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18Y1 - 생수통 적재대 - Google Patents

생수통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18Y1
KR200316218Y1 KR20-2003-0009426U KR20030009426U KR200316218Y1 KR 200316218 Y1 KR200316218 Y1 KR 200316218Y1 KR 20030009426 U KR20030009426 U KR 20030009426U KR 200316218 Y1 KR200316218 Y1 KR 200316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housing
seating
water bott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선
Original Assignee
이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선 filed Critical 이학선
Priority to KR20-2003-0009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의 주출구를 수용하도록 안착되는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지지부재가 방사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수통을 지지함으로서,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공간의 활용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적재대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생수통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수통 적재대{ice cube}
본 고안은 생수통을 적재하는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생수통을 적어도 2단 이상 적층하여 보관면적을 최소함과 동시에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생수통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공장의 폐수와 생활하수가 지중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생활용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음용수의 경우, 문제의 심각성은 매우 크며, 또한 근래에는 상수도에 대한 불신감이 커져 청정지역에서 채취된 음용수를 특정 용기 즉, 생수통에 담아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달하여 음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되지 않는 생수를 담는 생수통은, 500㏄ 이하의 소용량에서부터 10ℓ 또는 20ℓ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대용량이 있으며, 상기 생수통은 원통형의 병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 및 적재함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부가 개구되며, 생수통을 수용하는 박스가 사용되었으며, 이 박스의 내부에 생수통을 넣은 후,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박스를 적층시켜 보관하였다.
또한,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여유분의 생수통을 보관할 경우는, 박스가 없는 상태에서 빈생수통과 생수가 들어있는 생수통을 넓은 면적에 깔아 두어야 함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정리정돈이 불가능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3호로 출원하여 제149788호로 등록받은 "생수통용 적재블럭"이 사용되었다.
선출원된 생수통용 적재블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10)의 주출구(11)를 삽입하도록 적재블럭(100)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가이드공(101)과, 상기 생수통(10)의 주출구(11)와 몸통 사이에 형성된 상측경사부(12)를 저면에 삽입하여 적재블럭(100)을 고정시키는 저면가이드부(120)와, 상기 생수통(10)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돌출부(13) 및 중앙돌출부(113)를 적재블럭(100)의 상면에 삽입하여 안치시키는 상면가이드부(1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블럭(100)의 상면가이드부(110)는, 적재블럭(100)의 상단 가장자리에 환형턱(111)을 형성되고, 이 환형턱(111)의 내측에 생수통(10)의 환형돌출부(13)를 삽입시키는 가이드홈(112)을 형성되며, 생수통(10)의 중앙홈부(14)에 삽입되는 중앙돌출부(113)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블럭(100)의 저면가이드부(120)는, 생수통(10)의 상측경사부(12)를 삽입하는 역깔데기 형상의 삽입부(121)를 적재블럭(100)의 저면에 형성되고, 이 삽입부(121)의 내부에 리브(123)가 돌출된 경사면(122)을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근래의 생수통 적재블럭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시켜 부피가 크므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적재블럭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사용하지 못하고, 적재블럭 전체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생수통의 주출구를 수용하여 안착되는 적재대를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하므로,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공간의 활용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적재대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생수통 적재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수통의 주출구를 수용하도록 안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지지부재가 방사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수통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생수통용 적재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하우징 210: 내주면
220: 작동공간 230: 외주면
300: 지지부재 310: 결합돌기
320: 경사면 330: 안착공간
340: 안착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생수통 적재대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생수통(10)의 주출구(11)를 수용하도록 안착되는 하우징(200)이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지지부재(300)가 방사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수통(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200)은, 중앙이 관통되고 탄성홀(2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주면(210)이 구비되고, 이 내주면(210)의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작동공간(220)이 구비되며, 이 작동공간(220)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탄성홀(211)과 이격된 위치에 안착홈(231)이 형성된 외주면(2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작동공간(220)에 끼워짐과 동시에 안착홈(231)에 장착되는 결합돌기(310)가 구비되고, 상기 생수통(10)의 상측경사부(12)에 밀착되는 경사면(320)이 하단부 구비되며, 상기 생수통(10)의 환형돌출부(13)가 안착되는 안착공간(330)이 상단부에 구비되고, 이 안착공간(330)의 내측으로 상기 생수통(10)의 중앙홈부(14)가 밀착되는 안착면(340)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작동공간(220)에 지지부재(300)의 결합돌기(310)를 장착한다. 이때, 결합돌기(310)는, 외주면(230)의 안착홈(231)에 끼워지면서 작동공간(2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지지부재(300)를 하우징(200)의 안착홈(231)에 장착하면 된다.
또한, 생수통(10)을 적층시켜 보관할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300)가 장착된 하우징(200)을 생수통(10)에 주출구(11)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주출구(11)의 외면이 하우징(200)의 내주면(210)에 밀착되면서 가압하여 탄성홀(21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벌어지고, 내주면(210)의 탄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생수통(10)의 상측경사부(12)는 지지부재(300)의 경사면(320)이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수통(10)의 주출구(11)에 하우징(200)이 고정되면, 지지부재(300)의 안착공간(330)에 생수통(10')의 환형돌출부(13)를 안착시킨다.
이때, 생수통(10)의 중앙홈부(14)는 지지부재(300)의 안착면(340)에 안착됨과 동시에 안전하게 적층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적어도 2단 이상 적층시켜 보관할 수도 있고, 차량이 적층하여 운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300)를 사용중에 지지부재(300)의 결합돌기(310)가 파손되면, 사용자는 파손된 지지부재(300)를 하우징(200)의 안착홈(231)에서 이탈시킴과 동시에 다른 지지부재(300)로 대체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생수통의 주출구를 수용하여 안착되는 적재대를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하므로, 보관시에는 분해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공간의 활용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적재대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생수통(10)의 주출구(11)를 수용하도록 안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지지부재(300)가 방사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생수통(1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중앙이 관통되고 탄성홀(2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내주면(210)이 구비되고, 이 내주면(210)의 외측 둘레에 내측으로 작동공간(220)이 구비되며, 이 작동공간(220)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탄성홀(211)과 이격된 위치에 안착홈(231)이 형성된 외주면(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적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작동공간(220)에 끼워짐과 동시에 안착홈(231)에 장착되는 결합돌기(310)가 구비되고, 상기 생수통(10)의 상측경사부(12)에 밀착되는 경사면(320)이 하단부 구비되며, 상기 생수통(10)의 환형돌출부(13)가 안착되는 안착공간(330)이 상단부에 구비되고, 이 안착공간(330)의 내측으로 상기 생수통(10)의 중앙홈부(14)가 밀착되는 안착면(3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적재대.
KR20-2003-0009426U 2003-03-28 2003-03-28 생수통 적재대 KR200316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426U KR200316218Y1 (ko) 2003-03-28 2003-03-28 생수통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426U KR200316218Y1 (ko) 2003-03-28 2003-03-28 생수통 적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18Y1 true KR200316218Y1 (ko) 2003-06-18

