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241Y1 -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 Google Patents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241Y1
KR200315241Y1 KR20-2003-0006579U KR20030006579U KR200315241Y1 KR 200315241 Y1 KR200315241 Y1 KR 200315241Y1 KR 20030006579 U KR20030006579 U KR 20030006579U KR 200315241 Y1 KR200315241 Y1 KR 200315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tape measure
low flow
r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봉
Original Assignee
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봉 filed Critical 최기봉
Priority to KR20-2003-0006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0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means to prevent fault-level readings due to turbulence of the fluid, e.g. special floa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유 탱크의 뚜껑을 열지 않고 작은 파이프관에 부력체를 바로 삽입함과 동시에 곧바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부력체가 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걸림 되지 않게 하고, 중량과 부력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밸런스를 장착하여 탱크 내에 유류를 유입할 때 소용돌이치는 거센 바람에도 요동이 없게 하는 한편, 유류가 닿게 되는 부위를 적게 하여 흔들림이 방지되게 하고, 줄자와 고리로 연결되게 하여 충격을 받으면 자체 회전토록 하고, 줄자가 휘발유의 강한 성분에도 이상이 없도록 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omitted}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 267834 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유 탱크의 뚜껑을 열지 않고 작은 파이프관에 부력체를 바로 삽입함과 동시에 곧바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부력체가 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걸림 되지 않게 하고, 중량과 부력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밸런스를 장착하여 탱크 내에 유류를 유입할 때 소용돌이치는 거센 바람에도 요동이 없게 하는 한편, 유류가 닿게되는 부위를 적게 하여 흔들림이 방지되게 하고, 줄자와 고리로 연결되게 하여 충격을 받으면 자체 회전토록 하고, 줄자가 휘발유의 강한 성분에도 이상이 없도록 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유랑 측정기에 사용되는 부력체는 직경이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탱크 상단의 맨홀에는 1~2개의 파이프관(40㎜관에서부터 100mm관까지 다양함)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이 파이프관을 통해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좁은 직경의 파이프관을 통해 부력체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부력체는 무게와 성능이 완벽하게 이상이 없어야 설치가 가능하기에 부력체 제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기고 있으며, 위와 같은 부력체는 설치에 따른 시공비 절감과 설치가 불가능한 탱크에도 언제든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부력체는 가벼운 고체 덩어리로 되어 부피가 상당히 컸으며 이러한 부력체를 탱크에 넣기 위해서는 탱크의 파이프관을 제거하고 볼트를 풀어서 뚜껑은 열고 탱크 속에 들어가서 설치하는 등 아주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탱크내에는 많은 파이프관이 연결되어 있는데 부력체가 크거나 가벼워서 움직임이 심할경우에는 이로 인해 부력체가 파이프관 끼거나 걸려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한편, 줄자가 꼬여서 작동 불능이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경우 보수(A/S) 문제는 속수무책이 되는데, 처음의 설치공사와 같이파이프 배관을 철거하고 볼트를 풀어서 뚜껑을 열고 탱크 안에 들어가야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 중인 탱크의 배관은 손댈 수 없기에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고, 또한 시간과 인력 낭비가 상당하여 현실적으로 외면되어 사용치 않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저유 탱크의 뚜껑을 열지 않고 작은 파이프관에 부력체를 바로 삽입함과 동시에 곧바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하고, 부력체가 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걸림 되지 않게 하고, 중량과 부력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밸런스를 장착하여 탱크 내에 유류를 유입할 때 소용돌이치는 거센 바람에도 요동이 없게 하는 한편, 유류가 닿게 되는 부위를 적게 하여 흔들림이 방지되게 하고, 줄자와 고리로 연결되게 하여 충격을 받으면 자체 회전토록 하고, 줄자가 휘발유의 강한 성분에도 이상이 없도록 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로울러에 숫자와 눈금이 인쇄된 줄자가 감기게 되고, 로울러의 상부에 확대경렌즈가 설치되어 저유 탱크 내의 저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며, 한 쪽 끝에 당김추가 연결되는 상기 줄자의 반대편 끝에 연결되는 부력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가 원추 형상을 이루게 되는 한편,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원추의 정점에 연결링이 형성되는 상부체와; 상부의 고리에는 상기 줄자가 결합되고, 하부의 고리는 상기연결링에 연결되는 고리와; 내부가 빈 원통체로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한편, 표면에 수직으로 눈금이 인쇄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수직으로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체의 내주면에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체와; 원반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상부면의 중앙에는 나사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앙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의 하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되는 밸런스로 구성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10 : 상부체
111,121 : 나사 112 : 연결링
120 : 하부체 122 : 설정테이프
123 : 눈금 124,201 : 나사홈
130 : 고리 140 : 줄자
200 : 밸런스 202 : 나사돌기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본체(100)는 스테인레스 또는 목재로 성형되는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체(110)는 상부가 원추 형상을 이루게 되는 한편,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체로 형성되는데,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111)가 형성되며, 원추의 정점에는 원형의 연결링(11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링(112)에는 고리(130)가 결합되고, 이 고리(130)에는 줄자(140)가 결합되는데, 이 줄자(140)는 줄자(24)는 폴리에스텔 원단판으로 성형되는 한편, 그 표면에 인쇄되는 숫자와 눈금은 빛을 쪼면서 구워서 성형된다.
