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07Y1 -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 Google Patents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07Y1
KR200446807Y1 KR20090011387U KR20090011387U KR200446807Y1 KR 200446807 Y1 KR200446807 Y1 KR 200446807Y1 KR 20090011387 U KR20090011387 U KR 20090011387U KR 20090011387 U KR20090011387 U KR 20090011387U KR 200446807 Y1 KR200446807 Y1 KR 200446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ving
substructure
pip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이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권 filed Critical 이병권
Priority to KR20090011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놀이를 하면서 잠수시에 호스와 연결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산소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체를 높은 파고가 발생하더라도 부구체의 상,하부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부상(浮上)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기구멍으로 공기유입은 원활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우스연결부재와 소정길이의 연결호스와 부구체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서 상기 부구체의 중앙은 수직으로 중공관체가 형성되되 중공관체의 상, 하단부가 상하 돌출된 돌출단부가 형성되고 중공관체에 연결호스와 연결된 결합관체가 상측으로 관통설치되어 결합관체의 상단 통기구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과; 상기 결합관체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공기유입은 용이하고 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의 유수차단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유수차단부재는 반구형의 캡형으로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단 주연부에서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유수차단 커버가 상향 곡면으로 구비되어 결합관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접속관과 연결되고 접속관의 상측에 통기틈새와 유수차단턱이 구비된 구성과; 상기 부구체의 내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부구체의 하부에 격벽으로 이루어진 장착공간부을 형성하고 그 장착공간부에 중량체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쏠리도록 한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를 특징으로 한다.
부구체, 중량체, 부상부재, 유수차단부재