Family

ID=4933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426U KR200316218Y1 (ko) 2003-03-28 2003-03-28 생수통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9541S1 (en) Three level nesting/stacking containers
ATE234582T1 (de) Lebensmittelbehälter
US20090188929A1 (en) Drinking Cup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and Straw Holder
US4892207A (en) Bottled water container
US6719134B2 (en) Toilet plunger storage device
MXPA03011689A (es) Tonel de material sintetico.
KR200316218Y1 (ko) 생수통 적재대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KR200473377Y1 (ko) 적층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뚜껑
CN220988403U (zh) 茶具收纳装置
KR100692217B1 (ko) 물통용 뚜껑의 적층구조
KR200149788Y1 (ko) 생수통용 적재블럭
KR200395123Y1 (ko) 제품 보관통
KR200375053Y1 (ko) 생수통 적재함
KR200340363Y1 (ko) 양념통 홀더
KR102008071B1 (ko) 빈병 수거용 바구니
JP4003120B2 (ja) ボトル用ホルダ
CN2356010Y (zh) 清洁桶
KR970006309Y1 (ko) 생수통 적층용 받침대
US20050121450A1 (en) Interlocking receptacles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KR200155294Y1 (ko) 수질개선용용기
KR200379382Y1 (ko) 적층 구조형 생수통
CN2375591Y (zh) 一种新型的糕饼盒
KR200399121Y1 (ko) 음료수 캔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