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55Y1 - 휴대용 비상 조명등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상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55Y1
KR200315755Y1 KR20-2003-0005555U KR20030005555U KR200315755Y1 KR 200315755 Y1 KR200315755 Y1 KR 200315755Y1 KR 20030005555 U KR20030005555 U KR 20030005555U KR 200315755 Y1 KR200315755 Y1 KR 200315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ase
lamp
bulb
la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청
Original Assignee
오세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청 filed Critical 오세청
Priority to KR20-2003-0005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21S9/024Emergency lighting devices using a supplementary light source for emergency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전구(5)가 설치되고 케이스(2) 내부에 수납되는 조명등 몸체(4)와; 조명등 몸체(4)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6)와; 조명등 몸체(4)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에 접속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8)와; 조명등 몸체(4)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몸체(4)를 케이스(2)에 삽입시킬시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를 오프시키고, 상기 조명등 몸체(4)를 케이스(2)로부터 들어 올리면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를 온시키는 온/오프스위치(7)로 이루어진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조명등(3)을 케이스(2)에 장착시키면 온/오프스위치(7)가 눌리면서 전구(5) 및 스피커(6)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조명등(3)을 케이스(2)에서 분리시키면 눌린 상태의 온/오프스위치(7)가 온되면서 전구(5)가 발광됨과 동시에 스피커(6)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탈출자가 조명등(3)을 들로 나가다가 가스에 질식되어 쓰러진다 하더라도 시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발생되는 경고음에 의해 탈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평상시에 케이스(2)로부터 조명등(3)을 분리시키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휴대용 비상 조명등 {A portable emergency flashlight}
본 고안은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면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소방법 시행령(제108조 제2항)에 의하면 다중이용업소의 구획된 실, 숙박시설의 객실마다 의무적으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며, 따라서찜질방, 산후조리원, 고시원, 전화방, PC방 등 다중이용업소에는 2003년 3월 29일 이후에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설치조건을 보면, 벽체에 설치된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관되다가 조명등을 케이스로부터 들어 올리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구가 온되면서 20분이상 발광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휴대용 비상 조명등은 두가지 문제가 발생되었는데, 조명등을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면 전구가 발광되기는 하지만, 이번 대구 지하철 참사시 증명된 바와 같이 역사 내에 전원이 차단되고 연기가 자욱한 경우 그다지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또한, 평상시에 이러한 종래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빼낸 후 점퍼 속이나 가방속에 넣어 가지 갈 경우, 이를 방지할 별다른 방법이 없었으며, 화재 발생 확률이 평생에 걸쳐서 한 두번이라고 가정한다면 휴대용 비상 조명등 설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설치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분실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된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로부터 조명등을 들어 올리면 전구가 켜지는 것은 물론 경고음이 발생되어 탈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등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은,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있어서, 일단에 전구가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는 조명등 몸체와; 상기 조명등 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조명등 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구 및 스피커에 접속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와; 상기 조명등 몸체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몸체를 케이스에 삽입시킬시 상기 전구 및 스피커를 오프시키고, 상기 조명등 몸체를 케이스로부터 들어 올리면 상기 전구 및 스피커를 온시키는 온/오프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명등을 케이스에 장착시키면 온/오프스위치가 눌리면서 전구 및 스피커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조명등을 케이스에서 분리시키면 눌린 상태의 온/오프스위치가 온되면서 전구가 발광됨과 동시에 스피커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탈출자가 조명등을 들로 나가다가 가스에 질식되어 쓰러진다 하더라도 시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발생되는 경고음에 의해 탈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평상시에 케이스로부터 조명등을 분리시키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2 및 도3은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보이는 단면도 및 그 회로도
도4 및 도5는 케이스에 장착된 조명등을 들어 올린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및 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케이스
3 ; 조명등 4 ; (조명등) 몸체
5 ; 전구 6 ; 스피커
7 ; 온/오프스위치 8 ; 베터리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을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2는 그 부분 단면도이며, 도3은 도2의 회로도로써, 이는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이 설치될 벽체(1)에 케이스(2)가 고정결합되고, 이 케이스(2)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조명등(3)이 안착된다.
