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213Y1 -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213Y1
KR200315213Y1 KR20-2003-0005915U KR20030005915U KR200315213Y1 KR 200315213 Y1 KR200315213 Y1 KR 200315213Y1 KR 20030005915 U KR20030005915 U KR 20030005915U KR 200315213 Y1 KR200315213 Y1 KR 200315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element holder
piezoelectric
base brack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환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정선환
최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환, 최성대 filed Critical 정선환
Priority to KR20-2003-0005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2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pecial thread-gui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압전소자가 설치된 압전소자 홀더를 베이스브라켓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토록 함에 있어, 상기 압전소자의 일측단으로 각기 끼움공을 형성하고, 이를 압전소자 홀더 내측에 마련된 다수개의 삽입공으로 각각 끼운 다음 그 끼움공으로 결합핀을 관통 설치하여 압전소자가 압전소자 홀더에 고정설치 되게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 홀더는 그 상부로 케이블안내부를 형성하고 하단부로는 걸림편을 돌출형성하여 이를 베이스브라켓의 안착홈에 안착시키되, 이때 상기 걸림편은 안착홈의 걸림홈에 끼워지게 하고 그 타측은 결합나사로 고정시켜서 된 결합구조로서 이는 베이스 브라켓에서 압전소자 홀더와 압전소자가 탈부착가능케 끼움 설치되므로 기기의 일부 소손이나 파손시 그 부위만을 개별 분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할 수 있어 비용과 인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한 작업으로 인한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ment holder for jacquard tricot machine}
본 고안은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압전소자와 압전소자 홀더 및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탈부착가능케 구성하여 기기의 일부 소손이나 파손시 그 부위만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방식의 자카드 경편기의 압전소자는 그 측면으로 전극, 분극처리된 압전세라믹스를 절연부착하여 압전세라믹스로의 통전 에 의한 압전효과로 압전소자가 변형되게 한 것으로, 이때 압전소자 전방부에 설치된 니들이 전후로 동시 이동되면서 위사를 고리형태로 엮어나가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작용하는 경편기의 압전소자는 그 구성이 우선 압전세라믹스가 부착된 다수개의 압전소자를 지지체 상부에 접착력을 가지는 절연체로 일체 구성한 다음 그 상부로 압전세락믹스에 연결된 케이블의 다발을 안내하여 줌과 동시에 압전소자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홀더를 나사결합하고 압전소자 타측은 결합핀 또는 다수개의 안착홈으로 삽설되게 한 일체형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왔는데, 이는 압전소자나 압전세라믹스 또는 지지체 중 일부의 소손이나 파손시 그 교체부위만을 교체 또는 수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통상 압전소자,압전세라믹, 지지체,홀더가 일체로 된 유닛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에 교체피용의 낭비는 물론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폐단을 가졌던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 하고져 안출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압전소자를 압전소자 홀더내측에 끼워 결합핀으로 고정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압전소자의 홀더 역시 베이스 브라켓에 탈부착가능케 끼움 설치하여 기기의 일부 소손이나 파손시 그 부위만을 개별 불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 할 수있는 압전소자 가이드를 제공하므로 수리 또는 교체에 따른 비용과 인력의 낭비를 막을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속하는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가' 선단면 확대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압전소자 1' : 끼움공
11 : 니들 12 : 압전세락믹스
101 : 유닛 2 : 압전소자 홀더
2' : 삽입공 21 : 케이블안내부
22 : 걸림편 201 : 결합핀
202 : 결합나사 3 : 베이스브라켓
3' : 안착홈 31 : 걸림홈
본 고안은 다수개의 압전소자(1)가 설치된 압전소자 홀더(2)를 베이스브라켓 (3)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토록 함에 있어,
상기 압전소자(1)의 일측단으로 각기 끼움공(1')을 형성하고, 이를 압전소자 홀더(2) 내측에 마련된 다수개의 삽입공(2')으로 각각 끼운 다음 그 끼움공(1')으로 결합핀(201)을 관통 설치하여 압전소자(1)가 압전소자 홀더(2)에 고정설치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 홀더(2)는 그 상부로 케이블안내부(21)를 형성하고 하단부로는 걸림편(22)을 돌출형성하여 이를 베이스브라켓(3)의 안착홈(3')에 안착시키되, 이때 상기 걸림편(22)은 안착홈(3')의 걸림홈(31)에 끼워지게 하고 그 타측은 결합나사(202)로 고정시켜서 된 결합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자면 우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압전소자(1) 측면으로 부착된 압전세라믹스(12)의 통전으로 인해 압전소자(1)가 변형되면서 왜곡과 복귀를 반복실시하여 그 측단에 설치된 니들(11)을 유동시키므로 위사를 고리형태로 엮어 재직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재직을 실시시 통전에 의해 왜곡되는 압전소자 (1)와 압전세라믹스(12)의 소손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다수개의 압전소자(1) 중 그 일부가 훼손되었을때 압전소자 홀더(2)에서 압전소자(1)를 고정시키고 있는 결합핀(201)을 제거하여 해당 압전소자(1)만 분리·교체하거나 또는 압전소자 홀더(2)를 베이스브라켓(3)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교체할 수 있는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므로 작업의 신속성은 물론 기기 교체에 따른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압전소자(1)와 압전소자 홀더(2) 그리고 베이스브라켓 (3)을 상호 탈부착 가능토록 분리 구성하므로 일부 소손 또는 파손시 그 기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을 부여함은 물론 그에 따른 생상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종래 압전소자 유닛(101) 전체의 교체로 인한 비용소모를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체된 압전소자 유닛(101)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고안이다.

