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352B1 -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 Google Patents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352B1
KR100524352B1 KR10-2003-0089710A KR20030089710A KR100524352B1 KR 100524352 B1 KR100524352 B1 KR 100524352B1 KR 20030089710 A KR20030089710 A KR 20030089710A KR 100524352 B1 KR100524352 B1 KR 10052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infrared
button
receiver
infrared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667A (ko
Inventor
김남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8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3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형상에 맞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버튼수단이 구비된 마우스;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마우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버튼수단의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 상기 적외선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수신부와 무선송수신부의 하부에 구비된 전지부로 이루어진 마우스 본체; 및 상기 마우스 본체에 장착되어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고, 키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책상의 공간활용 및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TIMPLE TYPE WIRELESS MOUSE}
본 발명은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키보드의 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게 되고,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며,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책상위의 정리정돈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 주변기기 중 입력장치의 하나로 유선과 무선마우스로 범용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 무선마우스는 키보드와 더불어 책상위나 마우스 받침대에 배치되며,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보드를 조작하던 중 마우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책상위의 소정위치까지 손을 이동시켜 배치된 마우스를 파지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때문에 사용자는 워드프로세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메뉴선택 등은 키보드의 핫키(HOT KEY)를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효율적이므로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핫키를 숙지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파생하게 된다.
아울러, 업무상 책상위에 갖가지 서류를 펼쳐놓고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 마우스와 마우스 패드가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공간활용에 제약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책상위에는 정리정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정신을 산만하게 함으로써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키보드조작을 함과 더불어 키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책상위의 정리정돈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로서,
손가락 형상에 맞는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버튼수단(20)이 구비된 마우스(10);
상기 수납부(1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상기 마우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수단(30)과 상기 버튼수단(20)의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41), 상기 적외선 수신부(41)에 의해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본체(C)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43)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수신부(41)와 무선송수신부(43)의 하부에 구비된 전지부(45)로 이루어진 마우스 본체(40); 및
상기 마우스 본체(40)에 장착되어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수단(20)은 입력버튼(22)과 휠버튼(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전지부(45)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31); 및
상기 발광소자(31)로부터 나온 빛을 반사판(33)을 통해 결상시키는 광감지센서(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에서 감지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본 발명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키보드의 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게 되고,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우스(10)와, 감지수단(30)과, 마우스 본체(40)와, 밴드(50)로 이루어 진다.
상기 마우스(10)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끼워지는 것으로, 손가락 형상에 맞는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버튼수단(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10)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이완될 수 있도록 신축성있는 재질(예를들면 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수단(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버튼(22)과 휠버튼(24)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감지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마우스(10)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마우스 본체(40)의 전지부(45)에 설치된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31)와, 상기 발광소자(31)로부터 나온 빛을 반사판(33)을 통해 결상시키고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감지센서(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우스 본체(40)는 마우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광감지센서(35)에서 검출된 좌표값과 버튼수단(20)의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41)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41)에 의해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본체(C)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43)가 구비되고, 적외선 수신부(41)와 무선송수신부(43)의 하부에는 배터리(B)가 수납되는 전지부(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밴드(50)는 마우스 본체(4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미설명부호(60)는 마우스(10)와 마우스 본체(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마우스(10)의 수납부(12)를 끼운 다음 마우스 본체(40)에 장착된 밴드(50)를 손목에 착용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마우스 본체(40)에 구비된 스위치(도시안됨)를 온(ON)으로 위치시키면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발광소자(31)가 발광하고, 발광소자(31)에 의해 발광된 빛은 반사판(33)을 통해 광감지센서(35)로 결상된다.
상기한 광감지센서(35)로 결상된 빛은 키보드(K)를 비추어주면서 좌표값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는 연결선(60)을 통해 마우스 본체(40)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마우스 본체(40)로 전달된 검출신호는 적외선 수신부(41)에 의해 적외선 신호로 변환되고, 적외선 신호는 다시 무선송수신부(43)에 의해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3)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신호는 컴퓨터 본체(C)의 중앙제어부로 입력되어 모니터(M)상에 커서의 위치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모니터(M)상의 커서를 현 위치를 다른 위치에 지정하여 두거나,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일반 마우스와 마찬가지로 버튼수단(20)을 누르게 되면 이루어지고, 선택된 아이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수단(20)을 더블 클릭하게 되면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마우스(10)와 마우스 본체(40)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K) 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고,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책상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에 따르면, 손가락에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조작은 물론 다른 수작업도 병행할 수 있고, 키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 마우스를 파지하려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마우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책상위에 마우스를 배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책상의 공간활용 및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에서 감지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우스 12 :수납부
20 : 버튼수단 22 : 입력버튼
24 : 휠버튼 30 : 감지수단
31 : 발광소자 33 : 반사판
35 : 광감지센서 40 : 마우스 본체
41 : 적외선 수신부 43 : 무선송수신부
45 : 전지부 50 : 밴드