이 조명등(3)에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조명등 몸체(4)가 구비되고, 이 조명등 몸체(4)의 상부 전방에는 전구(5)가 설치되며, 조명등 몸체(4)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스피커(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명등 몸체(4) 내부에는 베터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베터리(8)에는 전구(5)와 스피커(6)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등 몸체(4) 저면에는 온/오프스위치(7)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온/오프스위치(7)는 몸체(4)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조명등 몸체(4)가 케이스(2)에 삽입,장착될시 온/오프스위치(7)가 눌리면서 전구(5) 및 스피커(6)가 오프(off)되고, 도4 및 도5와 같이 조명등 몸체(4)가 케이스(2)로부터 들어 올려지면 온/오프스위치(7)가 복원되면서 전구(5) 및 스피커(6)가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은, 조명등(3)이 설치될 실내 벽체(1)에 케이스(2)를 고정결합시키고, 이에 조명등(3)을 안착시키게 되는바, 이때 도2와 같이 조명등(3) 저면에 돌출된 온/오프스위치(7)가 눌리면서 도3과 같이 베터리(8)의 전원이 스피커(6)와 전구(5)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4와 같이 조명등(3)을 들어 올리면 눌린 상태의 온/오프스위치(7)가 다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5와 같이 온/오프스위치(7)가 온되며, 이에 따라 베터리(8)의 전원이 스피커(6)와 전구(5)에 전달되어서 전구(5)가 발광됨과 동시에 스피커(6)에서 경고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조명등(3)을 케이스(2)에서 분리시키면 전구(5)가 발광됨과 동시에 스피커(6)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탈출자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실내의 전원이 끊기고 연기가 발생되어 시계가 확보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탈출자가 조명등(3)을 들고 그 불빛에 의해 탈출하다가 연기에 질식되어 쓰러지게 되어도 조명등(3)에서 발생되는 경고음에 의해 구조자는 탈출자의 위치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조명등(3)에서 발생되는 경고음에 의해 탈출자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쓰러져 있는 탈출자를 찾아 내어 신속하게 후송시킬 수 있어 촌각을 다투는 위급한 상황에서 생명을 건질 확률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보통 건물의 화재는 확률로 볼때 평생에 걸쳐서 한두번 일어나는 정도이며,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그 외의 나머지 긴 기간동안에는 설치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본 고안 휴대용 비상 조명등은 이러한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게 되는바, 케이스(2)에 장착된 조명등(3)을 이로부터 분리시키면 온/오프스위치(7)가 온(on)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그 경보음에 의해 주변의 시선이 집중되므로 누가 조명등(3)을 휴대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조명등(3)을 가지가고자 하는 동기를 사전에 차단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 조명등의 경보음은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경보음 중 하나의 경보음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명등(3)을 들어 올리면 온/오프스위치(7)가 온(on)되어 전구(5) 및 스피커(6)가 작동되는 구조는 상술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의하면, 조명등(3)을 케이스(2)에 장착시키면 온/오프스위치(7)가 눌리면서 전구(5) 및 스피커(6)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조명등(3)을 케이스(2)에서 분리시키면 눌린 상태의 온/오프스위치(7)가 온되면서 전구(5)가 발광됨과 동시에 스피커(6)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탈출자가 조명등(3)을 들로 나가다가 가스에 질식되어 쓰러진다 하더라도 시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발생되는 경고음에 의해 탈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평상시에 케이스(2)로부터 조명등(3)을 분리시키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휴대용 비상 조명등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대용 비상 조명등에 있어서,
    일단에 전구(5)가 설치되고 케이스(2) 내부에 수납되는 조명등 몸체(4)와;
    상기 조명등 몸체(4)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6)와;
    상기 조명등 몸체(4)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에 접속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8)와;
    상기 조명등 몸체(4)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몸체(4)를 케이스(2)에 삽입시킬시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를 오프시키고, 상기 조명등 몸체(4)를 케이스(2)로부터 들어 올리면 상기 전구(5) 및 스피커(6)를 온시키는 온/오프스위치(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20-2003-0005555U 2003-02-25 2003-02-25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200315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55U KR200315755Y1 (ko) 2003-02-25 2003-02-25 휴대용 비상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55U KR200315755Y1 (ko) 2003-02-25 2003-02-25 휴대용 비상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55Y1 true KR200315755Y1 (ko) 2003-06-09

Family

ID=4940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55U KR200315755Y1 (ko) 2003-02-25 2003-02-25 휴대용 비상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987B2 (ja) スイッチカバーの非常照明装置
US7786879B2 (en) Self-powered rechargeable smoke/carbon monoxide detector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US20070171084A1 (en) Personal safety device
SA08290550B1 (ar) محطة إنذار بالجذب حساسة للضوء
US6315431B1 (en) Pull chain with light
JP4884043B2 (ja) 地震保安灯
KR200315755Y1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101212648B1 (ko) 다기능 소화기
US20150061495A1 (en) Emergency-activated night light and methods for activating same
JPH087602A (ja) Sosブザー付き懐中電灯
KR102413183B1 (ko) 비상 손전등
JP2007318565A (ja) リモコン送信器、および照明装置
US20080001743A1 (en) Flashlight With Attached Audible Alarm
JP4065278B2 (ja) 防犯警報器
KR200324114Y1 (ko) 신호음 발생기능을 갖는 비상용 후레쉬의 스탠드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0427265Y1 (ko) 랜턴이 구비된 비상구 유도등
KR200329066Y1 (ko) 비상용구 함
KR200296201Y1 (ko) 비상경보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비상조명등
JP2016219155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装置
KR200402791Y1 (ko) 휴대용 비상 경보기
JP685102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装置
KR200320798Y1 (ko) 위치신호음 발생기능을 갖는 비상용 후레쉬
JP3222934U (ja) 緊急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