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799Y1 - 의자 겸용 쿠션 - Google Patents

의자 겸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799Y1
KR200316799Y1 KR20-2003-0006851U KR20030006851U KR200316799Y1 KR 200316799 Y1 KR200316799 Y1 KR 200316799Y1 KR 20030006851 U KR20030006851 U KR 20030006851U KR 200316799 Y1 KR200316799 Y1 KR 200316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attress
edge
width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베드
Priority to KR20-2003-0006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겸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와 쿠션이 일체로 되어 안락한 쿠션과 의자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는 의자 겸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일정한 폭과 높이의 쿠션부재인 제1쿠션과, 상기 제1쿠션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일정한 폭과 높이의 쿠션부재인 제2쿠션과, 상기 제1쿠션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일정한 폭의 쿠션부재인 제3쿠션과, 상기 제1쿠션의 전방에 펼쳐지도록 상기 제1쿠션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매트리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3쿠션이 회동하여 쿠션이나 의자로 변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쿠션의 일부가 베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겸용 쿠션{CUSHION USABLE AS ARMCHAIR}
본 고안은 의자 겸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와 쿠션이 일체로 되어 있어 편안한 쿠션과 의자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는 의자 겸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그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같은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침구나 가구 등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75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9125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8102호에는 매트리스부재를 포개거나 겹침으로써 침대와 의자로 용이하게 변환되는 의자 겸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로 사용되는 가구와 침구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아야 하고 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의 상호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그 장점이 충분히 발휘된다.
본 고안은 상기 의자 겸용 침대와 같이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 겸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나 쿠션으로 용이하게 변환되는 의자 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편안한 의자로 변환되도록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자와 쿠션 및 베개로 변환되는 부분을 복수개로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각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나 쿠션 및 배게로 각각 사용할 수 있는 의자 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트리스 상부에 전기요 등을 까는 경우에 상기 전기요를 감쌀 수 있는 시트가 일체로 구비된 의자 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의 사용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제1쿠션 11 등받이부
13 팔걸이부 20 제2쿠션
30 제3쿠션 40 제1매트리스
42 덮개 42a 슬라이드패스너
44 시트 50 제2매트리스
60 제3매트리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이고,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상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둔각으로 만나는 제1등받이면이 형성된 등받이부를 갖는 제1쿠션과,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이고,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하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으로 만나는 제2등받이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이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면과 제2등받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2쿠션과, 일정한 폭의 쿠션부재이고,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이루는 둔각과 같은 각으로 만나는 제3등받이면과 상기 제3등받이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으로 만나는 제4등받이면과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4등받이면 각각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만나고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받침면을 가지며, 상기 제3등받이면이 상기 제1쿠션의 제1등받이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등받이면과 상기 제4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3쿠션과, 일정한 길이와 폭과 상기 제1쿠션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부재이고,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이 상기 제1등받이면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제1매트리스와, 상기 제1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상부 모서리가 상기 제1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상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리스와, 상기 제2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제2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하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3매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매트리스는 펼쳐지면 매트리스가 된다. 상기 제1쿠션은 본 고안이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등받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쿠션이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면이 허리를 받쳐주는 쿠션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면은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3쿠션이 상기 제2쿠션 상부에 절첩되도록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의자가 된다. 상기 제2쿠션은 전방으로 젖혀져 본 고안의 포장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상기 등받이부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일정 길이로 전방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갖고, 상기 제2쿠션과 제3쿠션 및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 매트리스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팔걸이가 있는 편안한 의자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상기 제3쿠션은 폭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3쿠션이 폭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3쿠션은 독립적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제3쿠션을 각자의 필요에 따라 쿠션이나 의자 및 베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상기 제1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을 갖는 판형상의 가요성부재이고, 상기 제1매트리스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등받이면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매트리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에 1개의 슬라이드패스너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덮개와,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매트리스가 연결된 길이와 같은 길이와 상기 제1매트리스의 폭과 같은 폭을 갖고 폭방향으로의 양측단이 서로 연결된 2겹의 가요성부재이고, 상기 덮개와 상기 제1매트리스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제1등받이면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는 매트리스에 전기요를 까는 경우에 상기 전기요를 감쌀 수 있는 시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는 상기 덮개와 상기 매트리스 사이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제1 내지제3쿠션(10,20,30), 및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쿠션(10)은 일정 폭과 일정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로서, 본 고안이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제2쿠션(20) 및 제3쿠션(30)과 함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면이 형성된 등받이부(11)부를 갖는다.
