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17Y1 - 학생용 가방 - Google Patents

학생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17Y1
KR200316317Y1 KR20-2003-0006188U KR20030006188U KR200316317Y1 KR 200316317 Y1 KR200316317 Y1 KR 200316317Y1 KR 20030006188 U KR20030006188 U KR 20030006188U KR 200316317 Y1 KR200316317 Y1 KR 200316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g
main body
inner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진
권태성
Original Assignee
권태성
송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성, 송영진 filed Critical 권태성
Priority to KR20-2003-0006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17Y1/ko
Priority to PCT/KR2003/000953 priority patent/WO2004045329A1/en
Priority to AU2003235216A priority patent/AU200323521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17Y1/ko
Priority to AU2003286957A priority patent/AU2003286957A1/en
Priority to PCT/KR2003/002760 priority patent/WO200405439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school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과서, 참고서, 필통 등의 학용품을 수납하여 손으로 끌고 다니거나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된 학생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벽부 및 벽부에 설치되어 지주의 하단이 연결되는 지주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바퀴의 설치를 위한 바퀴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지주 반대편에 가방을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핸드캐리어의 지주와 바퀴가 멜빵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손으로 끌고 다닐 수 있으면서도 핸드캐리어가 본체부의 전방 쪽에 배치되어 어깨에 메고 다니기에도 편하고, 플라스틱부재가 외부로 많이 드러나지 않아 플라스틱부재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바퀴의 설치 및 교체가 매우 쉽고, 발광바퀴가 장착되어 있어 야간 보행 시 차량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학생용 가방{Pupil bag}
본 고안은 학생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과서, 참고서, 필통 등의 학용품을 수납하여 손으로 끌고 다니거나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된 학생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용 가방은 필요한 물건을 수용하며 지퍼 등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등받이면에 설치된 멜빵 및 본체부 상단에 설치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학생용 가방은 손에 들거나 어깨에 메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책 등을 많이 넣고 다녀야 하는 학생에게는 큰 부담을 준다. 어린 학생이 무거운 가방을 손잡이를 이용하여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멜빵으로 어깨에 메고 다닐 경우에 어깨 및 허리 등에 무리를 주어 성장발육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용 가방의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는 핸드캐리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가방을 어깨에 메고 다니거나 손으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하지만, 이 역시 핸드캐리어 및 바퀴가 가방의 뒤쪽, 즉 멜빵 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멜빵으로 가방을 메고 다니면 핸드캐리어의 프레임과바퀴에 어깨 및 등이 배겨 불편하고 장시간 착용 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의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가방은 견착이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방을 끌고 다니다가 어깨에 메면 바퀴 등에 묻은 흙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옷의 등부분에 묻어 옷을 더럽히는 폐단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학생용 가방에서는 바퀴의 설치를 위한 플라스틱부재가 가방의 저면, 즉 가방의 외주면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 플라스틱부재가 그대로 외부로 드러나서 품질을 떨어뜨리고, 특히 바퀴가 파손되는 경우 교체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그 외에 종래의 학생용 가방은 핸드캐리어의 지주가 가방의 내부 수용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수용되는 물건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가방을 열었을 때 지주가 사용자의 눈에 뛰게 되어 보기에 흉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핸드캐리어로 끌고 다니거나 멜빵을 이용해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으면서도 어깨에 착용하기에 편한 학생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부재가 외부로 많이 드러나지 않아 플라스틱부재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학생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의 설치 및 교체가 쉬운 학생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방의 내부에서 핸드 캐리어의 지주가 보이지 않도록 해주면서도 바퀴의 설치 및 교체가 쉬운 학생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보행시 차량에 의한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지주와 바퀴 및 내부프레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이탈방지링의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이탈방지링 설치구의 사시도,
도 5는 내부프레임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 내부프레임에 바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퀴설치부 부위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 내부프레임이 적용된 학생용 가방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학생용 가방 110 : 본체부
120 : 멜빵 130a : 핸드캐리어
130 : 지주 140 : 바퀴
141 : 바퀴축 142 : 홈
143 : 이탈방지링 145 : 바퀴지지프레임
146 : 돌기 149a : 바퀴수용부
150 : 내부프레임 151 : 바닥부
152a∼152d : 벽부 153 : 지주연결부
154, 156 : 바퀴설치부 155 : 보강부
160 : 가리개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가방은 유연한 재질의 것이 소정 공간을 둘러 싸 필요한 물건을 수용할 수 있고 개폐 가능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설치되고 끝단에 손잡이가 배치된 지주 및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본체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주는 바퀴를 구비하는 학생용 가방에 있어서,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벽부 및 벽부에 설치되어 지주의 하단이 연결되는 지주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바퀴의 설치를 위한 바퀴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지주 반대편에 가방을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벽부는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주연결부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고, 바퀴설치부는 바퀴의 바퀴축이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벽부와 지주연결부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태로 형성되고,
바퀴의 바퀴축은 분리되어 내부프레임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프레임은 사각용기 형상으로 되고, 바퀴의 바퀴축 외주면에는 바퀴축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일측이 개구된 이탈방지링이 결합되고,
본체부 내에는 지주와 바닥부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가리개의 끝단과 본체부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포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내부프레임은 사각 용기형상으로 되고, 바퀴는 발광바퀴인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벽부는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주연결부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고, 바퀴설치부는 바닥부와 벽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바퀴는 본체부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바퀴설치부에 결합되어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지지프레임을 통해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내부프레임은 사각용기 형상으로 되고, 바퀴는 발광바퀴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 내에는 지주와 바닥부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가리개의 끝단과 본체부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포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지주와 바퀴 및 내부프레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가방(100)은 필요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부(110)를 구비한다. 이 본체부(100)는 직물 등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 이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가방(10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퍼(112)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가방(100)을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14)가 달려 있고, 본체부(110)의 배면에는 가방(100)을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우 한 쌍으로 이뤄진 멜빵(120)이 부착되어 있다.
