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58Y1 -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58Y1
KR200315658Y1 KR20-2003-0007573U KR20030007573U KR200315658Y1 KR 200315658 Y1 KR200315658 Y1 KR 200315658Y1 KR 20030007573 U KR20030007573 U KR 20030007573U KR 200315658 Y1 KR200315658 Y1 KR 200315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waste
foreign matter
crush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은
Original Assignee
미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7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에 의해 공급된 폐기물을 일정한 입도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 및 파쇄되는 폐기물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일정 입도별로 선별하는 선별기와, 상기 선별되는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조및 이물질이 분리되는 폐기물을 선별적재하는 선별적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서, 건설폐기물의 균일한 파쇄입도 유지와 파쇄골재의 품질을 향상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정도의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장치{ Device for waste selecting }
본 고안은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폐기물,토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등으로 구성되는 각종 건설폐기물을 재활용이 가능한정도의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다량으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무분별한 매립에 따른 자연환경파괴를 방지하고, 각종 복토용,매립용으로 재이용 하도록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의 재개발과 도로의 보수 등으로 최근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가 미미한 상태이고, 대부분의 건설폐기물이 땅속에 그대로 매립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자원의 낭비는 물론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이의 적극적인 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을 제반 법규에 적합한 정도의 품질상태로 재생하여 규정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재생골재를 얻기란 업계 및 폐골재처리장치의 현 기술수준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는, 대형의 고형화된 폐콘크리트나 폐아스팔트및 각종 건설부자재 등을 소정의 미립질로 파쇄, 분류하는 파쇄장치 및 선별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파쇄, 분류된 폐기물은 통상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단독으로 매립, 성토용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역시 보통의 골재와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 골조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시스템이 등록실용신안 26626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폐골재가 저장되어 있는 호퍼(30)와, 호퍼(30)에 연결되어 호퍼에서 공급된 폐골재를 일차적으로 파쇄시키는 제 1파쇄기(50)와, 제 1파쇄기(50)에서 파쇄된 폐골재가 이동되어 선별통(S1)을 통과하고 이송콘베이어(C2)에 의해 이동된 파쇄골재를 재차 파쇄시키는 제 2파쇄기(60)와, 제 2파쇄기(60)를 통과한 파쇄된 폐골재를 파쇄된 입도별로 일괄 선별 분류시키는 선별통(S2)과, 제 2파쇄기(60)를 거친 파쇄골재중에서 제 2선별통(S2)을 통과하지 못한 큰 입도의 파쇄골재를 다시 반송시켜 파쇄시킨 후에 다시 상기 제 2선별통(S2)로 공급시키도록 구성되며, 각 파쇄기와 선별통 사이에는 다수의 이송콘베이어(C1)(C3)와 반송콘베이어 (C6)(C7)가 구동롤러(35)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은, 공정라인이 길게 설치되어 장치의 설치를 위한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다수의 공정에 의해 선별작업이 진행되며, 일괄공정에 의한 선별작업이 힘들게 되고, 폐기물의 크기별 선별및 이물질이 완벽하게 분리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토양매립지등의 쓰레기, 건설폐기물등을 선별통,선별공을 서로 상이한 직경과 상이한 크기로 천공하여 하나의 동력으로 서로 다른 입도별로 분리 선별하는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파쇄및 선별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평면구조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선별장치의 선별통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선별장치의 선별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5a,5b,5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선별장치의 이물질 분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파쇄기 200...선별기
230...수조 310...챔버
320...격판 350..송풍기
410...배출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호퍼에 의해 공급된 폐기물을 일정한 입도 이하로 파쇄할수 있도록한 파쇄기;
파쇄되는 폐기물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일정 입도별로 선별하도록 선별수단을 갖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되는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조;및,
이물질이 분리되는 폐기물을 선별적재하는 선별적재부를 포함하는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파쇄기(100)와 선별기(200)및 이물질분리조(300)와 선별적재부(4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파쇄기(100)는, 일측에 연결되는 호퍼(110)에 투입되는 폐기물을 일정한 입도 이하로 파쇄할수 있도록 죠크러셔(1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와 죠크러셔(120) 사이는 콘베이어벨트(150)로서 연결된다.
상기 파쇄기(100)에서 일정입도로 파쇄되는 폐기물이 콘베이어벨트(150)로서 공급되는 선별기(200)는, 선별통(210)을 통하여 일괄공정으로 다수 입도의 폐기물를 선별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통(210)은, 상이한 직경을 갖으면서 원통상으로 형성되는제1,2선별통(210a)(210b) 및 상기 선별통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10c)와 상기 선별통의 내측에서 폐기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날(210d)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제1선별통은 제2선별통의 내경측에 장착되면서 일단이 동일선상에 연결되고, 타단의 제1선별통은 제2선별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되고, 상기 선별통의 타단에 배출홀(210f)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통(210)은, 서로 상이한 직경의 제1,2선별통(210a)(210b)이 설치되고 그 제1,2선별통(210a)(210b)는 서로 상이한 선별공(210g)을 갖으면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이한 입도로별로 폐기물을 분리 선별하고 한다. 제2선별통(210a)의 선별공은 제1선별통(210b)의 선별공보다 선별공의 직경이 커야 한다.
더하여, 상기 제1,2선별통과 대응하여 낙하되는 폐기물을 배출하도록 콘베이어(25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선별통을 통과하는 폐기물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되는 이물질 분리조(300)는, 상기 콘베이어(250)에서 각각 분리 투입되는 콘크리트가 낙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챔버(310)를 갖는 하우징(310)과 개체 챔버(310)를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격판(320)및 상기 챔버(31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350)로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분리조(250)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배출관(410)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호퍼(420)및 상기 배출관과 배출호퍼에 각각 대응토록 설치되는 이송콘베이어(450)로서 이물질및 입도별도 선별되는 폐기물을 선별적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별통(210)을 상이한 직경과 선별공(210g)을 갖으면서 원통상으로 형성되는 제1,2선별통(210a)(210b)을 설치하여 각각 상이한 입도별로 폐기물을 분리 선별함으로써 동력비를 절감함은 물론 각각 서로 다른 입도별로 분리 선별함으로써 재이용율을 대폭 향상시켜 매립으로 인한 환경파괴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

