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377Y1 - 진공 양수기 - Google Patents

진공 양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377Y1
KR200315377Y1 KR20-2003-0008239U KR20030008239U KR200315377Y1 KR 200315377 Y1 KR200315377 Y1 KR 200315377Y1 KR 20030008239 U KR20030008239 U KR 20030008239U KR 200315377 Y1 KR200315377 Y1 KR 200315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uction
water
discharg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행제
Original Assignee
박행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행제 filed Critical 박행제
Priority to KR20-2003-0008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7/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fluids from great depths, e.g. well pumps
    • F04B47/02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fluids from great depths, e.g. well pumps the driving mechanisms being situated at groun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181Axial flow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3/00Axial-flow pumps
    • F04D3/02Axial-flow pumps of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1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a hinged or pivoted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수를 펌핑할 때 사용하는 진공 양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수기의 구동시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핑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고, 이송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진공 양수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유체를 펌핑하는 진공 양수기(1)에 있어서, 풀리(2)가 결합된 구동축(3)을 지지하는 축지부(4)를 갖는 몸체(5)의 내부에 저수실(6)이 형성되게 커버(7)로 밀폐하고, 저수실(6)내에는 저수실(6)로 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8a)와, 축지부(4)측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흡입관(11)이 배관되어 있는 흡입실(9)과 연통되게 구동축(3) 외연부에 흡입구(8b)를 형성한 펌핑실(8)을 별도로 마련하여 임펠러(10)를 결합하며, 저수실(6) 상측으로는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공(13)이 형성되며, 커버(7)의 외측으로는 배출공(13)과 이웃하는 흡입공(14)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토출관(15)이 결합된 스크류케이스(16)를 결합하여 내부에 가압실(17)을 형성하되, 배출공(13)과 흡입공(14)은 이송커버(18)로 연결 구성하고, 가압실(17)에는 임펠러(10)를 구동하는 구동축(3)을 연장하여 토출관(15)측으로 용수를 가압 이송하는 스크류(19)를 축고정 함으로써, 펌핑실(8)을 포함하는 저수실(6)에 항상 용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재 가동시 별도의 진공 처리를 행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신속한 재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관(15)으로 배출되는 용수의 경우 가압실(17) 내에서 스크류(19)에 의해 토출 압력이 극대화되게 한 것다.

