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942Y1 -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 Google Patents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942Y1
KR200314942Y1 KR20-2003-0003807U KR20030003807U KR200314942Y1 KR 200314942 Y1 KR200314942 Y1 KR 200314942Y1 KR 20030003807 U KR20030003807 U KR 20030003807U KR 200314942 Y1 KR200314942 Y1 KR 200314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formwork plate
formwork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03-0003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판(H)의 간격 유지에 따른 지지기능을 지니는 결합구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으로서, 동일한 외경의 결합구(32) 몸체 상에서 일단의 직경이 확장되어 거푸집판(H)에 밀착되는 동시에 타단에서 등간격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절개편(35)을 구비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구(32)의 절개편(35)은 각각의 단부에 내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35a)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전후에 있어서 설치와 철거는 물론, 거푸집판에서 분리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Joint for supporting form panel}
본 고안은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전후에 있어서 설치와 철거는 물론, 거푸집판에서 분리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결합구들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23171 호에 의해 개시된다. 도 1a와 같은 결합구(12)는 양단에 걸림턱(13)(14)을 구비한 상태로 거푸집판(H)에 삽착된다. 물론, 외측의 걸림턱(13)이 다수의 절개홈(15)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 거푸집판(H)에 설치함에 있어 어려움이 없으나 일단 설치된 후에는 분리가 극히 번거로워 거푸집판(H)과 운명을 같이 하게 된다. 도 1b와 같은 결합구(16)는 금속소재로 성형되어 견실하기는 하지만 다수의 볼트(18)를 체결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작업완료후의 분리 또한 극히 번거롭고 어렵다.
그리고 일반적인 예로 보아 동일 건축현장이라면 1층에서 사용된 거푸집판(H)을 상층에서도 사용하기도 하지만 각 건설현장마다 거푸집판(H)의 형상 및 구조가 거의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건축현장에서 사용한 거푸집판을 다른 현장에서 사용하는 예가 흔하지 않다. 반면 결합구(12)(16)는 건설현장에서 소비가 많은 품목 중의 하나로서 재활용에 의한 자원절약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거푸집판(H)과 결합구(12)(16)를 콘크리트로부터 철거하기는 용이한 편이지만, 결합구(12)(16)를 거푸집판(H)에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는 극히 어려운 실정에 놓여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결합구들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46056 호에 의해 개시된다. 도 2a의 결합구(22)는 내측에만 걸림턱(24)이 형성되고 나선(23)을 이용하여 설치되는데, 거푸집판(H)에도 상당한 수의 나선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즉, 거푸집판(H)에는 수십 내지 수백개의 결합구멍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결합구멍마다 나선을 일일이 구비해야 하므로 거푸집판(H)의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2b의 결합구(26)는 내측의 걸림턱(27)보다 외측의 걸림턱(28)을 매우 낮은 높이로 하고 구배를 두지만, 재활용을 위해 거푸집판(H)에서 분리하는 것은 역시 극히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다. 즉, 일단 거푸집판(H)이 설치된 후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이 굳어지는 과정에서 거푸집판(H)에 큰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결합구가 더욱 긴밀하게 맞물리므로 결합구를 분해할 때 대부분 파손되어 재활용이 어렵다. 특히, 도 2a의 결합구(22)는 도 1b의 결합구(16)처럼 거푸집판(H)에 결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통상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몸체상에서 나선(23) 부분이 손상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전후에 있어서 설치와 철거는 물론, 거푸집판에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가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결합구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결합구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를 설치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지지관 32: 결합구
34: 헤드 35: 절개편
35a: 돌기 36: 고정봉
38: 나비너트 H: 거푸집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거푸집판(H)의 간격 유지에 따른 지지기능을 지니는 결합구에 있어서:
동일한 외경의 결합구(32) 몸체 상에서 일단의 직경이 확장되어 거푸집판(H)에 밀착되고, 타단에서 등간격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절개편(35)을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구(32)의 절개편(35)은 각각의 단부에 내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35a)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를 설치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거푸집판(H)의 간격 유지에 따른 지지기능을 지니는 결합구에 관련된다. 거푸집판(H)은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지관(30), 고정봉(36), 결합구(32)가 사용된다. 지지관(30)은 양단에 암나사를 구비하고, 고정봉(36)은 양단에 수나사를 구비한다. 지지관(30)은 양단에서 결합구(32)를 개재하여 거푸집판(H) 내부에 수용된다. 고정봉(36)은 일단이 결합구(32)를 통과하여 지지관(30)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받침목(W)(W')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고정봉(36)의 외단에서 나비너트(38)를 조이면 거푸집판(H)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32)는 동일한 외경의 몸체 상에서 일단의 직경이 확장되어 거푸집판(H)에 밀착되고, 타단에서 등간격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절개편(35)을 구비한다. 결합구(32)의 일단(또는 내측단)은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공간의 방향을 의미하고, 타단(또는 외측단)은 나비너트(38)가 체결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결합구(32)의 내측단에서 직경이 확장된 원판으로 되는 것은 전술한 도1a, 도 2a, 도 2b와 형태 및 기능에 있어 동일하다. 반면, 결합구(32)의 외측단에서 몸체와 동일한 직경(실제는 약간의 경사면)으로 되면서 단부에 절개편(35)을 구비한다.
이러한 절개편(35)은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6-8개 범위로 균등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너무 적으면 탄성변형이 적어 유연하지 못하고 너무 많으면 사용중에 파손되기 쉽다.
통상 콘크리트 시공시의 하중, 콘크리트의 측압, 부어넣기 할 때의 진동, 충격 등이 거푸집판(H)과 결합구(32) 등에 작용하는데, 본 고안의 결합구(32)는 절개편(35)부분에서 탄성변형되어 있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후 누수가 없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에 손상을 주지 않고 쉽게 해체할 수 있다.
도 4에서, 본 고안의 결합구(32)는 일단의 헤드(34)에 의해 전체적으로 T자형 단면이면서 중공의 구조인데, 거푸집판(H)에 삽착이 용이하도록 타단에서 약간의 구배와 함께 절개편(35)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구(32)에서 헤드(34)와 절개편(35)은 하나의 합성수지 사출공정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결합구(32)의 일단에서 헤드(34)에 의한 턱이 형성되고 타단에서 턱이 없으므로 종래의 구조처럼 양단에 턱이 있는 것에 비하여 성형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도 3처럼 결합구(32)가 지지관(30)과 고정봉(36)을 매개하여 거푸집판(H)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에 변함이 없고, 공사완료 후 콘크리트(C)에서 거푸집판(H)을 철거할 때 결합구(32)의 분리에도 문제가 없으며, 더구나 거푸집판(H)에서 결합구(32)를 분리하는데 있어 전혀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결합구(32)의 외단이 다수의 절개편(35)으로 구성되어 합성수지 소재의 탄성에 의한 변형과 복귀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b나 도 2a처럼 거푸집판(H)에 나선을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구멍만 형성하여도 결합구(32)의 삽착이 용이하므로 거푸집판(H)의 구조 및 형태와 무관하게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구(32)의 절개편(35)은 각각의 단부에 내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35a)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결합구(32)에서 절개편(35)이 형성되는 부분에 구배를 지니므로 고정봉(36)이 결합된 거푸집판(H)을 기울이거나 특히 이동할 때 상호 나선과 맞물려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설치시 작업성이 좋아진다. 이에 더하여 절개편(35)의 내단에 돌기(35a)가 형성되면 이러한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돌기(35a)는 최소의 크기(예컨대 1㎜이내)로 하여 절개편(35)과 함께 탄성변형될 때 고정봉(36)의 삽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절개편(35) 및 돌기(35a)의 작용 · 효과는 종래 결합구(22)(26)의 기능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즉, 종래 결합구(12)(16)(22)(26)의 끝단부에는 돌기(35a)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거푸집판(H)의 기울기가 약간 아래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종래 결합구(12)(16)(22)(26)의 내부에 삽설되어 있던 고정봉(36)이 아래로 빠지는 예가 허다한 바, 만약 2-3층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면 그리 큰 문제가 없으나 10층이상의 고층에서 고정봉(36)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면 작업자가 다시 고정봉(36)의 삽설을 위해 올라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그러한 현상을 상당수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사가 완료되어 거푸집판(H)을 이동할 경우에는 고정봉(36)을 삽설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봉(36)이 빠지는 경우가 매우 적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처럼 