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701A - 엄지골무마우스 - Google Patents

엄지골무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701A
KR20010077701A KR1020000005676A KR20000005676A KR20010077701A KR 20010077701 A KR20010077701 A KR 20010077701A KR 1020000005676 A KR1020000005676 A KR 1020000005676A KR 20000005676 A KR20000005676 A KR 20000005676A KR 20010077701 A KR20010077701 A KR 2001007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thimble
button
mous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김 남 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남 영 filed Critical 김 남 영
Priority to KR102000000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7701A/ko
Publication of KR2001007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TV나 오디오 등에 쓰이는 리모콘에서 사람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클릭하는데 있어, 그들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가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엄지손가락에 엄지골무마우스를 끼운채 TV나 컴퓨터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손을 자연스럽게 쥐었을 때,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리모콘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바디부,
엄지골무바디부 내부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손가락바닥이 잘 맞도록 오목하게 엄지버튼의 엄지골무를 형성하고, 엄지손가락 바닥지문이 엄지골무와 밀착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바닥이 누르는 힘과 방향에 따라, 모니터의 커저가 속도를 조절하며 움직이도록 센서를 부착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버튼부로 구성되며,
엄지골무마우스를 엄지손가락에 끼운채 타이핑을 하며, 손가락 끝의 미동만으로도 커저를 자유롭게 마음먹은 대로 움직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Description

엄지골무마우스{KNY mouse}
본 발명은 컴퓨터의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TV나 오디오 등에 쓰이는 리모콘에서, 사람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클릭하는데 있어, 그들의 형상을 손아귀 안에 잘 들어가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마우스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마우스패드에 대고 손목을 움직여 사용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종래의 엄지골무마우스는 타자를 치면서 동시에 마우스를 움직이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엄지골무마우스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엄지손가락에 엄지골무마우스를 끼운채 타이핑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감도 센서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엄지골무버튼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의 작은 힘조절만으로 컴퓨터나 휴대폰의 모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엄지골무마우스의 인체공학적원리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엄지골무마우스의 구성흐름도를 나타낸 그림,
도 3a 는 엄지골무를 나타낸 그림,
도 3b 는 엄지골무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림,[표면에 압각센서들이 분포해 있다.]
도 4a 는 엄지골무버튼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그림,
도 4b 는 엄지골무버튼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그림,
도 5a 는 엄지골무버튼부 중앙부센서의 구성도,
도 5b 는 엄지골무버튼부 가장자리센서의 구성도,
도 6a는 엄지마우스의 측면도,
도 6b는 엄지마우스의 측면도[엄지, 검지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무선으로 작동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엄지골무바디부
2; 검지버튼
5; 엄지손가락
9; 적외선센서
10; 엄지골무버튼부
11; 엄지골무
12; 엄지골무 중앙부
13; 엄지골무 가장자리부
14; 엄지골무 중앙부 센서
15; 엄지골무 가장자리부 센서
16; 압력전달로드
17; 스프링
18; 상승방지턱
19; 압전센서소자
20; 엄지휴대폰
22; 모니터
25; 엄지손가락 활동범위[엄지골무바디부 내부공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엄지골무마우스는, 컴퓨터의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TV나 오디오 등에 쓰이는 리모콘에서 사람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클릭하는데 있어, 그들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가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엄지손가락에 엄지골무마우스를 끼운채 TV나 컴퓨터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손을 자연스럽게 쥐었을 때,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리모콘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맞도록 형성하고, 엄지손가락에 골무를 끼우도록하여 엄지 및 검지, 중지 손가락 끝이 골무의 내부 및 외부버튼에 자연스럽게 저절로 닿도록 버튼의 위치를 설정하여, 골무와 그 버튼들이 손안에 잘 맞아들어가 자유롭게 주물럭거릴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바디부,