Description

진공 양수기{Vacuum water pump}
본 고안은 용수를 펌핑할 때 사용하는 진공 양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양수기의 구동시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핑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고, 이송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진공 양수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용수를 펌핑할 때 사용되고 있는 진공 양수기의 경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이 축설치되어 있는 몸체 내측으로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펌핑실을 형성하고, 펌핑실 내에는 임펠러를 축결합하며, 축방향의 커버상에는 용수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을 형성하고 몸체의 상측으로는 축직각방향으로 토출관을 형성하여 용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펌핑실 내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토출 압력에 의해 펌핑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흡입구로 용수를 흡입하고이를 토출구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 양수기는 단순히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용수를 토출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토출 압력이 낮아 높은 곳으로의 용수 이동이 어려웠으며, 또한 양수기의 구조상 흡입구 위치가 몸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임펠러와 동일 축상에 위치하게 되는바, 양수기를 정지하게 되면 펌핑실에 채워져 있던 용수가 흡입관으로 역 배출되어 펌핑실 내에 용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재 가동을 위해서 펌핑실에 용수를 새로 투입하여 펌핑실을 진공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수기의 불합리한 구조를 적극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펌핑실 일측으로 가압실을 별도로 형성하여 유체를 가압 이송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흡입공과 배출공을 펌핑실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에 용수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디스크를 마련하여 펌핑실 내부에 항상 유체가 가득 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재 가동시 별도의 진공처리 과정 없이 양호한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 양수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압실과 흡입공의 연결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가압실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송커버에 디스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진공) 양수기 2:풀리
3:구동축 4:축지부
5:몸체 6:저수실
7:커버 8:펌핑실
8a:토출구 8b:흡입구
9:흡입실 10:임펠러
11:흡입관 12:디스크
13:배출공 14:흡입공
15:토출관 16:스크류케이스
17:가압실 18:이송커버
18a:돌출부 19:스크류
19a:이송날 20:디스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 등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코자 하는 양수기(1)는 구동수단으로 구동 될 수 있는 풀리(2)가 결합된 구동축(3)을 지지하는 축지부(4)를 갖는 몸체(5)의 내부에 저수실(6)이 형성되게 커버(7)로 밀폐하고, 저수실(6)내에는 저수실(6)로 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8a)와, 축지부(4)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실(9)과 연통되게 구동축(3) 외연부에 흡입구(8b)를 형성한 펌핑실(8)을 별도로 마련하고, 이에는 임펠러(10)를 결합하여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실(9)의 상측으로는 흡입관(11)을 배관하고, 흡입실(9) 내측으로 도출된 흡입관(11) 단부에는 자중에 의해 흡입관(11)을 차단하는 디스크(12)를 결합 구성하여 양수기(1)를 구동 시에는 흡입관(11)이 개방되고, 반대로 구동을 중단할 시에는 흡입관(11)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저수실(6) 상측으로는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7)의 외측으로는 배출공(13)과 이웃하는 흡입공(14)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토출관(15)이 결합된 스크류케이스(16)를 결합하여 내부에 가압실(17)을 형성하되, 저수실(6) 상측의 배출공(13)과 스크류케이스(16) 상측의 흡입공(14)은 이송커버(18)로 연결 구성하고, 가압실(17)에는 임펠러(10)를 구동하는 구동축(3)을 연장하며 이에는 토출관(15)측으로 용수를 가압 이송할 수 있는 스크류(19)가 축고정 된다.
상기 가압실(17)과 흡입공(14)의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9)가 회전하는 방향측이 넓고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구성되어 흡입공(14)으로 공급되는 용수가 토출관(15)측으로 가압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스크류(19)의 경우 가압측으로 약10°정도 기울어진 이송날(19a)이 1개인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이송날(19a)을 2개 이상의 복수형으로 구성하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1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커버(18) 또는 토출관(15)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디스크(20)를 결합 구성하여 양수기(1)를 구동시에는 저수실(6) 측의 유체가 토출관으로 토출되고, 반대로 구동을 중단할 시에는 저수실(6)과 가압실(17)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커버(18)에 결합되는 디스크(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3)측에서 흡입공(14) 측으로 경사진 돌출부(18a)를 형성하고 돌출부(18a)상에 상단이 고정된 디스크(20)가 면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각 구성부재간에 개재되는 패킹을 도시한 것이고, 22는 각 구성부재를 결합 고정하는 볼트, 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23은 구동축(3)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진공 양수기(1)는 용수를 펌핑하는 용도로사용되는 것으로 구동시 별도로 진공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극히 용이하게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토출력을 증대시켜 이송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예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진공 양기수(1)를 이용하여 용수를 펌핑코자 할 시에는 먼저 펌핑 대상 용수에 일단이 잠겨진 흡입관체를 흡입관(11)에 결합하고, 토출관(15)에 배수호스를 결합한 상태에서 구동수단과 풀리(2)간에 벨트를 걸어 구동축(3)을 회전시키면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단 최초 구동시에는 저수실(6)에 용수를 가득 채워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축(3)을 회전시키게 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0)에 의해 펌핑실(8) 내에 고압의 진공압이 형성되면서 흡입관(11)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체측의 용수를 빨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흡입실(9) 내측으로 도출된 흡입관(11)에 결합되어 있는 디스크(12)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펌핑실(8)로 흡입되는 유체는 저수실(6)로 배출되고 저수실(6)로 배출된 용수는 저수실(6)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13)과 흡입공(14)을 통해 커버(7)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케이스(16) 내측의 가압실(17)로 공급되며, 가압실(17)로 공급된 유체는 임펠러(1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3)상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9)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토출관(15)으로 토출된다. 이때 스크류(19)의 경우 가압측으로 약 10°정도 기울어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수의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스크류(19)의 이송날(19a)을 복수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9)를 테이퍼형으로 구성할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용수를가압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공 양수기(1)로 용수를 펌핑 하다가 진공 양수기(1)의 구동을 멈추게 되면 펌핑실(8)을 포함하는 저수실(6) 내부에는 용수가 종래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진공 양수기(1)에 의하면 펌핑실(8)의 위치가 흡입관(11) 및 토출관(15)의 위치보다 아래측에 위치되고, 또한 흡입실(9)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크(12)와 이송커버(18) 또는 토출관에 마련되는 디스크(20)에 의해 저수실(6)이 밀폐되므로 저수실(6) 내에는 항상 용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진공 양수기(1)를 재 가동할 시 별도로 용수를 채워 진공시키는 번거로움 없이도 신속하게 재가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진공 양수기(1)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진공 양수기의 구조적인 결함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펌핑실(8)을 포함하는 저수실(6)에 항상 용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재 가동시 별도의 진공 처리를 행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신속한 재가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관(15)으로 배출되는 용수의 경우 가압실(17) 내에서 스크류(19)에 의해 토출 압력이 극대화되므로 높은 위치로의 용수 펌핑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기존 양수기로 펌핑이 불가능한 지역 등에서도 양수를 행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유체를 펌핑하는 양수기(1)에 있어서,
    풀리(2)가 결합된 구동축(3)을 지지하는 축지부(4)를 갖는 몸체(5)의 내부에 저수실(6)이 형성되게 커버(7)로 밀폐하고,
    상기 저수실(6)내에는 저수실(6)로 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8a)와, 축지부(4)측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흡입관(11)이 배관되어 있는 흡입실(9)과 연통되게 구동축(3) 외연부에 흡입구(8b)를 형성한 펌핑실(8)을 별도로 마련하여 임펠러(10)를 결합하며,
    상기 저수실(6) 상측으로는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공(13)이 형성되며, 커버(7)의 외측으로는 배출공(13)과 이웃하는 흡입공(14)과 토출관(15)이 결합된 스크류케이스(16)를 결합하여 내부에 가압실(17)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공(13)과 흡입공(14)은 이송커버(18)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가압실(17)에는 임펠러(10)를 구동하는 구동축(3)을 연장하여 토출관(15)측으로 용수를 가압 이송하는 스크류(19)를 축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양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9) 내측으로 도출된 흡입관(11) 단부에는 자중에 의해흡입관(11)을 차단하는 디스크(12)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이송커버(18)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디스크(20)를 결합하여 진공 양수기(1)를 정지 시에는 저수실(6)의 양측을 밀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양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9) 내측으로 도출된 흡입관(11) 단부에는 자중에 의해 흡입관(11)을 차단하는 디스크(12)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토출관(15)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디스크(20)를 결합하여 진공 양수기(1)를 정지 시에는 저수실(6) 및 가압실(17)을 밀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양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17)과 흡입공(14)의 연결은 스크류(19)가 회전하는 방향측이 넓고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9)는 이송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기.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9)는 2개 이상의 이송날(19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기
  7.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9)의 이송날(19a)은 이송방향으로 약10° 기울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기.
KR20-2003-0008239U 2003-03-19 2003-03-19 진공 양수기 KR200315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39U KR200315377Y1 (ko) 2003-03-19 2003-03-19 진공 양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39U KR200315377Y1 (ko) 2003-03-19 2003-03-19 진공 양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377Y1 true KR200315377Y1 (ko) 2003-06-02

