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520Y1 -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520Y1
KR200315520Y1 KR20-2003-0005515U KR20030005515U KR200315520Y1 KR 200315520 Y1 KR200315520 Y1 KR 200315520Y1 KR 20030005515 U KR20030005515 U KR 20030005515U KR 200315520 Y1 KR200315520 Y1 KR 200315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n
cleaner
half bodies
body portion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욱
Original Assignee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5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양치 크리너는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도록 액체 흡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봉투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1), 이 바디부(1)에 삽입되는 손가락 끝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 겹으로 형성되어 치아에 직접 문질러지면서 양치 작용하게 되는 양치부(3), 그리고 이 양치부(3)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포되어 있는 치약 성분층(5)으로 구성되어; 이 양치 크리너(A, B)를 제1, 2 하프 바디(15, 17) 및 양치 원액 보존홈(19, 21)으로 형성되는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C)에 넣어 보관함으로서; 여행 시, 칫솔 및 치약을 휴대할 필요 없이 간단히 휴대하면서 편리한 양치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Cleaner for wiping teeth and packing case thereof}
본 고안은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과 치약의 휴대가 곤란한 경우도 간단히 휴대하여 편리한 양치를 가능케 하는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여행 중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칫솔이나 치약의 휴대가 곤란하기 때문에 별도로 제조된 여행용 칫솔 및 소형 튜브의 치약을 휴대하게 된다. 그러나 이 여행용 칫솔 및 치약은 일반 칫솔이나 치약보다 휴대가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여행용 칫솔 및 치약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여행자는 산뜻한 양치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차선책으로 손가락으로 치아를 대강 문지르거나 양치액을 사용하여 입안을 대강 세척해 내는 정도로 양치를 마치게 된다. 그러나 이 양치액은 여행용 칫솔과 치약의 동반 휴대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일시적으로 입 냄새만을 제거할 뿐이지 양치 후 느낄 수 있는 산뜻함을 지속시키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칫솔은 칫솔을 사용하기 곤란한 유아나 어린이 및 노인 그리고 치아교정 중인 사람 등과 같이 치아가 부실한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못한 단점을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여행용 칫솔과 치약의 휴대를 불필요하게 하면서 양치 후 산뜻함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고, 일반적인 칫솔을 사용하기 곤란하거나 치아가 부실한 사용자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양치 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양치 크리너를 효과적으로 보관 및 휴대케 하는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양치 크리너는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도록 부직포, 섬유, 펄프 및 합지 등과 같은 액체 흡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봉투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 이 바디부에 삽입되는 손가락 끝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 겹으로 형성되어 치아에 직접 문질러지는 양치부; 그리고 이 양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포되어 있는 치약 성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는 상기의 양치 크리너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의 사출물로 성형되어 대향 구조로 개폐되는 제1, 2 하프 바디; 이 제1, 2 하프 바디에 대칭 구조로 움푹 파인 상태로 형성되어 양치 크리너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을 일정 기간 보존시키는 양치 원액 보존홈; 그리고 제1, 2 하프 바디를 상호 결합 및 해제시키도록 제1, 2 하프 바디의 외곽 대향 측에 각각 형성되는 록킹 돌기와 록킹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접힌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부 3 : 양치부
5 : 치약 성분층 7 : 내측 가장자리
9 : 부직포 11 :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13 : 절취선 15, 17 : 제1, 2 하프 바디
19, 21 : 양치 원액 보존홈 23 : 록킹 돌기
25 : 록킹 홈 A, B, D : 양치 크리너
C :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 a : 길이 차이
E : 엠보싱 처리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A)의 접힌 상태의 사시도로서, 바디부(1), 양치부(3), 그리고 치약 성분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부(1)는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부직포, 섬유, 펄프 및 합지와 같은 액체 흡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바디부(1)는 그 일측으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봉투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는 액체 흡수성 원단을 복수 회 절곡하고, 이렇게 절곡된 내측 가장자리(7)를 상호 부착됨으로서 봉투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바디부(1)의 액체 흡수성 원단은 부직포, 섬유, 펄프, 또는 부직포에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을 부착한 합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3b는 합지로 이루어진 바디부(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바디부(1)는 외측의 부직포(9)와 이 부직포의 상호 내측에 부착된 폴리에틸렌수지 필름(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직포(9)는 다른 재질의 액체 흡수성 원단과 같이 바디부(1)가 양치 원액을 머금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폴리에틸렌수지 필름(11)은 바디부(1)에 손가락을 넣었을 때 부직포(9)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묻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폴리에틸렌수지 필름(11)은 바디부(1)에 손가락을 넣어서 양치 크리너(A)를 사용할 때, 손가락에 묻은 이물질이 치아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의 양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바디부(1)는 그 일측의 길이와 다른 일측의 길이가 상당한 차이(a)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의 길이 차이(a)는 바디부(1)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고 바디부(1) 안으로 손가락의 삽입을 편리하게 한다.
