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856Y1 -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 Google Patents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856Y1
KR200314856Y1 KR20-2003-0005580U KR20030005580U KR200314856Y1 KR 200314856 Y1 KR200314856 Y1 KR 200314856Y1 KR 20030005580 U KR20030005580 U KR 20030005580U KR 200314856 Y1 KR200314856 Y1 KR 200314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frame
electric scooter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훈
Original Assignee
(주)엠파워텍
김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파워텍, 김문경 filed Critical (주)엠파워텍
Priority to KR20-2003-0005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8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85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15)의 일측에 구동륜(17)이 구비되어 구동륜(17)의 구동에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0)와, 상기 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20)와 동시에 구동되어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30)와, 상기 제1모터(20)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17)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와, 상기 제2모터(30)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17)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소비전력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저가의 것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wheel 17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ame 15, and the driving wheel 17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17. The first desig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ame 15 and provides driving force for driving. A motor 20, a second motor 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15 and driven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motor 2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and of the first motor 20. And a first power transfer mechanism for directl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drive wheels 17, and a second power transfer mechanism for directly transferring a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30 to the drive wheels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motor having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and to us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at a low cost.

Description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s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본 고안은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주행 상황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도록 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coo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scooter to provide power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using a plurality of motor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요부구성이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동스쿠터의 프레임(1)의 일측에는 구동륜(3)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륜(3)은 모터(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모터(5)는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된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driving wheel 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1 of the electric scooter. The drive wheel 3 is driven by the motor 5. The motor 5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

상기 모터(5)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륜(3)으로 전달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터(5)의 출력축에는 구동스프라켓(7)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륜(3)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에는 종동스프라켓(9)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7)과 종동스프라켓(9)은 체인(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 for this purpose, a drive sprocket 7 i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5, and a driven sprocket is provided on an axis that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wheel 3. (9) is installed. The drive sprocket 7 and the driven sprocket 9 are connected by a chain 1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구동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주행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모터(5)가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7), 체인(10), 종동스프라켓(9) 및 구동륜(3)의 순서로 동력이 전달되어 모터(5)에 의해 구동륜(3)이 회전되어 스쿠터가 주행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driv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user inputs a driving signal, the motor 5 is driven, and the driving sprocket 7, the chain 10, the driven sprocket 9, and the driving wheel 3 are in sequenc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3) is rotated by the motor 5 to drive the scoote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경사진 언덕을 등판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5)의 용량이 커야 한다. 하지만, 모터(5)의 용량이 커지면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상대적으로 고가가 된다. 그리고, 경사진 언덕을 등판하기 위해 모터(5)의 무리한 출력을 요구하게 되면 제어기가 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First, in order to climb a sloped hill, the capacity of the motor 5 must be large. However, as the capacity of the motor 5 increases,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it becomes relatively expensive. In addition, if an excessive force of the motor 5 is required to climb the sloped hill, the controller may be burned out.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구동스프라켓(7)과 종동스프라켓(8)이 정해진 잇수비를 가지므로 생산시에 전동스쿠터의 감속비가 이미 결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평지에서는 빨리 달리고, 언덕에서는 큰 구동토크가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어, 전동스쿠터의 주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감속기와 그 제어기를 갖추어야 한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drive sprocket 7 and the driven sprocket 8 have a fixed tooth ratio, the reduction ratio of the electric scooter is already determined at the time of production.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runs fast on the flat land, and the hill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required for the large driving torque, so that the driving of the electric scooter is not performed properly. To solve this problem, expensive reducer and its controller should be equipp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평지에서는 고속으로 주행되고 경사진 길에서는 강력한 힘으로 등판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device of the electric scooter can be climbed at a high speed on a flat surface and a strong force on a slope with a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configuration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속도를 낼 수 있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 of an electric scooter that can achieve a variety of speed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drive device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e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 프레임 17: 구동륜15: frame 17: drive wheel

18: 회전중심 18': 베어링18: center of rotation 18 ': bearing

20: 제1모터 21: 제1구동스프라켓20: 1st motor 21: 1st drive sprocket

22: 제1종동스프라켓 22': 일방향클러치베어링22: First driven sprocket 22 ': One-way clutch bearing

24: 제1체인 30: 제2모터24: 1st Chain 30: 2nd Motor

31: 제2구동스프라켓 32: 제2종동스프라켓31: 2nd driven sprocket 32: 2nd driven sprocket

32': 일방향클러치베어링 34: 제2체인32 ': One-way clutch bearing 34: Second chai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지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일측에 구동륜이 구비되어 구동륜의 구동에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와 동시에 구동되어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와,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speci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on one side of the frame is traveling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driving force for the driving A first motor to be provided, a second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driven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motor to provide driving power for driving, and a first power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to the driving wheels;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driving wheels.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구는 체인이나 벨트를 이용한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use chains or belts.

