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94B1 -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94B1
KR102311294B1 KR1020210008208A KR20210008208A KR102311294B1 KR 102311294 B1 KR102311294 B1 KR 102311294B1 KR 1020210008208 A KR1020210008208 A KR 1020210008208A KR 20210008208 A KR20210008208 A KR 20210008208A KR 102311294 B1 KR102311294 B1 KR 10231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ignal
input
distance
detecte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박환성
Original Assignee
(주)이엠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씨씨 filed Critical (주)이엠씨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입력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은, 센싱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한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한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상기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METHOD OF DETERMINING INPUT FOR ELEVATOR BUTTON, BUTTON INPUT DECISION DEVICE AND BUTTON INPUT DECISION SYSTEM PERFORMING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층수를 입력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는 층수별 입력키, 닫힘키, 열림키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는 전기 접점 스위치(Tact switch)를 이용하여 기계적 압력을 감지하거나 정전식 터치를 이용한 접촉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최근에 들어 국민들의 건강 보건 의식이 높아지고,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이 치료제 또는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질병에 대한 대비 의식의 함양으로 인하여 비접촉 버튼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 입력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비접촉 방식 뿐만 아니라, 접촉 방식으로도 입력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버튼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은, 센싱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한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한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 범위는 상기 제1 거리 범위 및 사람의 손가락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3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3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시간 별로 누적하여 상기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형태는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형태는 음의 기울기를 갖는 그래프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를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된 거리 정보를 기 설정된 형태와 연관시켜 연관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비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 범위는 상기 제1 각도 범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장치는, 센싱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한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한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은,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비접촉식 입력 판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버튼 입력 감지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의 비접촉식 입력 여부를 감지하므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접촉함으로 인한 질병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비접촉식 입력 감지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므로, 손가락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할 경우, 해당 접근을 접촉식 입력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버튼을 비접촉식 입력과 접촉식 입력으로 병용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 등 비접촉 입력 제스쳐가 어려운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광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의 기능을 관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접근 감지부가 손가락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부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부가 시간-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제1 물체의 거리로부터 생성한 시간-거리 그래프의 예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10)은 센싱부(100) 및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00)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사람이 누르고자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상에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센싱부(100)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레이저 발광부(110) 및 레이저 수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110)는 사람의 손가락을 감지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방사(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발광부(110)가 방사하는 레이저는 가시광 영역에 간섭받지 않고 눈으로 볼 수 없는 적외선 레이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레이저 발광부(110)가 방사하는 레이저는 사람의 손가락을 감지하기 위한 어떠한 형식의 레이저일 수 있으며, 예컨대, 사람의 접근이 감지에 대한 시인성이 필요한 경우, 상기 레이저는 가시광 레이저일 수도 있다.
레이저 수광부(120)는 레이저 발광부(110)가 방사한 레이저가 사람의 손 등의 특정 물체에 맞고 반사되는 경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집할 수 있다.
레이저 수광부(120)는 레이저 발광부(110)에서 방사되어 사람의 손 등에 반사된 레이저를 협각의 범위 및/또는 광각의 범위에서 수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수광부(120)가 상기 반사된 레이저를 수집하는 방법은 도 2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센싱부(100)는 레이저 수광부(120)가 협각의 범위에서 수집한 협각 레이저를 이용하여 협각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레이저 수광부(120)가 광각의 범위에서 수집한 광각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각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는 센싱부(100)에서 수집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 또는 접촉식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송수신기(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의 각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송수신기(220)를 이용하여 센싱부(100)에서 수집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프로세서(210)는 송수신기(220)를 이용하여 협각 감지 신호 및/또는 광각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협각 감지 신호 및/또는 상기 광각 감지 신호는 물체를 감지한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협각 감지 신호는 협각의 범위에서 감지된 물체(예컨대, 사람의 검지 손가락)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각 감지 신호는 광각의 범위에서 감지된 물체(예컨대, 사람의 주먹, 검지 손가락 외 손가락 등)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는 엘리베이터 버튼(또는 센싱부(100))로부터 감지된 물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가 송수신기(2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0)가 송수신기(220)를 이용하여 협각 감지 신호 및/또는 광각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는 (송수신기(220)를 대신하여)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는, 입출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협각 감지 신호 및/또는 광각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 및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을 실행하기 위하여 메모리(230)에서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 및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을 로드하고, 로드한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에 수신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 또는 접촉식 