이 바디부(1)의 일측에는 양치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치부(3)는 치아에 문질러지면서 직접 양치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바디부(1)로 삽입되는 손가락 끝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양치부(3)는 치아에 문질러지면서 마모되는 것을 감안하여 다수의 겹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는 4겹으로 구성된 양치부(3)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3겹이 양치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양치부(3)의 겹 수는 양치부(3)를 형성하는 액체 흡수성 원단의 재질에 강도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 겹 구조를 이루는 양치부(3)는 치아를 닦는 촉감을 부드럽게 한다.
이 양치부(3)는 원활한 양치 작용을 위하여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으며, 그 일측 또는 양측에는 치약 성분층(5)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와 도 3b는 일측에만 치약 성분층(5)이 구비된 양치부(3)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B)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양치 크리너(A)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에는 도 1의 양치 크리너(A) 및 도 4의 양치 크리너(B)를 상호 비교 설명한다.
즉, 도 1의 양치 크리너(A)는 바디부(1)의 일측과 다른 일측의 길이 차이(a)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나, 도 4의 양치 크리너(B)는 바디부(1)의 일측과 다른 일측의 길이 차이(a)를 제거하고 이 길이 차이(a)에 해당하는 위치에 절취선(13)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절취선(13)에 의하여 바디부(1)의 일측은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케 하는 플랩(14)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절취선(13)과 플랩(14)은 바디부(1) 안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D)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양치 크리너(A)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에는 도 1의 양치 크리너(A) 및 도 5의 양치 크리너(D)를 상호 비교 설명한다.
즉, 도 1의 양치 크리너(A)는 바디부(1) 및 양치부(3)가 균일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5의 양치 크리너(D)는 바디부(1) 및 양치부(3)에 엠보싱 처리(E)되어 있다. 이 엠보싱 처리된 바디부(1)는 사용자의 촉감을 좋게 하고, 엠보싱 처리된 양치부(3)는 치아에 쿠션감을 주어 양치 효과를 배가시킨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치 크리너(A, B, D)는 각각 낱개 또는 다수 개로 포장될 수 있으나, 도 6a 및 도 6b에는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C)에 포장되어 있다. 이 포장 케이스(C)는 양치 크리너(A, B, D)의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한다.
이 포장 케이스(C)는 제1, 2 하프 바디(15, 17)와 양치 원액 보존홈(19, 21) 그리고 록킹 돌기(23)와 록킹 홈(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2 하프 바디(15, 17)는 양치 크리너(A, B, D)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잉 사용 시까지 증발되지 않고 머금고 있도록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제1, 2 하프 바디(15, 17)는 상호 대칭 구조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폐쇄 시에는 양치 원액 보존홈(19, 21) 또는 양치 크리너(A, B, D)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양치 원액 보존홈(19, 21)은 이 제1, 2 하프 바디(15, 17)에 대칭 구조로 움푹 파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양치 원액 보존홈(19, 21)에는 양치 크리너(A, B, D)의 양치부(5)와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는 바디부(1)의 일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 양치 원액 보존홈(19, 21)이 형성된 제1, 2 하프 바디(15, 17)의 외곽에는 록킹 돌기(23)와 록킹 홈(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록킹 돌기(23)와 록킹 홈(25)은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 및 분리됨으로서, 제1, 2 하프 바디(15, 17)의 록킹 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치 크리너는 바디부, 양치부, 및 치약 성분층으로 구성되어, 양치부 및 바디부 일부분에 양치 원액을 머금은 상태로 양치부에 치약 성분층을 구비함으로서, 여행 시 칫솔 및 치약을 휴대하지 않고도 산뜻하게 양치질 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이 양치 크리너를 제1, 2 하프 바디 및 양치 원액 보존홈으로 이루어지는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에 넣어서 보관함으로서, 양치 크리너의 보관 및 휴대를 더욱 편리하게 한다.

