 (21)이 일정 간격으로 원의 형상으로 뚫려져 있는 방수판(35); 상기 부유물 (12)와 함께 상하 이동되어 상기 공기통로 (22)의 입구를 막거나 여는 고무판(31); 상기 고무판(31) 및 부유물 (12)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적인 이동을 하는 이동대(32); 상기 부유물 (12)의 최저 지지대인 보스(Boss, 33); 상기 방수판의 상면 및 측면에 접착되어 균형을 맞추는 부유력을 제공하는 부유물 (11)로 이루어져 수면상에서 오뚜기처럼 자세를 유지하며 떠다니는 급기부표와
    상기 부유금속(34), 부유물 (13), 고무판(31) 및 부유물 (12)를 관통하여 공기통로 (22), (23), (24)를 형성하고 상기 급기부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수중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급기관 및
    상기 공기통로(24)로부터 호흡통로(25)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막는 일방향흡입기(42), 호흡후 내부 압력의 증가로 수중 물의 침투를 막고자 바깥쪽과 안쪽의 일방향 배출기(44, 43), 배출기 본체(41)로 이루어진 호흡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급기장치.
KR20-2003-0010720U 2003-04-03 2003-04-03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KR200317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20U KR200317210Y1 (ko) 2003-04-03 2003-04-03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20U KR200317210Y1 (ko) 2003-04-03 2003-04-03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210Y1 true KR200317210Y1 (ko) 2003-06-25

Family

ID=494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20U KR200317210Y1 (ko) 2003-04-03 2003-04-03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2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632A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US5893362A (en) Snorkelling device
US9789941B2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US4793341A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having a repository
US20170036745A1 (en) Exhaust Air Transfer Device for Open System Underwater Diving
US7621268B2 (en) Low physiological deadspace snorkel
CN203372379U (zh) 游泳潜水装置
US5027805A (en) Snorkel assembly
CN109110089A (zh) 浮潜呼吸器
CN109334920A (zh) 一种水下自由呼吸系统
KR200317210Y1 (ko)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US20020166555A1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CN208882085U (zh) 浮潜呼吸器
KR20220000370U (ko) 연장호스가 구비된 잠수용 스노클 장비
CN207389510U (zh) 用于浅水潜水的水下呼吸器
KR200446807Y1 (ko)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CN205293031U (zh) 防淹溺死亡逃生器
JPH082079Y2 (ja) 呼吸装置
JPH0620537Y2 (ja) 呼吸装置
GB2148128A (en) Simple diving device
KR200313572Y1 (ko) 수중 호흡장치.
KR20050096551A (ko) 부유형 휴대 급기장치
KR900008611Y1 (ko) 수중용 호흡장치
CN207747998U (zh) 一种可以用于潜水时能自主生氧的化学氧呼吸器
JP2004026121A (ja) 水中呼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