상기 등받이부(11)는 상부면(S11)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둔각(α3)으로 만나도록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형성된 제1등받이면(S12)을 갖는다. 즉, 상기 제1등받이면(S12)은 본 고안이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노출된 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등받이면(S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등받이면(S12)은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1)의 상부면(S11)은 상기 제1등받이면(S12)과 폭방향으로의 모서리를 따라 둔각(α3)을 이루며 이웃한다. 상기 상부면(S11)과 상기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는 모서리는 상기 제2쿠션(20) 및 제3쿠션(30)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조인트(J123) 부분이 된다. 상기 상부면(S11)은 그 상부에 상기 제2쿠션(20)이 절첩되어 포개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쿠션(20)은 후방으로 젖혀져 상기 제1쿠션(10)의 등받이부(11)의 상부에 포개져 상기 제3쿠션(3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이다. 상기 제2쿠션(20)은 하부면(S21)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α1)으로 만나도록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형성된 제2등받이면(S22)을 가지며, 상기 하부면(S21)이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면(S21)과 제2등받이면(S22)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쿠션(20)은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제2쿠션(20)의 상기 하부면(S21)과 제2등받이면(S22)이 만나는 모서리가 연결된 제1조인트(J123)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등받이면(S12)과 상부면(S11)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쿠션(20)은 상기 하부면(S21)이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S11)에 맞닿아 상기 등받이부(11)의 상부에 포개진다. 한편, 상기 제2쿠션(20)의 제2등받이면(S22)은 상기 제3쿠션(30)이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주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제2등받이면(S22)은 상기 제2쿠션(20)이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에 포개진 상태에서 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쿠션(10)의 상부면(S11)은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쿠션(S21)은 하부면(S21)이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제2등받이면(S22)이 상기 하부면(S21)과 예각(α1)으로 만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2등받이면(S22)은 지면과 예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3쿠션(30)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쿠션 및 베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 젖혀져 상기 제2쿠션(20)의 상부에 포개진 상태에서는 의자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쿠션부재이다. 상기 제3쿠션(30)은 지지면(S32)과, 상기 지지면(S32)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제1등받이면(S12)이 이루는 둔각(α3)과 같은 각(α4)으로 만나는 제3등받이면(S31)과, 상기 제3등받이면(S31)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α2)으로 만나는 제4등받이면(S33)과, 상기 지지면(S32) 및 상기 제4등받이면(S33) 각각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만나고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받침면(S34)을 가지며, 상기 제3등받이면(S31)이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등받이면(S31)과 상기 제4등받이면(S33)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쿠션(30)은 상기 제3등받이면(S31)과 상기 제4등받이면(S33)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는 모서리가 연결된 제1조인트(J123)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등받이면(S12)과 상기 제2쿠션(20)의 제2등받이면(S22) 사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3쿠션(20)은 상기 제4등받이면(S33)이 상기 제2쿠션(20)의 제2등받이면(S22)에 맞닿고 상기 받침면(S34)이 상기 제2쿠션(20)의 상부면(S23)에 맞닿아 상기 제2쿠션(20)에 포개지며,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이 착좌부가 되고 상기 제1등받이면(S12)과 제3등받이면(S31)이 등받이가 되는 의자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3쿠션(30)은 전방으로 젖혀져 상기 지지면(S32)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에 맞닿고 상기 제3등받이면(S31)은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에 맞닿아 쿠션로 변형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제3쿠션(30)이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면(S34)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부분이 되고 상기 제4등받이면(S33)은 상기 제2등받이면(S22)과 함께 사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주는 쿠션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제3쿠션(30)이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면(S34)은 높이가 적당하고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베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제3쿠션(30)이 상기 제2쿠션(20)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1등받이면(S12)으로부터 이어지는 제3등받이면(S31)이 적당하게 경사져야 편안한 의자로 변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쿠션(30)이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쿠션(20)의 제2등받이면(S22)과 상기 제4등받이면(S33)이 적당하게 경사져야 편안한 쿠션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에는 상기 제2쿠션(20)의 하부면(S21)과 제2등받이면(S22)이 만나 이루는 예각(α1)은 40°∼50°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3등받이면(S31)과 제4등받이면(S33)이 만나 이루는 예각(α2)과 상기 제2쿠션(20)의 하부면(S21)과 제2등받이면(S22)이 만나 이루는 예각(α1)의 합(α1+α2)이 75°∼85°사이의 예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쿠션(10)의 상기 등받이부(11)의 상부면(S11)과 상기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 이루는 각(α3)은 95°∼105° 사이의 둔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참조). 즉, 상기 제3등받이면(S31)과 제4등받이면(S33)이 만나 이루는 예각(α2)은 30°∼4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S32)과 상기 제3등받이면(S31)이 만나 이루는 둔각(α4)은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과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이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상기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 이루는 각(α3)과 같은 둔각으로 만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면(S11)과 상기 제1등받이면(S12)이 만나 이루는 각(α3)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매트리스(40)는 펼쳐져 상기 제2 및 제3매트리스(50,60)와 함께 매트리스가 되는 부분으로서, 일정 길이와 폭과 상기 제1쿠션(10)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부재이다.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길이는 상기 제2 및 제3매트리스(50,60)와 함께 펼쳐진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가 사용자의 키보다 약간 크도록 결정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길이는 사용자의 키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약간 크게 된다. 상기 제1매트리스(40)는 일단부가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2매트리스(50)는 상기 제1 및 제3매트리스(40,60)와 함께 매트리스가 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매트리스(40)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부재이다. 상기 제2매트리스(50)는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상부 모서리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상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매트리스(5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상부 모서리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상부 모서리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은 제2조인트(J45)가 되며, 상기 제2매트리스(50)는 상기 제2조인트(J45)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부에 포개진다.