멜빵(120)을 이용하여 가방(100)을 등에 착용시 보다 착용감을 좋게 하여 편안함을 착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 신체와 접촉되는 본체부(110)의 배면 등받이부분과 멜빵(120)의 안쪽부분에는 입체적인 에어쿠션메쉬(3D air cusion mesh)(116)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작은 물건들을 넣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방포켓(118)들이 설치되어 있고, 후면에는 후방포켓(119)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포켓(118) 또는 후방포켓(119)의 내부에는 연필이나 볼펜들을 꽂을 수 있는 필기구꽂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체부(110)는 축광섬유로 만들거나 그 표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야간에 차량운전자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멜빵(120)의 반대편 가방(10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고 끝단에 손잡이(132)가 구비된 지주(130)가 설치되고, 본체부(110)의 저면에는 바퀴(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주(130)와 바퀴(140)는본체부(110)의 바닥 부근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150)과 연결되어 있다. 이는 도 3을 보면 알 수 있다. 이 지주(130)와 바퀴(140) 및 내부프레임(150)은 핸드캐리어(130a)의 역할을 한다.
본체부(110) 통과부위의 지주(130) 외주면에는 본체부(110)를 지주(130)에 고정하여주기 위한 두 쌍의 체결구(136)들과 연결지지체(138)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구(136)와 연결지지체(138)에는 지주(130)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구멍(137, 13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부프레임(150)은 본체부(110)의 바닥부근에 설치되어 바닥부근에 강성을 제공하여 필요한 형상을 유지하고, 지주(130)와 바퀴(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내부프레임(150)으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150)은 본체부(1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151)와 바닥부(15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벽부(152a∼152d)를 구비한다.
벽부(152a∼152d)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면 모두에 형성하여 내부프레임(150)을 4각통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또 앞쪽의 벽부(152a)는 높게, 양측면의 벽부(152b, 152c)는 뒤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뒤쪽의 벽부(152d)는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벽부(152a∼152d)가 바닥부(151) 전체 둘레에 모두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앞쪽의 벽부(152a)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쪽의 벽부(152a)에는 지주연결부(1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주연결부(153)는 지주(130)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13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앞쪽 벽부(152a)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부프레임(150)에는 바퀴(140)의 설치를 위한 바퀴설치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바퀴설치부(154)는 양측 벽부(152b, 152c)와 지주연결부(153)의 하단 부근에 동일선상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바퀴설치부(154)의 주변에 보강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지주(130)의 하단에도 관통공(134)을 형성하여 뒤에서 설명되는 바퀴(140)의 바퀴축(141)에 의해 지주(130)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40)가 결합되는 바퀴축(141)은 2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내부프레임(150) 양측에서 관통공 형태의 바퀴설치부(154)를 통해 삽입되어, 그 끝단은 지주연결부(153) 반대편까지 돌출되며, 그 돌출부위에 이탈방지링(143)이 결합되어 바퀴축(1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이탈방지링(143)은 일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탈방지링(143)이 결합되는 바퀴축(141)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바퀴축(141)에 바퀴(140)를 결합 후 내부프레임(150) 양측에서 바퀴축(141)을 관통공 형태의 바퀴설치부(154)를 통해 삽입 후 그 끝단에 전용도구를 이용해 이탈방지링(143)을 결합하면 바퀴(140)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바퀴(140)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또, 사용 중에 바퀴(140)가 파손되는 경우 이탈방지링(143)만 이탈시킨 후 바퀴축(141)을 이탈시키고 새로운바퀴(140)를 바퀴축(141)에 결합하여 앞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바퀴(140)를 다시 설치하면 되므로 바퀴(140)의 교체도 매우 용이하다. 또, 플라스틱 재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품질저하의 우려가 적다.