엄지골무바디부 내부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손가락바닥이 잘맞도록 오목하게 엄지버튼의 골무부분을 형성하고, 엄지손가락 바닥지문이 엄지골무와 밀착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바닥이 누르는 힘과 방향에 따라 엄지골무에 가해지는 미약한 압력의 변이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커저가 속도를 조절하며 움직이도록, 엄지골무가 전달하는 압력의 세기변화와 방향을 전기력이나 자기력 또는 빛으로 출력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그 검출 신호를 벡터값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버튼부,
엄지골무버튼부의 엄지골무에 관한 것으로, 엄지골무의 형상은 엄지손가락 바닥부분의 형상과 유사하게 [도 3]과 같이 바가지모양의 유선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어 엄지손가락이 들어가 잘 맞도록하며, 엄지골무의 재질로는 고무, 가죽, 실리콘, 플라스틱, 폴리섬유, 고분자화합물, 형상기억수지, 스테인리스합금, 형상기억합금, 비닐, 합성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등으로 성형하고 코팅 및 커버[COVER]할 수 있으며, 고탄성으로 되어 있어 X 축 과 Y 축 방향의 벡터압력에 따라 신축변형이 자유롭고, 곧 원형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골무버튼,
엄지골무버튼부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손가락바닥이 잘 밀착하도록, 손가락모양으로 오목하게 엄지버튼의 골무부분을 형성하고, 엄지손가락 바닥지문이 골무와 밀착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끝의 뼈와 살갗지문 사이의 근육부분[살]이 이완 및 수축 또는 밀리며 변형하는, 미약한 압력의 차이와 방향의변화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커저가 손가락이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며 움직이도록, 엄지골무가 전달하는 압력의 세기와 방향을 전기력으로 출력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그 검출신호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골무버튼,
[도 2]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엄지골무마우스부의 엄지골무버튼부에서 엄지골무의 벡터값을 센서감지부에서 감지하여, 검출량 제어회로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출정보를 송수신하고, 그 정보전달 상황을 컴퓨터모니터부에서 관찰하고 다시 엄지골무버튼부에서 새로운 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엄지골무마우스,
엄지골무부의 검지에 관한 것으로, 검지의 둘째 마디는 엄지골무의 압력을 떠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검지[또는 중지]손가락 끝은 드래그 할때 검지[또는 중지]버튼을 누르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엄지골무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과 엄지골무가 잘 밀착되도록, 엄지골무마우스 소유자로부터 직접 엄지손가락의 몰드를 떠서, 엄지골무의 형상을 만들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정밀도와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몰드형 엄지골무마우스,
엄지골무버튼부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과 엄지골무가 잘 밀착되도록 하기위하여, 엄지골무마우스 소유자의 엄지손가락 모양에 맞도록 하는 조절나사를 만들어, 엄지골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타원형의 엄지골무를 탄성링으로 감싸 지지하게 만들고, 그 탄성링을 X 축 또는 Y 축으로 신축하도록 조절나사로 엄지골무의 형상을 조절하여 만들도록 함으로서, 각자 개개인의 손가락모양에 맞도록 하여 작업의 정밀도와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절나사형 엄지골무마우스,
엄지골무버튼부 중앙부센서의 이중구조[클릭기능+가속기능]에 관한 것으로 도면[도 5a]와 같이 엄지손가락 중앙부센서에 순간적으로 일정압력이 가해질 때는, 먼저 1차 누름판에 닿았다 떨어지며 순간 전류가 흐르게 하여 모니터상의 커저의 위치를 클릭[ON OFF]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1차 누름판을 누른 상태에서 계속하여[ON 상태에서]압력을 가하면 2차 누름판을 누르게 하여 압전센서로부터 전기량이 증가되고, 그 상태에서 커저를 이동시킬 경우 속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가속 역할을 하도록 하며, 반대로 압력을 감소시키면 커저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며 압력을 더 감소시키면 커저의 움직임을 가속시킬수 없게 되고, 다시 1차누름판에서 분리되면서[OFF상태로]클릭하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센서로 이루어진 엄지골무버튼,
엄지골무버튼부 가장자리센서의 구조[방향기능+가속기능]에 관한 것으로, 도면[도 5b]와 같이 엄지손가락 가장자리센서에 압력을 가하면 누름판을 누르게 하여 압전센서로부터 전기량이 증가되고, 그 압력방향의 벡터값에 의해 커저가 움직이게 되며, 그 상태에서 압력을 증가시키면 커저의 속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가속 역할을하도록 하는 압전센서로 이루어진 엄지골무버튼,
엄지골무버튼부와 검지버튼에 관한 것으로, 커저를 움직이다가 목표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로 엄지가 누르는 압력을 낮추면 자동으로 클릭되는데, 일정 짧은 시간내에 다시 클릭하면 더블클릭이 되도록하며,
검지부분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져를 움직이면 드래그하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엄지골무의형상에 관한 것으로, 골무를 엄지 또는 검지나 중지에 끼울 수 있도록 하며, 골무의 끝부분을 밀폐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작업을 하더라도 답답하지 않도록 하는 반지형 엄지골무마우스로 구성되며, 엄지골무마우스를 엄지손가락에 끼운채 타이핑을 하며, 손가락 끝의 미동만으로도 커저를 자유롭게 마음먹은 대로 움직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를 특징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마우스패드에 대고 손을 움직여 사용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핸드폰이나 리모콘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고감도 센서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엄지골무버튼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의 작은 힘조절만으로 컴퓨터나 휴대폰의 모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엄지손가락에 끼운채 타이핑 등의 작업을 하며, 타이핑하다가 마우스로 손을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 커저를 자유롭게 마음먹은 대로 움직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1)