입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을 실행하여, 수신한 감지 신호로부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 또는 접촉식 입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의 기능 및/또는 동작에 대하여는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수광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수광부(120)는 협각(narrow angle) 수광부(122)와 광각(wide angle) 수광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협각 수광부(122)는 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협각이란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사람의 손가락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직접적으로 누르려는(즉, 엘리베이터 버튼을 가리키는) 손가락(예컨대, 검지 손가락)만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광각 수광부(124)는 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광각의 범위란 상기 협각 이상이면서, 광각 이하인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사람의 손가락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직접적으로 누르려는(즉, 엘리베이터 버튼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각의 범위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려는 사람의 손가락들 중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직접적으로 누르려는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로서, 사람이 주먹을 쥐었을 때 주먹을 넘어서지 않는 범위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협각의 범위 및 상기 광각의 범위는 기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비접촉식 입력 판단 시스템(10)의 작동 도중에 또는 미작동 시에 전기적, 기계적 또는 프로그램적인 방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레이저 수광부(120)에 포함된 협각 수광부(122) 및 광각 수광부(124)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예컨대,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수광부(120)는 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협각 레이저를 수집하는 협각 센서 및 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광각 레이저를 수집하는 광각 센서를 포함하고, 협각 수광부(122)는 상기 협각 센서로 구현되고, 광각 수광부(124)는 상기 광각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수광부(120)는 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협각 레이저를 수집하고, 광각의 범위 내에서 반사되는 광각 레이저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협각 수광부(122) 및 광각 수광부(124)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레이저들을 수집된 범위에 따라 나누어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의 기능을 관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은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 및 버튼 입력 판단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 및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의 기능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240)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눈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라,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 및 버튼 입력 판단부(244)의 기능은 병합/분리 가능하며,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일련의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센싱부(100)로부터 수신한 협각 감지 신호 및 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부(100) 주위에 사람의 손가락이 위치하는지 여부(즉, 사람의 손가락이 센싱부(100)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센싱부(100)로부터 수신한 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제1 물체(예컨대, 사람의 검지 손가락)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 범위는 협각 수광부(122)(또는 센싱부(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의 최소 감지 거리보다 크고, 협각 수광부(122)(또는 센싱부(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의 최대 감지 거리보다 작은 거리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물체가 감지된 거리(D1)가 상기 최소 감지 거리보다 크고, 상기 최대 감지 거리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센싱부(100)로부터 수신한 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제2 거리 범위에서 제2 물체(예컨대, 사람의 검지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 주먹, 손 등)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물체는 광각 수광부(124)에서 감지한 물체 중에서 협각 수광부(122)에서 감지한 제1 물체를 제외한 물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거리 범위는 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제1 물체의 거리(D1)에 기 설정된 거리(예컨대, 손가락 길이)를 더한 값보다 큰 거리 범위일 수 있다. 즉, 버튼 입력 판단 장치(200)는 제2 물체를 감지한 거리(D2)가 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한 제1 물체의 거리(D1)와 기 설정된 손가락 길이를 더한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상기 제1 거리 범위에서 상기 제1 물체가 감지되고, 상기 제2 거리 범위에서 상기 제2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사람의 손가락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사람의 손가락이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3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3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물체의 거리(D1)에 대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시간-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거리 범위는 협각 수광부(122)(또는 센싱부(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의 최대 감지 거리보다 작은 거리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버튼 입력 판단부(244) 상기 제1 물체를 감지한 거리가 최대 감지 거리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제1 형태는 'V'자 형태일 수 있다. 즉, 시간-거리 정보가 'V'자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경우, 사람의 손(또는 손가락)이 점진적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에 접근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고, 점진적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으로부터 멀어진다고 경험칙에 따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7을 더 참조하면, 도 7의 (a)와 (b)의 경우, 시간-거리 그래프가 'V'자 형태를 띄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7의 (a)와 (b)에 해당하는 시간-거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는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도 7의 (c)에 해당하는 시간-거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시간-거리 그래프가 'V'자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는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손가락을 이용한 접촉식 입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제 2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태(즉, 음(-)의 기울기를 갖는)일 수 있다. 즉, 버튼 입력 판단부(244)가 (최소 감지 거리까지) 제1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제1 물체가 (최소 감지 거리까지) 계속하여 버튼에 가까워지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손가락을 이용한 접촉식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입력의 순서에 따라, 제1 형태의 입력을 먼저 인지한 후 제2 형태의 입력을 인지한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가 기 인지한 제1 형태의 입력을(즉, 비접촉식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비접촉식 입력 뿐만 아니라 접촉식 입력 또한 판단할 수 있으며, 비접촉식 입력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시각 장애인 등)에 대한 엘리베이터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접근 감지부가 손가락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송수신기(220)를 이용하여 협각 감지 신호 및 광각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수신한 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제1 범위 내에서 제1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0).