또, 핸드캐리어(130a)가 본체부(110)의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가방(100)을 멜빵(120)을 이용하여 등에 멜 때 걸리적거리거나 등이 배기는 것이 없어진다. 핸드캐리어(130a)는 가방(100)이 손쉽게 지면에서 끌리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가방(100)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바퀴(140)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바퀴(140)로는 일반바퀴, 유색 바퀴, 야광바퀴, 발광바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바퀴로 하여 차량운전자에 눈에 잘 띄게 하여 안전에 도움을 주게 하는 것이 좋다.
발광바퀴와 관련하여서는 실용신안등록 제284570호 "발광소자가 구비된 바퀴용 장신구", 제283978호 "바퀴용 발광장치", 제227839호 "회로부가 없는 발광바퀴", 제224167호 "휠발전기를 내장한 발광휠에 적용하는 허브조립체", 제223458호 "소형 휠발전기에 사용하기 위한 영구자석 조립체", 제222868호 "소형 휠발전기를 구비한 휠회전체에 사용하기 위한 광원배열 회로기판", 특허 제291213호 "소형 휠발전기 및 그를 구비한 발광휠 및 그 제조방법"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상의 선행기술에서는 자체적으로 발전기를 가지고 발전하여 전구를 통해 빛을 발광하며,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구성과 원리를 이용한 발광바퀴들이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다.
발광바퀴로는 위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건전지를 이용한 것 또는 이미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것 등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내부에는 가리개(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리개(160)는 가방(100)을 열었을 때 지주(130)와 내부프레임(150)의 바닥부(151)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것으로, 내부에 경질의 판을 배치하여 다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가리개(160)의 끝단과 본체부(110)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밸크로 파스너와 같은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포(162)가 부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서로 부착하거나 뗄 수 있다. 이 가리개(160)에 의해 가방 내부는 정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바퀴(140) 등이 파손되어 교체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가리개(160)를 들어 올린 상태로 교체작업을 하면 된다.
도 4는 이탈방지링의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이탈방지링 설치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링 설치구(10)는 손잡이(12)와 끝단에 이탈방지링 장착홈(15)이 구비된 이탈방지링 장착부재(14)로 이루어져 있다. 이탈방지링 장착부재(14)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이탈방지링(143)이 이탈방지링 장착홈(15)에 장착되는 경우 분할된 부분이 조금 벌어지면서 이탈방지링(143)을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또 설치과정에서 이탈방지링(143)의 개구된 부분이 더 벌어질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링 설치구(10)의 장착홈(15)에 이탈방지링(143)을 장착 후 그 개구부를 바퀴축의 홈을 향하게 하여 누르면 이탈방지링(143)이 바퀴축에 결합되게된다.
도 5는 내부프레임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바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퀴설치부 부위의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 내부프레임이 적용된 학생용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5 내부프레임(150)은 바닥부(151)와 바닥부(15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벽부(152a∼152d)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내부프레임(150)의 앞쪽 벽부(152a)의 내측면에는 지주연결부(1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부프레임(150)에는 바닥부(151)와 벽부(152)의 일측이 내측으로 바퀴의 일부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 바퀴설치부(156)가 구비된다. 이 바퀴설치부(156)에 바퀴지지프레임(145)을 통해 바퀴(140)가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지지프레임(145)은 상하로 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147)와 좌우로 구멍(148)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49)와 그 교차지점에 바퀴의 일부형상으로 형성되어 바퀴설치부(156)에 삽입되는 바퀴수용부(149a)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바퀴지지프레임(145)은 본체부(110) 외부에서 바퀴설치부(156)에 삽입되어 피스(148a)로 고정된다. 이 때 내부프레임(150)과 바퀴수용부(156)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110)의 일측도 바퀴설치부(156)에 삽입된다. 물론, 이 경우 내부프레임(150)에도 돌기(146)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57) 등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바퀴(140)의 설치상태는 도 7을 보면 알 수 있다. 이 가방(100)에서도 역시 본체부(110)의 전면에 핸드캐리어(130a)가 설치되고, 본체부 (110)의 배면쪽에 멜빵(120)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바퀴지지프레임(145)은 수직부(147)를 피스(148a)로 고정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나머지는 앞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바퀴를 설치하는 경우, 일측의 바퀴가 파손되더라도 그 바퀴지지프레임만 교체하면 되므로 바퀴의 교체가 매우 쉽다. 또, 바퀴지지프레임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가방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 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생용 가방은 핸드캐리어의 지주와 바퀴가 멜빵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손으로 끌고 다닐 수 있으면서도 핸드캐리어가 본체부의 전방 쪽에 배치되어 어깨에 메고 다니기에도 편하다.