  1. 일측에 연결되는 호퍼(110)에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일정한 입도 이하로 파쇄할수 있도록 죠크러셔(120)가 배치되는 파쇄기(100);
    상기 파쇄기(100)에서 일정입도로 파쇄되는 폐기물을 일괄공정에 의해 선별되도록 선별통(210)이 설치되는 선별기(200);
    입도별도 분리되는 콘크리트가 낙하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챔버(310)를 갖는 하우징(310)과 개체의 챔버(310)를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격판(320)및 상기 챔버(31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기(350)로서 이루어 지는 이물질분리조(300); 및,
    상기 이물질 분리조(250)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배출관(410)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호퍼(420)및 상기 배출관과 배출호퍼에 각각 대응토록 설치되는 이송콘베이어(450)로서 이루어지는 선별적재부(400)를 포함하는 구성하여 이루어진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통(210)은, 서로 상이한 직경의 제1,2선별통(210a)(210b)이 설치되고 그 제1,2선별통(210a)(210b)는 서로 상이한 선별공(210g)을 갖으면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이한 입도로별로 폐기물을 분리 선별하는 장치
KR20-2003-0007573U 2003-03-13 2003-03-13 폐기물 선별장치 KR200315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573U KR200315658Y1 (ko) 2003-03-13 2003-03-13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573U KR200315658Y1 (ko) 2003-03-13 2003-03-13 폐기물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877A Division KR100497255B1 (ko) 2003-03-13 2003-03-13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58Y1 true KR200315658Y1 (ko) 2003-06-09

Family

ID=4933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573U KR200315658Y1 (ko) 2003-03-13 2003-03-13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250B1 (ko)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930324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및 가연물의 입도·성상별 선별방법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0881217B1 (ko)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KR100497255B1 (ko) 폐기물 선별장치
JP2005199132A (ja) 可燃ごみ選別システム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315658Y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100189690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100472078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임목폐기물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184640Y1 (ko) 폐기물 2단 역회전 선별시스템
CN112808427A (zh) 一种固体废料多级分类处理工艺
KR20028424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KR200331279Y1 (ko) 수평 다단식 회전 디스크 선별기
US6193178B1 (en)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0425026B1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956361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혐기성 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