Description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Air respirator of submarine}
본 고안은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놀이를 하면서 잠수시에 호스와 연결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산소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구체를 높은 파고가 발생하더라도 부구체의 상,하부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부상(浮上)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기구멍으로 공기유입은 원활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은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해초 또는 패류를 채취할 때 사용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잠수용 호흡기가 공지된바 있으며, 이러한 물놀이용 기구로서 종래에 널리 알려진 잠수에 필요한 호흡기로는 스노쿨과 같이 제한된 깊이에서 단시간 잠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있으나 이는 구조가 단순하면서 경량체이므로 휴대가 간편하지만 제한된 깊이에서 단시간 잠수는 용이하지만 행동반경이 좁기 때문에 활동성이 떨어지는 등의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스노쿨과 같은 형태의 마우스피스가 구비된 마우스연결부재에 연결호스를 길게 연결하고 연결호스의 상단은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로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구체의 상측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연결호스의 상단 통기구를 통해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의 부구체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경량체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물이 출렁이는 등의 파고에 쉽게 한쪽으로 휩쓸려서 부구체와 연결된 연결호스를 당기는 작용을 하여 잠수자에게 불안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수면에 높은 파고가 발생하게 될 때 부구체의 상, 하부가 쉽게 뒤집어 지면서 연결호스의 부구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통기구가 물에 잠기게 되면서 연결호스에 물이 유입됨과 아울러 연결호스의 공기유통을 차단하게 되면서 호흡작용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많았다.
그리고 상기 스노쿨 보다 진보된 기구로서, 다이버가 잠수할 때 다이버에게 수중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기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산소 탱크로서 그 용량에 따라 제한된 시간밖에 잠수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산소 탱크는 값비싼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일반인이나 유아들이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특히 유아들이 물놀이를 할 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넓은 행동반경으로 잠수를 즐길 수 있는 호흡용 산소 공급기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우스피스가 구비된 마우스연결부재에 연결호스를 길게 연결하고 연결호스의 상단은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로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구체의 상측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를 구비하되 상기 부구체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결합관체의 통기구에 공기유입은 용이하고 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의 유수차단부재를 결합하여 파고가 높거나 파도와 같은 물결이 부구체를 덮치는 경우에도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부구체의 하부는 무게 중심이 하부로 쏠리도록 하는 중량체를 설치하여 부구체가 파고에 쉽게 휩쓸리거나 상,하부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구체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마우스피스가 구비된 마우스연결부재와 소정길이의 연결호스와 부구체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서 상기 부구체의 중앙은 수직으로 중공관체가 형성되되 중공관체의 상,하단부가 상하 돌출된 돌출단부가 형성되고 중공관체에 연결호스와 연결된 결합관체가 상측으로 관통설치되어 결합관체의 상단 통기구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과; 상기 결합관체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공기유입은 용이하고 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의 유수차단 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유수차단부재는 반구형의 캡형으로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단 주연부에서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유수차단 커버가 상향 곡면으로 구비되어 결합관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접속관과 연결되고 접속관의 상측에 통기틈새와 유수차단턱이 구비된 구성과; 상기 부구체의 내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부구체의 하부에 격벽으로 이루어진 장착공간부을 형성하고 그 장착공간부에 중량체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쏠리도록 한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중공관체의 외측 돌출부에서 측방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부구체가 구성되어 상부면은 물이 외측으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면은 무게중심이 하부 중앙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부구체의 하부에 구비중량체에 의해 항상 부구체가 항상 안정적인 부상(浮上)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부구체의 상부는 파도와 같은 물결이 부구체를 덮치는 경우에도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안전한 물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는, 통상의 스노쿨과 같이 마우스피스(42)가 구비된 마우스연결부재(40)에 소정길이의 연결호스(26)가 연결되고 연결호스(26)의 상단부는 부구체(10)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구체(10)의 중앙은 수직으로 중공관체(12)가 형성되되 중공관체(12)의 상,하단부가 상하 돌출된 돌출단부(13)(13')가 형성되고 중공관체(12)에 연결호스(26)와 연결된 결합관체(20)가 상측으로 관통설치되어 결합관체(20)의 상단 통기구(22)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구체(10)의 상, 하부면은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중공관체(12)의 외측 돌출부에서 측방으로 경사면(14)(14')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면은 물이 외측으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면은 무게중심이 하부 중앙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관체(20)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4)에 공기유입은 용이하고 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의 유수차단부재(30)를 결합하되 상기 유수차단부재(30)는 반구형의 캡형으로 구비된 커버(34)와, 상기 커버(34)의 하단 주연부에서 다수의 통기구멍(36)이 형성된 유수차단 커버(34)가 상향 곡면으로 구비되어 결합관체(20)의 나사부(24)에 결합되는 접속관(34a)과 연결되고 접속관(34a)의 상측에 통기틈새(38)와 유수차단턱(37)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구체(10)의 내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수면위에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하되 부구체(10)의 하부에 위치한 공간은 격벽(16)으로 분할구획된 장착공간부(17)을 형성하고 그 장착공간부(17)에 중량체(18)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쏠리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부구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스치로폴 등의 부상부재(10a)를 내장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 부상기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부상부재(10a)는 부구체(10)의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형태로 내장하거나 일부분을 채우는 형태로 내장된다.
상기 중량체(18)는 부구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장착공간부(17)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장착공간부(17)의 일측에 중량체(18)를 끼움결합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부구체(10)에 형성된중공관체(12)의 상측 돌출단부(13) 내측에는 나사결합부(13a)가 형성되어 결합관체(20)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마우스연결부재(40)는 마우스피스(42) 외에도 여러 형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의 구성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호흡기는 휴대 및 보관시에는 부구체(10)에서 연결호스(26)와 연결된 결합관체(20)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호흡기를 이용하여 잠수를 할 때에는 먼저 부구체(10)의 중공관체(12) 상단에 연결호스(26)가 연결된 결합관체(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부구체(10)의 하부가 수면에 놓여지도록 띄우게 된다.
이렇게 부구체(10)는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로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구체(10)는 하부에 구비된 중량체(18)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부로 쏠리도록 한 상태이므로 수면에서 물결이 높은 파고가 발생하여 많은 출렁거림이 발생하더라도 부구체(10)의 상,하부가 뒤집히지 않고 항상 오뚝이와 같이 항상 안정적인 부상(浮上) 상태를 유지하므로 부구체(10)의 상측에 구비된 연결호스(26)의 통기구(22를 통한 공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마우스연결부재(40)에 구비된 마우스피스(42)를 입에 물고 잠수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안전한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본 고안의 부구체(10)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중공관체(12)의 외측 돌출부에서 측방으로 경사면(14)(14')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면은 물이 외측으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면은 무게중심이 하부 중앙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중량체(18)에 의해 항상 부구체(10)가 항상 안정적인 부상(浮上)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중량체(18)는 항상 일정깊이만큼 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므로 부구체(10)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부구체(10)가 물결에 의해 쉽게 옆으로 휩쓸리지 않도록 하므로 연결호스(26)를 통해 물속에서 잠수상태로 호흡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연결호스(26)가 당겨지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보다 안정된 잠수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 결합관체(20)의 나사부(24)에 결합된 유수차단부재(30)는 파고가 높거나 파도와 같은 물결이 부구체(10)를 덮칠 수 있는 곳에서 물놀이 잠수를 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 커버(34)의 하부에 구비된 커버(34)에 의해 출렁이는 물을 완충시 키게 됨과 아울러 다수의 통기구멍(36)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측의 커버(34) 내면에 부딪혀서 1차적인 차단이 됨과 아울러 유수차단턱(37)에 의해 2차적인 차단을 하는 수단으로 연결호스(26)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통기틈새(38)를 통해 연결호스(26)로 공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를 이용한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구체 10a : 부상부재
11,11' : 상,하부 몸체 12 : 중공관체 13,13' : 돌출단부 13a : 나사결합부 14,14' : 경사면 16 : 격벽
17 : 장착공간부 18 : 중량체
20 : 결합관체 22 : 통기구
24 : 나사부 26 : 연결호스
30 : 유수차단부재 32 : 통기연결관
32a : 입구 34 : 커버
34a : 접속관 35 : 완충면
36 : 통기구멍 37 : 유수차단턱
38 : 통기틈새 40 : 마우스연결부재
42 : 마우스피스