또, 플라스틱부재가 외부로 많이 드러나지 않아 플라스틱부재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바퀴의 설치 및 교체가 매우 쉽다.
뿐만 아니라, 가방의 내부에서 가리개가 핸드 캐리어의 지주가 보이지 않도록 해주면서도 바퀴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해준다.
그 외에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인 멜빵안쪽과 등받이부분에 쿠션이 삽입되어있어 착용감이 뛰어나다.
또, 가방을 끌고 다니는 경우 발광바퀴가 발광하므로 차량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하기 용이하여 차량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야간에 더욱더 효과적이다.
나아가, 멜빵 근접부위에 후방포켓을 마련하여 가방을 끌고 다닐 경우 멜빵을 가방내의 넣어 보관하므로 걸리적거리거나 지면에 닿아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가방을 운반할 수 있으며, 그 외관이 미려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유연한 재질의 것이 소정 공간을 둘러 싸 필요한 물건을 수용할 수 있고 개폐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설치되고 끝단에 손잡이가 배치된 지주 및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주는 바퀴를 구비하는 학생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벽부 및 상기 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이 연결되는 지주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바퀴의 설치를 위한 바퀴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 반대편에 가방을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주연결부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바퀴설치부는 상기 바퀴의 바퀴축이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벽부와 상기 지주연결부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퀴의 바퀴축은 분리되어 상기 내부프레임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사각용기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바퀴의 바퀴축 외주면에는 상기 바퀴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일측이 개구된 이탈방지링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 내에는 상기 지주와 바닥부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가리개의 끝단과 상기 본체부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사각 용기형상으로 되고, 상기 바퀴는 발광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주연결부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바퀴설치부는 상기 바닥부와 벽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퀴설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사각용기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바퀴는 발광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7. 제 1항, 제 2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에는 상기 지주와 바닥부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가 다단으로 절첩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가리개의 끝단과 상기 본체부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가방.
KR20-2003-0006188U 2002-11-19 2003-03-03 학생용 가방 KR200316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188U KR200316317Y1 (ko) 2003-03-03 2003-03-03 학생용 가방
PCT/KR2003/000953 WO2004045329A1 (en) 2002-11-19 2003-05-14 Bag for a pupil
AU2003235216A AU2003235216A1 (en) 2002-11-19 2003-05-14 Bag for a pupil
AU2003286957A AU2003286957A1 (en) 2002-12-17 2003-12-17 A ba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arts of the bag
PCT/KR2003/002760 WO2004054399A1 (en) 2002-12-17 2003-12-17 A ba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arts of the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188U KR200316317Y1 (ko) 2003-03-03 2003-03-03 학생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17Y1 true KR200316317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188U KR200316317Y1 (ko) 2002-11-19 2003-03-03 학생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213B1 (ko) 2005-04-12 2006-09-27 배성환 책가방 및 배낭가방의 구조
CN115054045A (zh) * 2022-05-09 2022-09-16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军队军医用卫勤多功能综合行动支架和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213B1 (ko) 2005-04-12 2006-09-27 배성환 책가방 및 배낭가방의 구조
CN115054045A (zh) * 2022-05-09 2022-09-16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军队军医用卫勤多功能综合行动支架和使用方法
CN115054045B (zh) * 2022-05-09 2023-08-15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军队军医用卫勤多功能综合行动支架和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724B1 (en) Rolling walking support with a utility bag having interchangeable front panels providing alert indicia
USRE35245E (en) Novelty upper torso garment
US20080179362A1 (en) Cigarette lighter holder with built-in clip
US20150327647A1 (en) Illuminated bag
KR200316317Y1 (ko) 학생용 가방
KR100537913B1 (ko) 가방제조용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가방
JP3157853U (ja) バッグ形式組立式家具
JP2019167041A (ja) 車両用メッシュポケット
US20070039750A1 (en) Toll transponder case having functional attachments
ES2252641T3 (es) Prenda de vestir que comprende medios de fijacion temporal para un accesorio indumentario.
KR100914262B1 (ko) 가방용 래치겸 연결고리와 이를 사용한 체인저블 핸드백
KR100518725B1 (ko) 가방
KR200308823Y1 (ko) 핸드캐리어를 전방에 배치한 학생용 가방
WO2004045329A1 (en) Bag for a pupil
US201100570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ement of a Pacifier
WO2004054399A1 (en) A ba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arts of the bag
JP3143018U (ja) かばん
CN206155319U (zh) 自适应调节容纳空间的座椅背兜
US2187177A (en) Spectacle case
US1196760A (en) Headlight-dimmer.
KR19990008665U (ko) 가벼운 충격이 가해지면 램프가 점멸되는 신발용 장식물
US11944147B1 (en) Detachable cap lights
JP3472846B2 (ja) 吊下げ具
KR200325389Y1 (ko) 걸이용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가방
KR102044925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식품의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를 구비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50325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503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