상기 제3매트리스(60)는 상기 제1 및 제2매트리스(40,50)와 함께 펼쳐져 매트리스가 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2매트리스(50)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부재이다. 상기 제3매트리스(60)는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제2매트리스(50)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하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매트리스(6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제2매트리스(50)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하부 모서리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은 제3조인트(J56)가 되며, 상기 제3매트리스(60)는 상기 제3조인트(J56)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부에 포개진 상기 제2매트리스(50)의 상부에 포개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제1쿠션(10)은 팔걸이부(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걸이부(13)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어 상기 등받이부(11)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일정 길이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기 팔걸이부(13)의 길이방향으로의 말단에 리모콘이나 전화기 등을 수납하는 주머니(17)가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17) 대신에 상기 리모콘이나 전화기 등을 걸 수 있는 밴드가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쿠션(10)이 팔걸이부(13)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제2쿠션(20)과 제3쿠션(30) 및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 매트리스(40 내지 60)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13)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가져야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13) 사이에 수용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3쿠션(30)이 폭방향으로의 일정 위치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제3쿠션(30)이 폭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분리된 제3쿠션(30)은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리된 부분을 각자의 필요에 맞게 상기 제3쿠션(30)을 회동시켜 의자, 베개 및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부에 포개지도록 설치된 덮개(42)와 상기 제1매트리스(40)와 상기 덮개(42) 사이에 수용되는 시트(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42)는 상기 시트(4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 일부가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덮개(42)는 상기 제1매트리스(40)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매트리스(40)와 같은 길이와 폭을 갖는 판형상의 가요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42)는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등받이면(S12)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는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제1매트리(4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에 1개의 슬라이드패스너(42a)로 연결된다.
상기 시트(44)는 전기요 등을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져 상기 제1매트리스(40)와 상기 덮개(42)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시트(44)는 펼쳐진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가 연결된 길이와 같은 길이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폭과 같은 폭을 갖는 가요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44)는 전기요 등을 감쌀 수있도록 2겹의 가요성부재(44a,44b)로 이루어 지는데, 상기 2겹의 가요성부재(44a,44b)의 폭방향으로의 양측단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자루 모양이 된다. 상기 시트(44)는 상기 덮개(42)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등받이면(S13)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제2쿠션(20)과 제3쿠션(30), 제2매트리스(50) 및 제3매트리스(60)가 각각 제1 내지 제3 조인트(J123,J45,J56)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기 때문에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이 의자로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는 펼쳐진다. 그리고, 제2쿠션(20)은 하부면(S21)이 제1쿠션(10)의 상부면(S11)에 맞닿도록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에 포개지며, 제3쿠션(30)은 제4등받이면(S33)이 상기 제2쿠션(20)의 제2등받이면(S22)에 맞닿고 상기 받침면(S34)이 상기 제2쿠션(20)의 상부면(S23)에 맞닿도록 상기 제2쿠션(20)에 포개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은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이 착좌부가 되고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과 상기 제3쿠션(30)의 제3등받이면(S31)이 등받이가 되는 의자로 사용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의 제2쿠션(20)이 베개로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는 펼쳐진다. 그리고, 제2쿠션(20)은 하부면(S21)이 제1쿠션(10)의 상부면(S11)에 맞닿도록 상기 제1쿠션(10)의 상부에 포개지며, 제3쿠션(30)은 제3등받이면(S31)이 상기 제1쿠션(10)의 제1등받이면(S12)에 맞닿고 상기 지지면(S32)이 상기 제1매트리스(40)의 상면에 맞닿도록 전방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은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는 매트리스가 되고, 상기 제3쿠션(30)의 받침면(S34)은 베개가 된다.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이 쿠션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매트리스(40,50,60)는 매트리스가 되고, 상기 제2쿠션(20) 및 제3쿠션(30)은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쿠션이 된다. 