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910Y1 - 삽지식 마우스 - Google Patents

삽지식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910Y1
KR200314910Y1 KR20-2003-0006757U KR20030006757U KR200314910Y1 KR 200314910 Y1 KR200314910 Y1 KR 200314910Y1 KR 20030006757 U KR20030006757 U KR 20030006757U KR 200314910 Y1 KR200314910 Y1 KR 200314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finger
main body
insertion groove
opt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인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인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인글로벌
Priority to KR20-2003-000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5Finger operated miniaturized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된 통상의 입력수단이 구비된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탈할 수 있는 삽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는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하여 컴퓨터를 제어함과 더불어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키보드 조작 및 수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손을 움직이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손목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손목에 가하여 지는 부담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책상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삽지식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삽지식 마우스{finger mouse}
본 고안은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된 통상의 입력수단이 구비된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탈할 수 있는 삽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함으로써, 컴퓨터 사용자는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키보드의 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게 되며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손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즉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삽지식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 주변기기 중 입력장치의 하나로 유선과 무선마우스로 범용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 무선마우스는 키보드와 더불어 책상위나 마우스 받침대에 배치되며,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보드를 조작하던 중 마우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책상위의 소정위치까지 손을 이동시켜 배치된 마우스를 파지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때문에 사용자는 워드프로세서, 응용 프로그램 및 응용 툴들을 사용할 때 메뉴선택 등은 키보드의 핫키(HOT KEY)를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효율적이므로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핫키를 숙지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파생하게 된다.
아울러, 업무상 책상위에 갖가지 서류를 펼쳐놓고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 마우스와 마우스 패드가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공간활용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책상위에는 정리정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정신을 산만하게 함으로써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키보드조작을 함과 더불어 키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책상위의 정리정돈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삽지식 마우스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삽지식 마우스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작용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본체 102 : 삽지홈
103 : 지지부재 104 : 결합홈
105 : 고정홈 106 : 고정부재
107 : 걸림공 108 : 걸림볼
109 : 탄성부재 110 : 마감캡
113 : 압박부재 114 : 압박판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된 통상의 입력수단이 구비된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탈할 수 있는 삽지홈(10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지홈(102)의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양측면 소정위치에 부착되며 삽입된 손가락을 지지하도록 된 소정길이의 지지부재(103)와; 상기 지지부재(103)를 본체(101)의 양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지지부재의 부착수단은, 상기 본체(101)의 양측면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결합홈(104)과; 상기 결합홈(104)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고정홈(105)과; 상기 결합홈(104)에 삽입되도록 지지부재(103)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106)와; 상기 고정홈(105)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106)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단에 걸림턱(107a)이 형성된 걸림공(107)과; 상기 걸림공(107)에 삽입되는 걸림볼(108)과; 상기 걸림볼(108)이 걸림공(107) 상단에서 외압의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함몰되거나 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볼(108) 측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09)와; 상기 탄성부재(109)가 걸림볼(108)을 탄력지지하도록 걸림공(107)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마감캡(11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3)는 삽지홈(102)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 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본체(10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입력보턴(111)과 휠(112) 등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 상기 삽지홈(102)의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지홈(102) 전방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삽입된 손가락을 압박고정하도록 된 압박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박부재(113)는 삽지홈(102)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 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압박부재(113)에 부착되어 손가락 압박부위를 확보하도록 된 압박판(11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전방 소정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광신호를 전방으로 송출하도록 된 광신호송출부(115)와; 상기 광신호송출부(115)와 통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본체(120)의 입력포트(124)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소기하는 원격위치에 배치되어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광신호수신부(116)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삽지식 마우스에 대한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삽지식 마우스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삽지식 마우스의 본체(10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삽지홈(10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지홈(102)의 개구연부(102a)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손가락 삽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지홈(102)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본체(101)가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03)를 본체(101)의 양측면에 부착하는 바, 상기 지지부재(103)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 신축성있는 재질(예를들면 고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에 형성된 삽지홈(102)은 도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방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 시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삽지홈이 하부로 향할수 있으며, 좌,우측면으로 삽지홈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손가락에 삽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03)의 양단은 본체(10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과 크기에 따라 지지부재(103) 양단의 고정부재(106)가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장시간 삽지홈(102)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본체(101)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3)의 결합구조를 도2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재(103)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106)의 양측면에는 도3의 작용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07a)이 마련된 걸림공(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공(107)의 내측에는 소정크기의 걸림볼(108)과 탄성부재(109)가 차례로 삽입되며, 이 탄성부재(109)가 걸림볼(108)을 탄력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볼(108)의 일단에는 마감캡(110)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04)의 양측 내면에는 고정부재(106)의 양측면에 돌설된 걸림볼(108)과 대응되도록 고정홈(10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06)가 결합홈(104)으로 도3a와 같이 삽입되면 걸림볼(108)은 결합홈(104)의 내측면과 간섭이 발생되어 탄성부재(109)를 압축하면서 후퇴하게 됨으로써 고정부재(106)는 결합홈(104)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며, 걸림볼(108)이 고정홈(105)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에는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볼(108)이 돌출됨과 동시에 고정홈(105)에 도3b와 같이 삽입되어 고정부재(106)가 결합홈(104)에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걸림볼(108)과 고정홈(105)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지부재(103)의 이완 및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러운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지홈(102)에 삽입된 손가락에 마우스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유로운 키보드(123) 조작 및 업무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삽지홈(102) 개구부 전방의 본체(101) 양측면에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압박부재(113)를 부착하여 삽지홈(102)에 삽입된 손가락에 본체(101)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압박부재(113)도 지지부재(10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한 삽지된 손가락의 압박부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도록 압박판(114)을 압박부재(113)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입력수단인 입력보턴(111)이나 휠(112)이 결합되어 컴퓨터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삽지식 마우스를 왼손에 착용할 것인지 오른손에 착용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입력보턴(111)과 휠(112)이 구성된 방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며, 열 손가락 중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어느 손가락에 착용하여도 사용상 무리가 없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지지부재(103)와 압박부재(113)이 신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착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삽지식 마우스는 유선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유선으로 인한 행동반경의 제약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1)의 전방 소정위치에는 사용자의 마우스조작에 따른 소정의 정보가 광신호로서 송출되도록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송출부(115)를 구성하고, 상기 광신호송출부(115)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는 컴퓨터 본체(120)의 입력포트(예를 들면, USB PORT, SERIAL PORT, PARALLEL PORT 등)(124)에 연결되어 광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배치되는 광신호수신부(116)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 제어 시 뿐만 아니라 평상 시의 업무를 진행하더라도 전혀 불편함이 없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삽지식 마우스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방법(예를 들면, 볼(도시하지 않음), 광센서(117))에 구애받음 없이 활용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 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고, 마우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종래의 마우스를 사용할때 처럼 손목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유로운 마우스조작이 가능하여 손목에 부담이 가지 않게 됨과 더불어, 책상위에 마우스를 위치시키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책상의 공간활용이 극대화 되어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된 통상의 입력수단이 구비된 마우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탈할 수 있는 삽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홈의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양측면 소정위치에 부착되며 삽입된 손가락을 지지하도록 된 소정길이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본체의 양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부착수단은,
    상기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지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볼과;
    상기 걸림볼이 걸림공상단에서 외압의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함몰되거나 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볼측면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볼을 탄력지지하도록 걸림공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삽지홈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 된 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입력보턴과 휠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홈의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지홈 전방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삽입된 손가락을 압박고정하도록 된 압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삽지홈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신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에 부착되어 손가락 압박부위를 확장하록 된 압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소정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광신호를 전방으로 송출하도록 된 광신호송출부와;
    상기 광신호송출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본체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소기하는 원격위치에 배치되어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광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지식 마우스.
KR20-2003-0006757U 2003-03-07 2003-03-07 삽지식 마우스 KR200314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757U KR200314910Y1 (ko) 2003-03-07 2003-03-07 삽지식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757U KR200314910Y1 (ko) 2003-03-07 2003-03-07 삽지식 마우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246A Division KR20040079462A (ko) 2003-03-07 2003-03-07 삽지식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910Y1 true KR200314910Y1 (ko) 2003-06-02