Family

ID=4940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39U KR200315377Y1 (ko) 2003-03-19 2003-03-19 진공 양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3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215B1 (en) Membrane pump
TWI564484B (zh) Pump
US7008197B2 (en) Debris evacu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il pump
JPH08312577A (ja) 回転液体ポンプとそのためのインペラ・軸組立体および可撓インペラポンプ組立体
KR200315377Y1 (ko) 진공 양수기
KR101872170B1 (ko) 곡선형 만곡부와 연결돌기형 날개구조 임펠러가 적용된 맨홀 펌프
US7404702B2 (en) Debris evacu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il pump
KR101677072B1 (ko) 웨어링을 갖는 케이싱링 및 이를 포함하는 양흡입 펌프
KR20210107528A (ko) 샤프트 바이패스 유체 리-벤트들이 있는 재생 블로워-컴프레서
KR101062207B1 (ko) 입형 다단 펌프
KR200318618Y1 (ko) 진공 양수기
KR100381801B1 (ko) 고압 용적식 펌프
KR100594627B1 (ko) 진공 양수기
JP4159733B2 (ja) 自吸式ポンプ装置
WO2006122359A3 (en) Hydraulic pump assembly
JP2006090134A (ja) 攪拌羽根を具備する竪型水中ポンプ
CN211287989U (zh) 一种矿用气动清淤排污泵装置
CN117212143B (zh) 一种抑制间隙回流的叶片泵
JPS6133997B2 (ko)
JPS5824637B2 (ja) 自吸式ポンプ
KR100371745B1 (ko) 슬러지 펌핑장치
US20160146208A1 (en) Scroll compressor
CN211397898U (zh) 一种高效水环真空泵
CN210660703U (zh) 一种新型卧式泥浆泵
KR200416847Y1 (ko) 스크루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