Claims (1)

  1. 다수개의 압전소자(1)가 설치된 압전소자 홀더(2)를 베이스브라켓 (3) 상부에서 탈부착 가능토록 함에 있어,
    상기 압전소자(1)의 일측단으로 각기 끼움공(1')을 형성하고, 이를 압전소자 홀더(2) 내측에 마련된 다수개의 삽입공(2')으로 각각 끼운 다음 그 끼움공(1')으로 결합핀(201)을 관통설치하여 압전소자(1)가 압전소자 홀더(2)에 고정설치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 홀더(2)는 그 상부로 케이블안내부(21)를 형성하고 하단부로는 걸림편(22)을 돌출형성하여 이를 베이스브라켓(3)의 안착홈(3')에 안착시키되, 이때 상기 걸림편(22)은 안착홈(3')의 걸림홈(31)에 끼워지게 하고 그 타측은 결합나사(202)로 고정시켜서 된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KR20-2003-0005915U 2003-02-28 2003-02-28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KR200315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15U KR200315213Y1 (ko) 2003-02-28 2003-02-28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15U KR200315213Y1 (ko) 2003-02-28 2003-02-28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213Y1 true KR200315213Y1 (ko) 2003-06-02

Family

ID=4940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915U KR200315213Y1 (ko) 2003-02-28 2003-02-28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2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4323T3 (es) Barra de guías de hilo jacquard para máquinas textiles de tejido de punto por urdimbre.
CN110485048B (zh) 一种分离式压电贾卡组件
ES2356713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activadores piezoeléctricos de barras guía hilos jacquard para máquinas textiles.
ES2355183T3 (es) Actuador piezoeléctrico para barras guía hilos jacquard de máquinas textiles.
ES2122452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guia del hilo para una tricotosa plana o rectilinea.
KR200315213Y1 (ko) 자카드 경편기용 압전소자 홀더의 결합구조
GB2290310A (en) Piezoelectric control of warp guides in a warp knitting machine
CN211171106U (zh) 一种分离式压电贾卡组件
CN108342826B (zh) 成圈工具梳栉和成圈工具支架
KR20100040028A (ko) 모듈형 바늘고정장치
CN209368462U (zh) 一种用于经编机的贾卡结构
CN109468740A (zh) 一种用于经编机的贾卡结构
CN108049005B (zh) 定位销组件及含有该定位销组件的综丝分离器与穿综机
CN109468741A (zh) 一种用于经编机的贾卡结构
CN108085857A (zh) 用于针织机的导纱器和平针织机
CN220034834U (zh) 一种用于贾卡梳栉的底座以及贾卡提花装置
JPH04241156A (ja) ジャカードガイドバーを備えた経編機
KR101035385B1 (ko) 수지사출성형 일체형 채널간판
KR200226037Y1 (ko) 경편기의 바늘 설치구조
KR20210060313A (ko) 램프 유지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노광 장치용 광원
CN114665744A (zh) 一种缩小占用空间的压电陶瓷驱动电路及经编机
KR20040035041A (ko) 자동차 배터리 트레이
JP2005087566A (ja) 棚板の取付構造
JP2004339634A (ja) 織機における綜絖枠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