Family

ID=4940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757U KR200314910Y1 (ko) 2003-03-07 2003-03-07 삽지식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383B2 (ja) マウス
CN201047939Y (zh) 具有调整单元的鼠标结构
US11201019B2 (en) Wireless mouse and switch module applied therein
CA2578208A1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040263358A1 (en) Portable unit for inputting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unit
EP1348156A1 (en) A portable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device
KR200314910Y1 (ko) 삽지식 마우스
KR20040079462A (ko) 삽지식 마우스
US6648537B1 (en) Finger insertion type writing device
KR200447043Y1 (ko) 필기가 용이한 스타일러스펜
US7755609B2 (en) Orthopedic computer mouse
KR100757217B1 (ko) 컴퓨터 입력 장치와 그에 대한 손잡이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TW201301089A (zh) 指標裝置
KR20110093018A (ko) 터치펜
KR100331974B1 (ko) 손가락 삽입형 링 마우스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KR200253047Y1 (ko) 손가락에 착용하는 pda 입력보조장치
US20030137490A1 (en) Computer mouse
CN219225481U (zh) 指尖可穿戴装置
CN217390873U (zh) 手柄以及应用该手柄的手术机器人
KR20190099625A (ko) 밴드형 모션 측정 웨어러블 컨트롤러
KR20090012426U (ko) 침핀 고정용 골무
KR200476666Y1 (ko) 터치팁을 구비한 필기구
US20220134240A1 (en) Hand controll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