  1. 컴퓨터의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TV나 오디오 등에 쓰이는 리모콘에서 사람의 손가락 끝의 힘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클릭하는데 있어, 그들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가 맞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엄지손가락에 엄지골무마우스를 끼운채 TV나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손을 자연스럽게 쥐었을 때, 마우스나 휴대폰 또는 리모콘의 형상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잘 들어맞도록 형성하고, 엄지손가락에 골무를 끼우도록 하여 엄지 및 검지, 중지 손가락 끝이 골무마우스의 내부 및 외부버튼에 자연스럽게 저절로 닿도록 버튼의 위치를 설정하여, 골무와 그 버튼들이 손안에 잘 맞아들어가 자유롭게 주물럭거릴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바디부,
    엄지골무바디부 내부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손가락바닥이 잘 맞도록 오목하게 엄지버튼의 골무부분을 형성하고, 엄지손가락 바닥지문이 엄지골무와 밀착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바닥이 누르는 힘과 방향에 따라 엄지골무에 가해지는 미약한 압력의 변이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커저가 속도를 조절하며 움직이도록, 엄지골무가 전달하는 압력의 세기변화와 방향을 전기력이나 자기력 또는 빛으로 출력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그 검출 신호를 벡터값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한 엄지골무버튼부,
    로 구성되며, 엄지골무마우스를 엄지손가락에 끼운채 타이핑을 하며, 손가락끝의 미동만으로도 커저를 자유롭게 마음먹은 대로 움직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의 엄지골무에 관한 것으로, 엄지골무의 형상은 엄지손가락 바닥부분의 형상과 유사하게 [도 3]과 같이 바가지모양의 유선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어 엄지손가락이 들어가 잘 맞도록하며, 엄지골무의 재질로는 고무, 가죽, 실리콘, 플라스틱, 폴리섬유, 고분자화합물, 형상기억수지, 스테인리스합금, 형상기억합금, 비닐, 합성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등으로 성형하고 코팅 및 커버[COVER]할 수 있으며, 고탄성으로 되어 있어 X 축 과 Y 축 방향의 벡터압력에 따라 신축변형이 자유롭고, 곧 원형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골무버튼.
  3.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손가락바닥이 잘 밀착하도록, 손가락모양으로 오목하게 엄지버튼의 골무부분을 형성하고, 엄지손가락 바닥지문이 골무와 밀착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끝의 뼈와 살갗지문 사이의 근육부분[살]이 이완 및 수축 또는 밀리며 변형하는, 미약한 압력의 차이와 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커저가 손가락이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며 움직이도록, 엄지골무가 전달하는 압력의 세기와 방향을 전기력으로 출력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그 검출신호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골무버튼.
  4. 제 1 항에 있어서, [도 2]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엄지골무마우스부의 엄지골무버튼부에서 엄지골무의 벡터값을 센서감지부에서 감지하여, 검출량 제어회로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출정보를 송수신하고, 그 정보전달 상황을 컴퓨터모니터부에서 관찰하고 다시 엄지골무버튼부에서 새로운 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엄지골무마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부의 검지에 관한 것으로, 검지의 둘째 마디는 엄지골무의 압력을 떠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검지[또는 중지]손가락 끝은 드래그 할때 검지[또는 중지]버튼을 누르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6. 제 1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과 엄지골무가 잘 밀착되도록, 엄지골무마우스 소유자로부터 직접 엄지손가락의 몰드를 떠서, 엄지골무의 형상을 만들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정밀도와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몰드형 엄지골무마우스.
  7. 제 1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에 관한 것으로, 엄지손가락과 엄지골무가 잘 밀착되도록 하기위하여, 엄지골무마우스 소유자의 엄지손가락 모양에 맞도록 하는 조절나사를 만들어, 엄지골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를 부착하는 것으로,
    타원형의 엄지골무를 탄성링으로 감싸 지지하게 만들고, 그 탄성링을 X 축 또는 Y 축으로 신축하도록 조절나사로 엄지골무의 형상을 조절하여 만들도록 함으로서, 각자 개개인의 손가락모양에 맞도록 하여 작업의 정밀도와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절나사형 엄지골무마우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 중앙부센서의 이중구조[클릭기능+가속기능]에 관한 것으로,
    도면[도 5a]와 같이 엄지손가락 중앙부센서에 순간적으로 일정압력이 가해질 때는, 먼저 1차 누름판에 닿았다 떨어지며 순간 전류가 흐르게 하여 모니터상의 커저의 위치를 클릭[ON OFF]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1차 누름판을 누른 상태에서 계속하여[ON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면 2차 누름판을 누르게 하여 압전센서로부터 전기량이 증가되고, 그상태에서 커저를 이동시킬 경우 속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가속 역할을 하도록 하며, 반대로 압력을 감소시키면 커저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며 압력을 더 감소시키면 커저의 움직임을 가속시킬수 없게 되고, 다시 1차누름판에서 분리되면서[OFF상태로]클릭하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센서로 이루어진 엄지골무버튼.