Claims (5)

  1. 마우스피스(42)가 구비된 마우스연결부재(40)와 소정길이의 연결호스(26)와 부구체(10)로 이루어진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의 중앙은 수직으로 중공관체(12)가 형성되되 중공관체(12)의 상,하단부가 상하 돌출된 돌출단부(13)(13')가 형성되고 중공관체(12)에 연결호스(26)와 연결된 결합관체(20)가 상측으로 관통설치되어 결합관체(20)의 상단 통기구(22)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성과;
    상기 결합관체(20)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4)에 공기유입은 용이하고 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의 유수차단부재(30)를 결합하되 상기 유수차단부재(30)는 반구형의 캡형으로 구비된 커버(34)와, 상기 커버(34)의 하단 주연부에서 다수의 통기구멍(36)이 형성된 유수차단 커버(34)가 상향 곡면으로 구비되어 결합관체(20)의 나사부(24)에 결합되는 접속관(34a)과 연결되고 접속관(34a)의 상측에 통기틈새(38)와 유수차단턱(37)이 구비된 구성과;
    상기 부구체(10)의 내부는 속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수면위에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하되 부구체(10)의 하부에 위치한 공간은 격벽(16)으로 분할구획된 장착공간부(17)을 형성하고 그 장착공간부(17)에 중량체(18)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쏠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의 상부면은 물이 외측으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면은 무게중심이 하부 중앙으로 쏠릴 수 있도록 상, 하부면은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중공관체(12)의 외측 돌출부에서 측방으로 경사면(14)(14')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의 중공관체(12) 상측 돌출단부(13) 내측에는 나사결합부(13a)가 형성되어 결합관체(20)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장착공간부(17)에 중량체(18)를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설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스치로폴 등의 부상부재(10a)를 내장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KR20090011387U 2009-08-31 2009-08-31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KR200446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387U KR200446807Y1 (ko) 2009-08-31 2009-08-31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387U KR200446807Y1 (ko) 2009-08-31 2009-08-31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07Y1 true KR200446807Y1 (ko) 2009-12-03

Family

ID=4605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387U KR200446807Y1 (ko) 2009-08-31 2009-08-31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62B1 (ko) * 2011-11-02 2014-01-24 박판석 공기 흡입이 가능한 테왁
CN110406648A (zh) * 2019-08-20 2019-11-05 孙升 防溺水面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971U (ko) * 1994-09-17 1996-04-12 김경곤 간이수중호흡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971U (ko) * 1994-09-17 1996-04-12 김경곤 간이수중호흡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62B1 (ko) * 2011-11-02 2014-01-24 박판석 공기 흡입이 가능한 테왁
CN110406648A (zh) * 2019-08-20 2019-11-05 孙升 防溺水面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2318A1 (en) Buoyant mattress for snorkeler
CN104520181B (zh) 用于水下活动的设备
KR200446807Y1 (ko)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US5027805A (en) Snorkel assembly
US7069927B1 (en) Waterproof device for a snorkel
US20020117172A1 (en) Floating ball of a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for a diver
US11655011B2 (en) Snorkel with buoyant support
CN2460441Y (zh) 自动排水浮潜球装置
JP3128525U (ja) J字型の管のシュノーケルの水遮断、安全装置
KR100929976B1 (ko)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US6915800B2 (en) Water intake prevention device for a snorkel
KR200356069Y1 (ko) 수중 호흡기
CN207191350U (zh) 潜水用呼吸管双气囊防水器
CN105752295B (zh) 一种具有呼吸功能的救生圈及具有该救生圈的救生装置
CN204056269U (zh) 潜水用干式呼吸管
KR200245097Y1 (ko) 수중 숨쉬기
JPH10129587A (ja) 水中呼吸器
KR200466386Y1 (ko) 잠수용 공기 공급장치
CN202944553U (zh) 水中呼吸救生器
CN202743468U (zh) 简易多功能呼吸器
CN104709451B (zh) 水下呼吸器
CN108071096A (zh) 能调节浮力的护舷
KR200317210Y1 (ko) 휴대용 수중 급기 장치
CN201321156Y (zh) 一种简易型潜水呼吸装备
KR200199702Y1 (ko) 수직위치 복원력이 있는 부유물을 이용한 수영인의 깊은수중 호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