Claims (4)

  1. 양치 원액을 머금고 있도록 액체 흡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봉투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1);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는 손가락 끝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 겹으로 형성되어 치아와 직접 문질러지면서 양치 작용하게 되는 양치부(3);
    상기 양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포되어 있는 치약 성분층(5)을 포함하는 양치 크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의 액체 흡수성 원단은 부직포, 섬유, 펄프, 그리고 부직포에 폴리에틸렌수지 필름를 부착한 합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양치 크리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 및 양치부(3)는 엠보싱 처리(E)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크리너.
  4. 청구항 1에 기재된 양치 크리너(A, B)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되어 대향 구조로 개폐되는 제1, 2 하프 바디(15, 17);
    상기 제1, 2 하프 바디(15, 17)에 상호 대칭 구조의 움푹 파인 상태로 형성되어 양치 크리너(A, B)가 머금고 있는 양치 원액을 일정 기간 보존시키는 양치 원액 보존홈(19, 21);
    상기 제1, 2 하프 바디(15, 17)의 상호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제1, 2 하프 바디(15, 17)의 외곽 대향측에 각각 형성되는 록킹 돌기(23)와 록킹 홈(25)을 포함하는 양치 크리너 포장 케이스.
KR20-2003-0005515U 2003-02-25 2003-02-25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KR200315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15U KR200315520Y1 (ko) 2003-02-25 2003-02-25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15U KR200315520Y1 (ko) 2003-02-25 2003-02-25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520Y1 true KR200315520Y1 (ko) 2003-06-02

Family

ID=4933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15U KR200315520Y1 (ko) 2003-02-25 2003-02-25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5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54A (ko) * 2014-07-08 2016-01-18 박선섭 양치용 골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54A (ko) * 2014-07-08 2016-01-18 박선섭 양치용 골무
KR101635077B1 (ko) 2014-07-08 2016-06-30 박선섭 양치용 골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428A (en) Biodegradable toothbrush
EP0784949B1 (en) Mouth Cleaners
US3556667A (en) Scrubbing implements
KR20080038188A (ko) 액체 저장 및 적용 시스템을 갖는 일회용 와이프
US10080469B2 (en) Bathing towel
US6019773A (en) Tongue cleaner
BR112014019329B1 (pt) Produto para limpeza para remoção de maquiagem
KR20200076673A (ko) 구강 세정용 세정 슬리브
US4251897A (en) Disposable toothbrush
BR8102729U (pt) Dispositivo portátil para higienização dental
KR200315520Y1 (ko) 양치 크리너 및 그 포장 케이스
AU779382B2 (en) A portable disposable personal article containing a product for body care
US20100064463A1 (en) Wipe assembly
KR200398482Y1 (ko) 양치 클리너
JP2007029730A (ja) 歯牙クリーナー
JP2017127655A (ja) 口腔ケア具
JP3223067U (ja) 体拭き用おしぼり
JP6207883B2 (ja) ウエットシート収容体
US6464103B1 (en) Dental cloth
KR200488330Y1 (ko) 화장용 퍼프
KR20210092509A (ko) 퍼프세척기능이 있는 쿠션용기
KR200220953Y1 (ko) 1회용 치아청소구
RU2514860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лока салфеток
JP2005508698A (ja) 糸楊枝を備えた歯牙洗浄紙
JPH0856966A (ja) 携帯用歯の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