상기 하부체(120)는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부분적으로 나사(121)가 형성되며, 나사(121)의 사이에는 눈금(123)이 인쇄되며, 저면이 중앙에는 나사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눈금(123)은 부력에 따른 높이를 편리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유면의 수평을 맞추는데 사용케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체(120)와 상부체(110)는 나사(111,121)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하부체(110,120)가 진공상태로 결합되게 하기 위해 하부체(120)의 표면에 설정테이프(122)가 테이핑 되게 하고, 상기 나사홈(124)은 원반 형상의 밸런스 (200)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된다.
상기 밸런스(200)는 원반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상부면의 중앙에는 나사돌기(202)가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앙에는 나사홈(201)이 형성되며, 재질은 납, 신주 또는 쇠 등으로 성형된다.
상기 밸런스(200)는 무게 중심을 잡는데 사용케 되는 것으로, 중량에 따라 부력에 맞추어 개수를 조절케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부체(110)와 하부체(120)의 나사 조임으로 인해 부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유면의 수평의 높이를 원하는 곳에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먼저 상부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111)에 하부체(120)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나사(121)가 일치되게 한 후 조임 되게 하여 상부체(110)와 하부체(120)가 결합되게 하되, 눈금(123)을 보면서 부력 높이에 맞게 결합되게 하고, 상부체(110)의 연결링(112)에 줄자(140)가 결합된 고리(130)가 연결되게 하며, 부력에 맞추어 밸런스(200)를 하부체(120)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력체 본체(100)를 저유 탱크의 파이프를 통해 삽입하여 설치되게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저유 탱크의 뚜껑을 열지 않고 작은 파이프관에 부력체를 바로 삽입함과 동시에 곧바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부력체의 상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걸림 되지 않게 되고, 상부체와 하부체의 결합에 의해 부력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밸런스에 의해 중량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한편, 밸런스에 의해 탱크 내의 유류 유입시 소용돌이치는 거센 바람에도 요동됨이 없게되고, 유류가 닿게 되는 부위가 적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줄자와 고리로 연결되게 하여 충격을 받으면 자체 회전되고, 폴리에스텔 원단판으로 줄자가 만들어지게 하는 한편, 눈금이 인쇄되게 하여 열처리를 함으로써, 저장된 휘발유의 강한 성분에도 이상이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로울러에 숫자와 눈금이 인쇄된 줄자(140)가 감기게 되고, 로울러의 상부에 확대경렌즈가 설치되어 저유 탱크 내의 저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며, 한 쪽 끝에 당김추가 연결되는 상기 줄자(140)의 반대편 끝에 연결되는 부력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가 원추 형상을 이루게 되는 한편,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111)가 형성되며, 원추의 정점에 연결링(122)이 형성되는 상부체(110)와;
    상부의 고리에는 상기 줄자(140)가 결합되고, 하부의 고리는 상기 연결링 (120)에 연결되는 고리(130)와;
    내부가 빈 원통체로 외주면에 나사(121)가 형성되는 한편, 표면에 수직으로 눈금(123)이 인쇄되고, 하부면의 중앙에 수직으로 나사홈(124)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체(110)의 내주면에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체(120)와;
    원반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상부면의 중앙에는 나사돌기(202)가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앙에는 나사홈(20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120)의 하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되는 밸런스(200)로 구성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는 스테인레스 또는 목재로 성형되고, 하부체(120)의 외부면에 설정테이프(122)가 테이핑 되어 상,하부체 (110,120)가 진공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3.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줄자(140)는 플리에스텔 원단판으로 성형되는 한편, 그 표면에 인쇄되는 숫자와 눈금은 빛을 쪼면서 구워서 성형되게 하는 저유량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KR20-2003-0006579U 2003-03-05 2003-03-05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KR200315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79U KR200315241Y1 (ko) 2003-03-05 2003-03-05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79U KR200315241Y1 (ko) 2003-03-05 2003-03-05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241Y1 true KR200315241Y1 (ko) 2003-06-02

Family

ID=4933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579U KR200315241Y1 (ko) 2003-03-05 2003-03-05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2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79441B (zh) 一种具有抗水锤结构的水表装置
CN215984770U (zh) 一种防卡阻的耐腐蚀的磁翻板液位计
KR200315241Y1 (ko) 저유량 레벨 측정기용 부력체
CN210014810U (zh) 一种插入式风量测量装置
CN213579561U (zh) 一种抗磁干扰的水表
CN103175942B (zh) 一种溶液浓度自动监测装置
CN208505383U (zh) 一种在线安装靶式流量计
CN213580938U (zh) 一种拼接组装内衬囊式镀锌水箱
CN201852604U (zh) 热式气体质量流量计
CN210570709U (zh) 一种用于铅垂线系统的重锤阻尼装置
CN214289783U (zh) 一种料位传感器除尘装置
KR101301479B1 (ko)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JP4548800B2 (ja) 流量計及びそれに用いるストレーナ
CN206469945U (zh) 一种磁致伸缩液位传感器及其固定装置
CN209727189U (zh) 一种能够进行防污功能的流量计
JP2008224644A (ja) 水道メータの逆流を計量しない装置
CN219956618U (zh) 分流式油雾通断检测器
CN102938290B (zh) 变压器测温电阻装置及其防护罩
CN220322448U (zh) 一种抗震涡街流量计
CN204241071U (zh) 基于超声波的复杂水面水位测量装置
US20110100138A1 (en) Fluid visual inspection device
CN210441956U (zh) 一种音速喷嘴法气体流量标准装置装夹机构
CN215891965U (zh) 一种自动排污式储气罐
CN221055828U (zh) 一种防潮式非接触液位传感器
CN217561489U (zh) 一种测量总磷含量的水质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