Claims (3)

  1.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로서,
    손가락 형상에 맞는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버튼수단(20)이 구비된 마우스(10);
    상기 수납부(1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상기 마우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수단(30)과 상기 버튼수단(20)의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적외선 수신부(41), 상기 적외선 수신부(41)에 의해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본체(C)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43)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수신부(41)와 무선송수신부(43)의 하부에 구비된 전지부(45)로 이루어진 마우스 본체(40); 및
    상기 마우스 본체(40)에 장착되어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수단(20)은
    입력버튼(22)과 휠버튼(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전지부(45)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31); 및
    상기 발광소자(31)로부터 나온 빛을 반사판(33)을 통해 결상시키는 광감지센서(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KR10-2003-0089710A 2003-12-10 2003-12-10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KR10052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10A KR100524352B1 (ko) 2003-12-10 2003-12-10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10A KR100524352B1 (ko) 2003-12-10 2003-12-10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667A KR20050056667A (ko) 2005-06-16
KR100524352B1 true KR100524352B1 (ko) 2005-11-01

Family

ID=3725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710A KR100524352B1 (ko) 2003-12-10 2003-12-10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59B1 (ko) * 2006-06-12 2008-06-20 서종범 무선 핑거 마우스
KR101054607B1 (ko) 2007-07-18 2011-08-04 이상범 영상처리에 의한 입체 다기능 마우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84B1 (ko) * 2014-11-03 2018-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CN114554591B (zh) * 2022-02-24 2024-05-14 赵德双 一种桌面级多目标动态光学无线输能装置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087A (ko) * 1999-06-28 2001-01-15 박준일 반지형 터치패드
KR20010003084A (ko) * 1999-06-21 2001-01-15 김희석 무선 마우스 장치
KR20010076799A (ko) * 2000-01-28 2001-08-16 멩 유 웨이 컴퓨터 입력 장치
KR20010078663A (ko) * 2000-02-09 2001-08-21 김종태 장애인을 위한 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KR20030055425A (ko) * 2001-12-26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골무형 볼마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084A (ko) * 1999-06-21 2001-01-15 김희석 무선 마우스 장치
KR20010004087A (ko) * 1999-06-28 2001-01-15 박준일 반지형 터치패드
KR20010076799A (ko) * 2000-01-28 2001-08-16 멩 유 웨이 컴퓨터 입력 장치
KR20010078663A (ko) * 2000-02-09 2001-08-21 김종태 장애인을 위한 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입력장치
KR20030055425A (ko) * 2001-12-26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골무형 볼마우스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59B1 (ko) * 2006-06-12 2008-06-20 서종범 무선 핑거 마우스
KR101054607B1 (ko) 2007-07-18 2011-08-04 이상범 영상처리에 의한 입체 다기능 마우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667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9450B2 (ja) 手袋コンピュータマウス
KR100920252B1 (ko) 공중에서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제어되는 마우스
US6748281B2 (en) Wearable data input interface
US10691204B2 (en) Finger mounted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50047329A (ko)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정보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WO2006049275A1 (ja) 座標指示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JP2891949B2 (ja) キーボードレス・コンピュータ
KR102311294B1 (ko)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US7310086B2 (en) Finger navigation input device
KR102127465B1 (ko)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CN215954274U (zh) 一种穿戴式鼠标
KR100997840B1 (ko)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WO2022151546A1 (zh) 测量数据读取装置
CN218158999U (zh) 基于触控戒指的智能手表操作系统
KR200190686Y1 (ko) 손가락마우스
KR20040009310A (ko) 펜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체 보정방법
KR20100066728A (ko) 반지형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TWI355922B (ko)
KR20010077701A (ko) 엄지골무마우스
KR20170139743A (ko) 스마트폰 터치기능을 클릭 버튼으로 활용하며 마우스 기능을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346044Y1 (ko) 펜 마우스 겸용 마우스 입력장치
KR20180133148A (ko) 웨어러블 마우스
KR200349373Y1 (ko) 복합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