  9. 제 1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 가장자리센서의 구조[방향기능+가속기능]에 관한 것으로,
    도면[도 5b]와 같이 엄지손가락 가장자리센서에 압력을 가하면 누름판을 누르게 하여 압전센서로부터 전기량이 증가되고, 그 압력방향의 벡터값에 의해 커저가 움직이게 되며, 그 상태에서 압력을 증가시키면 커저의 속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가속 역할을 하도록 하는 압전센서로 이루어진 엄지골무버튼.
  10. 제 1 항 및 제 9 항에 있어서, 엄지골무버튼부와 검지버튼에 관한 것으로, 커저를 움직이다가 목표위치에서 일정압력 이하로 엄지가 누르는 압력을 낮추면 자동으로 클릭되는데, 일정 짧은시간내에 다시 클릭하면 더블클릭이 되도록하며, 검지부분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져를 움직이면 드래그하도록 하는 엄지골무마우스.
  11. 제 1 항 에 있어서, 엄지골무의형상에 관한 것으로, 골무를 엄지 또는 검지나 중지에 끼울 수 있도록 하며, 골무의 끝부분을 밀폐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작업을 하더라도 답답하지 않도록 하는 반지형 엄지골무마우스.
KR1020000005676A 2000-02-07 2000-02-07 엄지골무마우스 KR20010077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76A KR20010077701A (ko) 2000-02-07 2000-02-07 엄지골무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76A KR20010077701A (ko) 2000-02-07 2000-02-07 엄지골무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701A true KR20010077701A (ko) 2001-08-20

Family

ID=1964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76A KR20010077701A (ko) 2000-02-07 2000-02-07 엄지골무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77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251A (ko) * 2004-10-11 2006-04-17 김진일 휴대형 소형 단말기용 광마우스
KR100811460B1 (ko) * 2007-02-01 2008-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촉각 마우스 및 진동촉각 마우스 시스템
KR101328385B1 (ko) * 2012-07-16 2013-11-13 이윤재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484360Y1 (ko) 2016-04-20 2017-08-29 이용하 웨어러블 핸드 포인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251A (ko) * 2004-10-11 2006-04-17 김진일 휴대형 소형 단말기용 광마우스
KR100811460B1 (ko) * 2007-02-01 2008-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촉각 마우스 및 진동촉각 마우스 시스템
KR101328385B1 (ko) * 2012-07-16 2013-11-13 이윤재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4014240A1 (ko) * 2012-07-16 2014-01-23 Lee Yoon-Jae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US9575571B2 (en) 2012-07-16 2017-02-21 Yoon-jae Lee Contact type finger mou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484360Y1 (ko) 2016-04-20 2017-08-29 이용하 웨어러블 핸드 포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1772B1 (en) Wearable controller for wrist
US11416076B2 (en) Finger-mounted device with sensors and haptics
US1142923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inward facing input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677927B1 (en) X-Y navigation input device
JP4099450B2 (ja) 手袋コンピュータマウス
US20120056805A1 (en) Hand mountable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US11281301B2 (en) Wearable controller for wrist
KR20050031458A (ko) 제한된 손 기능을 갖는 개인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US20080259026A1 (en) Ergonomic cursor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assume any specific posture of hand and fingers
EP0606704B1 (en) Finger-mounted computer interface device
WO2007129663A1 (ja) 指先装着センサによる入力装置
TW201115404A (en) Wear-on type input device
US20160109967A1 (en) Stylus
US20080246730A1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Improved Control Performance
US20060001646A1 (en) Finger worn and operated input device
US20080036733A1 (en) Depressable computer touch input device for activat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EP1642259B1 (en) Biomechanically low load computer mouse
KR20010077701A (ko) 엄지골무마우스
KR100802456B1 (ko) 고정형 마우스
Calvo et al. Pointing devices for wearable computers
KR20170103312A (ko) 펜 마우스 장치
KR20010077030A (ko) 엄지골무마우스
KR101095012B1 (ko) 반지형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750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80052497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