양단에서 동일한 형태를 지니는 지지관(30)과 달리 장볼트(40)를 사용하는 경우 일단의 거푸집판(H)에는 쐐기(48)가 결합되며 타단의 고정봉(36)은 장볼트(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건축물 공사, 도로공사, 댐 공사 등의 현장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결합구(32)도 전술한 도 3과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지닌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거푸집판(H)을 기울여 해체하고 상층으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장볼트(40) 등이 거푸집판(H)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장볼트(40)가 이탈되면 다시 사다리를 이용하여 삽착해야 하기 때문에 저층의 작업이라도 불편이 따르는 것은 물론 고층의 작업시 더욱 불편이 가중되고 공기의 지연요인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결합구(32)가 장볼트(40) 또는 고정봉(36)의 나선과 맞물리므로 거푸집판(H)의 설치 작업이 편리하다. 물론 거푸집판(H)의 해체 및 결합구(32)의 분리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없다.
그러므로 상기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전후에 있어서 설치와 철거는 물론 ,거푸집판에서 분리하여 재활용하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결합구는 일정한 형태의 거푸집판(H)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고안의 결합구는 어느 형태의 거푸집판(H)에도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거푸집판(H)의 간격 유지에 따른 지지기능을 지니는 결합구에 있어서:
    동일한 외경의 결합구(32) 몸체 상에서 일단의 직경이 확장되어 거푸집판(H)에 밀착되고, 타단에서 등간격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절개편(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32)의 절개편(35)은 각각의 단부에 내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35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KR20-2003-0003807U 2003-02-10 2003-02-10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KR200314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807U KR200314942Y1 (ko) 2003-02-10 2003-02-10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807U KR200314942Y1 (ko) 2003-02-10 2003-02-10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942Y1 true KR200314942Y1 (ko) 2003-06-02

Family

ID=4940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807U KR200314942Y1 (ko) 2003-02-10 2003-02-10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50B1 (ko) * 2009-05-20 2010-02-10 미래테크(주) 갱폼이 양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형틀의 갱폼 간격유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50B1 (ko) * 2009-05-20 2010-02-10 미래테크(주) 갱폼이 양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형틀의 갱폼 간격유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8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2119545B1 (ko)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83387B1 (ko) 안전 파이프 서포트의 제작 방법 및 안전 파이프 서포트
KR200314942Y1 (ko) 거푸집판 지지용 결합구
KR20170134279A (ko)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KR20090113476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0487894B1 (ko) 해체수단을 구비하는 제거용 앵커체
KR101713079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120055856A (ko)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 형성용 신축가능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테이퍼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방법
KR102184827B1 (ko) 벽체용 관통슬리브
KR100655143B1 (ko)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1713080B1 (ko) 오각형구조 인코너 연결구
KR19990035156U (ko) 건축용거푸집고정장치
KR102533394B1 (ko) 매립 앵커 장치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20110134014A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인코너 부재
CN215926720U (zh) 一种多面体阴角转角构件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KR100472603B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KR200342274Y1 (ko) 비계파이프 연결구
CN114319850B (zh) 转角模板
US202200423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KR20060032268A (ko)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봉강 및 그 이음방법
KR200374094Y1 (ko)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