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65B1 -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 Google Patents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65B1
KR102127465B1 KR1020180075875A KR20180075875A KR102127465B1 KR 102127465 B1 KR102127465 B1 KR 102127465B1 KR 1020180075875 A KR1020180075875 A KR 1020180075875A KR 20180075875 A KR20180075875 A KR 20180075875A KR 102127465 B1 KR102127465 B1 KR 10212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user
band
mouse bod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13A (ko
Inventor
신주현
이용은
신희철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어, 사용자의 손의 이동 및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마우스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상기 마우스 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Band-type optical wireless mouse}
본 발명은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어, 사용자의 손의 이동 및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마우스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상기 마우스 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된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의 본체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데 USB 케이블를 장착하고 해제하는 불편함과 외관상으로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로 선을 사용하지 않는 무선 마우스가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기기들의 경량화 소형화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마우스도 신체에 착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개발되고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1975호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웨어러블 형태의 마우스를 착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과 버튼 조작에 의해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핑거 마우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웨어러블 형태의 핑거 마우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핑거 마우스는 하우징(10), 인디케이터 윈도우(11) 및 동작 제어 버튼들(12.1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RF 송수신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동작 신호 감지 회로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이 구비된다.
상기 핑거 마우스의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에 장착하여 동작을 실행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된 상기 가속도계와 상기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마우스 커서의 이동과 관련된 이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 버튼들(12,13,14)을 조작해 컴퓨팅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마우스의 클릭 이벤트 발생 등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한편, 상기 핑거 마우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 장소에 제약 없이 종래의 마우스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동작 제어 버튼들(12,13,14)의 조작이 복잡하여 선행 교육이 필요하며, 엄지 손가락으로 마우스의 이벤트 발생 목적에 따라 상기 제어 버튼들(12,13,14)을 눌러서 조작해야 함으로 불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교육 없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고, 무선으로 컴퓨터와 통신하여 마우스 커서의 조작이 가능한 마우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교육 과정이나 복잡한 조작 과정이 필요 없이 무선으로 컴퓨터와 통신하여 편리하고 쉽게 마우스 커서를 조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신축성과 수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의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압력 센서;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마우스이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마우스의 동작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손가락의 손허리뼈를 감쌀 수 있도록 착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마우스의 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엄지의 상, 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상기 광 센서, 상기 압력 센서, 상기 프로세서, 무선 통신 장치 및 감지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사용자 검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제1 압력센서, 사용자 중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는 신축성 및 수축성을 갖는 밴드형 타입으로 착용성과 보관성이 좋으며, 광 센서를 통해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들이 검지와 중지의 움직임을 인지하여 마우스 커서의 왼쪽 클릭과 오른쪽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고 복잡한 버튼 조작없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웨어러블형의 핑거 마우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손등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손바닥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100)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고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20)와 연동되어, 상기 컴퓨터(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2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광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손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손바닥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100)는 밴드형의 마우스 본체(110), 광 센서(120), 압력 센서(130), 프로 세서(140) 및 무선 통신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우스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도록 신축성과 수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마우스 본체(110)는 사용자 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손가락의 손허리뼈를 감쌀 수 있도록 착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 무선 마우스(100)는 상기 마우스 본체(110)가 밴드형 타입으로 신축성과 수축성이 있어 사용자의 손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 전체를 감싸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이질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 본체(110)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감지 센서(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160)는 사용자의 엄지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140)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160)는 엄지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엄지와 검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는 상기 광 센서(120), 상기 압력 센서(130), 상기 프로세서(140), 상기 무선 장치(150) 및 상기 감지 센서(16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위치가 지정된 것은 아니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손등 부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가볍고 편리성이 좋은 수은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센서(120)는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인지하기 위한 것으로, 빛을 쏘고 다시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아 움직임을 인지하므로 상기 마우스 본체(110)의 손바닥 부분에 구비되며, 반사된 빛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40)로 전송한다.
상기 압력 센서(130)는 사용자의 손허리뼈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130)는 검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서(131)와 중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110)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132)로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클릭하는 행동을 취하게 되면, 각각의 손허리뼈가 상기 제1 압력 센서(131)와 상기 제2 압력 센서(132)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131)와 상기 제2 압력 센서(132)는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광 센서(120), 상기 압력 센서(130) 및 상기 감지 센서(160)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컴퓨터(20)에 디스플레이되는 마우스 커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마우스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광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는 왼쪽 클릭, 오른쪽 클릭 이벤트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감지 센서(1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는 마우스의 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150)를 통해 상기 컴퓨터(10)로 생성된 마우스 동작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는 밴드형 타입으로 착용성과 보관성이 용이하여,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별도의 조작없이 온/오프 스위치 활성화만으로 자동으로 광 센서, 압력 센서들 및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마우스 커서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110:마우스 본체
120:광 센서 130:압력 센서
140:프로세서 150:무선 통신 장치
160:감지 센서 170:온/오프 스위치

Claims (7)

  1.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손가락의 손허리뼈를 감쌀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며, 신축성과 수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의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압력 센서;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마우스의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마우스의 동작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마우스의 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엄지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사용자 검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제1 압력센서, 사용자 중지의 손허리뼈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상기 광 센서, 상기 압력 센서, 상기 프로세서, 무선 통신 장치 및 감지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75875A 2018-06-29 2018-06-29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KR10212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75A KR102127465B1 (ko) 2018-06-29 2018-06-29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75A KR102127465B1 (ko) 2018-06-29 2018-06-29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13A KR20200002413A (ko) 2020-01-08
KR102127465B1 true KR102127465B1 (ko) 2020-06-29

Family

ID=6915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75A KR102127465B1 (ko) 2018-06-29 2018-06-29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11A (ja) * 2007-02-16 200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12073830A (ja) * 2010-09-29 201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637A (ko) *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70088191A (ko) * 2016-01-22 2017-08-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장치
KR20180000515A (ko) * 2016-06-23 2018-01-03 서현택 손가락 모션 감지를 통한 마우스 기능 구현 시스템
KR20180071650A (ko) * 2016-12-20 2018-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밴드형 에어 마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11A (ja) * 2007-02-16 200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12073830A (ja) * 2010-09-29 2012-04-12 Pioneer Electronic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13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78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he human body as an input device
US9880620B2 (en) Smart ring
JP4099450B2 (ja) 手袋コンピュータマウス
US20120293410A1 (en) Flexible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US20030214481A1 (en) Finger worn and operated input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80259028A1 (en) Hand glove mouse
EP3635511B1 (en)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CA300719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displayed on head-mounted displays
US20150077347A1 (en) Ergonomically optimized remote controlle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30004231A1 (en) Sensors for Electronic Finger Devices
TWI492104B (zh) 光學迷你滑鼠
US10276036B2 (en)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497829B1 (ko) 모션 입력을 이용하는 손목시계형 장치
WO2016049842A1 (zh) 一种便携或可穿戴智能设备的混合交互方法
KR102127465B1 (ko) 밴드형 광 무선 마우스
JP2001236177A (ja) マウス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KR101625066B1 (ko) 웨어러블 마우스
KR100997840B1 (ko)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TWI581129B (zh) 穿戴式電子裝置及游標控制裝置
CN105468207A (zh) 穿戴式电子装置及游标控制装置
TWM578487U (zh) Wearable control device
TWI823732B (zh) 滑鼠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