특히, 상기 제2쿠션(20)의 받침면(S34)의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겸용 쿠션은 의자에서 쿠션으로 또는 그 역으로 용이하게 변환되며 변환된 의자 및 쿠션이 편안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팔걸이를 구비함으로써 편안한 의자나 쿠션으로 변형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의자나 쿠션 및 베개로 변환되는 제3쿠션을 폭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각자의 필요에 따라 의자나 쿠션 및 배게로 각각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요를 감쌀 수 있는 시트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전기요를 매트리스의 상부에 까는 경우에 별도의 시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시트의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이고,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상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둔각으로 만나는 제1등받이면이 형성된 등받이부를 갖는 제1쿠션과,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쿠션부재이고, 길이방향으로의 전방에 하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으로 만나는 제2등받이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이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면과 제2등받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2쿠션과,
    일정한 폭의 쿠션부재이고,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이루는 둔각과 같은 각으로 만나는 제3등받이면과 상기 제3등받이면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예각으로 만나는 제4등받이면과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4등받이면 각각과 폭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만나고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받침면을 가지며, 상기 제3등받이면이 상기 제1쿠션의 제1등받이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3등받이면과 상기 제4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상기 제1쿠션의 상부면과 제1등받이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3쿠션과,
    일정한 길이와 폭과 상기 제1쿠션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매트리스부재이고,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이 상기 제1등받이면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제1매트리스와,
    상기 제1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상부 모서리가 상기 제1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상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2매트리스와,
    상기 제2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의 일단면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제2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의 타단면의 하부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제3매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은, 상기 등받이부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서 일정 길이로 전방으로 서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를 갖고,
    상기 제2쿠션과 제3쿠션 및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 매트리스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쿠션은 폭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트리스와 같은 길이와 폭을 갖는 판형상의 가요성부재이고, 상기 제1매트리스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등받이면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매트리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으로의 타측 가장자리에 1개의 슬라이드패스너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덮개와,
    상기 제1매트리스 내지 제3매트리스가 연결된 길이와 같은 길이와 상기 제1매트리스의 폭과 같은 폭을 갖고 폭방향으로의 양측단이 서로 연결된 2겹의 가요성부재이고, 상기 덮개와 상기 제1매트리스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제1등받이면에 연결된 상기 제1매트리스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겸용 쿠션.
KR20-2003-0006851U 2003-03-07 2003-03-07 의자 겸용 쿠션 KR200316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51U KR200316799Y1 (ko) 2003-03-07 2003-03-07 의자 겸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51U KR200316799Y1 (ko) 2003-03-07 2003-03-07 의자 겸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799Y1 true KR200316799Y1 (ko) 2003-06-18

Family

ID=4940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851U KR200316799Y1 (ko) 2003-03-07 2003-03-07 의자 겸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77Y1 (ko) 2010-10-08 2011-09-08 박홍서 등받이 길이 조절형 소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77Y1 (ko) 2010-10-08 2011-09-08 박홍서 등받이 길이 조절형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155B1 (en) Foldable upholstered chair
US4697847A (en) Portable upholstered furniture
US5836653A (en) Backrests/legless leisure chairs made with a foundation
US9681764B1 (en) Foldable chair blanket
US8939505B1 (en) Adjustable portable booster cushion for adults
JPH0326962B2 (ko)
US4420186A (en) Convertible low-back, high-back upholstered furniture
US5740564A (en) Sofa having reclining section and foldable bed
KR200469750Y1 (ko) 접이식 쇼파
CN2805534Y (zh) 一种休闲椅子
US7346948B1 (en) Basic bed lounge
US20110254333A1 (en) Folded cushion for back support
KR200316799Y1 (ko) 의자 겸용 쿠션
KR200425352Y1 (ko) 접이식 의자
KR102168626B1 (ko) 소파의 가변 방법
KR200407189Y1 (ko) 팔걸이 접이식 소파 겸용 침대 매트리스
CN210748268U (zh) 一种多功能的组合沙发
KR100362695B1 (ko) 절첩식 매트리스 겸용 안락좌의자
KR200299753Y1 (ko) 절첩식 안락의자 겸용 매트리스 침대
JP3174072U (ja) マットレス
JPS58188408A (ja) ソフアベツド
CN201929470U (zh) 折叠式多用途沙发
JP2004195209A (ja) ベッド
CN220403571U (zh) 一种沙发床
JPS5941736Y2 (ja) ソフア−兼用マツ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