상기 제1 범위 내에서 제1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S410의 '예'),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수신한 광각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제2 범위에서 제2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상기 제2 범위에서 상기 제2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S420의 '예'),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손가락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430).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가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범위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손가락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접근 감지부(242)는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범위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후에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판단과 상기 제2 물체에 대한 판단이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부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3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0).
제1 물체가 상기 제3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S500의 '예'),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제1 물체의 거리(D1)에 대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시간-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10).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S520의 '제1 형태'),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손가락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S530).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S520의 '제2 형태'),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손가락을 이용한 접촉식 입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S540).
반면, 상기 시간-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 및 제2 형태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S520의 '아니오'),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입력 판단부가 시간-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물체가 상기 제3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제1 물체의 거리(D1)에 대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시간-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20).
상기 시간-거리 정보는 제1 물체를 감지한 환경(즉, 제1 물체가 감지된 거리 및 시간)에 따라 서로 상이하므로, 생성된 시간-그래프를 그대로 기 설정된 형태와 비교할 경우, 유사도를 판단하기 힘들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상기 시간-거리 정보를 정규화(normalize)할 수 있다(S521).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정규화한 시간-거리 정보를 기 설정된 형태(제1 형태 및/또는 제2 형태)와 연관(correlation)시키고(S523), 연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초과)인 경우(S525의 '예'),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가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S530) 또는 접촉식 입력(S540)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연관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이하)인 경우(S525의 '아니오'), 버튼 입력 판단부(244)는 감지된 제1 물체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S550).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접촉식 입력 판단 시스템
100: 센싱부
110: 레이저 발광부
120: 레이저 수광부
122: 협각 수광부
124: 광각 수광부
200: 버튼 입력 판단 장치
210: 프로세서
220: 송수신기
230: 메모리
240: 버튼 입력 판단 프로그램

Claims (12)

  1. 버튼 입력 판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싱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한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한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범위는 상기 제1 거리 범위 및 사람의 손가락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3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3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시간 별로 누적하여 상기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비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형태는 V자 형태인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형태에 해당하는 경우, 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형태는 음의 기울기를 갖는 그래프의 형태인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를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된 거리 정보를 기 설정된 형태와 연관시켜 연관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비접촉식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범위는 상기 제1 각도 범위보다 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9. 센싱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한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한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이라고 판단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10. 제1 각도 범위에서 제1 물체를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2 각도 범위에서 제2 물체를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체에 의해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판단하는 비접촉식 입력 판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입력 판단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체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물체가 상기 제1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2 물체가 상기 제2 거리 범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이라고 판단하는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1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08208A 2020-06-18 2021-01-20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KR102311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4466 2020-06-18
KR1020200074466 2020-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94B1 true KR102311294B1 (ko) 2021-10-14

Family

ID=7815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208A KR102311294B1 (ko) 2020-06-18 2021-01-20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22B1 (ko) * 2017-02-08 2018-03-0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22B1 (ko) * 2017-02-08 2018-03-0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US11738970B2 (en) * 2020-06-30 2023-08-29 Upward Technology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1340A1 (en) Gesture recognition devices and methods
CA2472563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EP2860611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patial location recognition
KR101436786B1 (ko) 위조 지문 판별 장치 및 방법
US20090174578A1 (en) Oper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system
EP28490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84737B1 (ko) 광 터치 패널과 터치 펜을 포함하는 터치 시스템 및 터치 시스템에서 간섭 광신호 제어 방법
KR10145234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311294B1 (ko)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판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판단 장치 및 버튼 입력 판단 시스템
JP201224791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594995A (zh) 一种基于手势识别的电子设备操作方法及电子设备
US10078396B2 (en) Optical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ignal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CN10871750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10022520A (ko)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TW201351203A (zh) 可攜式電子裝置及使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方法
CN104699279A (zh) 可悬浮操作的位移检测装置和包含该装置的电脑系统
US20140049515A1 (en) Virtual mou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21288B1 (ko)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90025942A1 (en)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684684A (zh) 虚拟电梯按键的触发检测方法、检测设备和电梯控制面板
CN111062325A (zh) 电子设备及其获得指纹信息的方法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US10558304B2 (en) Touch sensor and terminal device
KR101558284B1 (ko) 보조 장치를 활용한 터치 인식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13720B1 (ko) 가상 키보드의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