상기 구동륜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구로부터 동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방향 클러치베어링이 구비된다.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with a one-way clutch bearing to receive power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스쿠터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평지나 경사지 등 어떤 상황에서도 보다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riving device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scoot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mooth driving is possible in any situation such as flat or slop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ing device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5)에는 전동스쿠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고 주행시에 탑승자가 발을 올려 탑승하는 부분이다. 도 2에는 프레임(15)의 극히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ame 15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lectric scooter, and the part where the occupant raises his feet while driving. Only a portion of the frame 15 is shown in FIG. 2.

상기 프레임(15)의 일측에는 주행을 위한 구동륜(17)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륜(17)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5)에 구비되는 지지차축(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륜(17)의 회전중심(18)을 관통하게 상기 지지차축(15')이 위치되는데, 상기 지지차축(15')과 회전중심(18)의 사이에는 베어링(18')이 구비된다.One side of the frame 15 is provided with driving wheels 17 for driving. 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wheel 17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axle 15 ′ provided in the frame 15. That is, the support axle 15 ′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rotation 18 of the drive wheel 17, and a bearing 18 ′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xle 15 ′ and the center of rotation 18. do.

상기 프레임(15)의 일측에는 제1구동모터(20)가 설치된다. 상기제1구동모터(20)는 상기 구동륜(17)과 인접한 프레임(15)에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륜(17)은 제1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제1구동모터(20)의 출력축에는 제1구동스프라켓(21)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륜(17)의 회전중심(18)에는 제1종동스프라켓(22)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구동스프라켓(21)과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22)은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The first driving motor 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5. The first driving motor 20 is installed in the frame 15 adjacent to the driving wheel 17. The first driving motor 20 and the driving wheel 17 are connected by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at is, the first drive sprocket 21 is installed at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drive motor 20,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is installed at the rotation center 18 of the drive wheel 17. The first driving sprocket 21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are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22)은 상기 구동륜(17)의 회전중심(18)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22')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22')은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2)에서 상기 회전중심(18)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driven sprocket 2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rotation 18 of the drive wheel 17 by a one-way clutch bearing 22 '. The one-way clutch bearing 22 ′ is configured such that power is transmitted only from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to the rotation center 18.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1)과 제1종동스프라켓(22)에는 제1체인(24)이 걸어감아진다. 상기 제1체인(24)은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1)의 구동력을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hain 24 is hooked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21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The first chain 24 serves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n sprocket 21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다음으로 제2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구동모터(30)가 상기 프레임(15)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모터(30)의 출력축에는 제2구동스프라켓(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륜(17)의 회전중심(18)에는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2종동스프라켓(3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2) 역시 상기 회전중심(18)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32')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1)과 제2종동스프라켓(32)의 사이에는 제2체인(34)이 걸어감아져 이들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second drive motor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5). A second driving sprocket 31 i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30. In addition, a second driven sprocket 32 is installed at the rotation center 18 of the driving wheel 17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The second driven sprocket 32 is also installed at the rotation center 18 by a one-way clutch bearing 32 '. The second chain 34 is wound between the second driving sprocket 31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32 to transfer power therebetween.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제1모터(20)는 평지의 주행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감속비가 낮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한 속도를 낼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모터(30)는 상대적으로 감속비가 높게 되도록 구성되어 큰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2모터(30)는 주로 경사지 등을 오를 때 사용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tor 20 is preferably used for driving on a flat ground so that the reduction ratio is low. In other words, it plays a role to achieve maximum speed. And the second motor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reduction ratio is relatively high to obtain a large force. Therefore, the second motor 30 is mainly used when climbing a slope or the lik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rive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전동스쿠터는 시동이 걸어지면 상기 제1모터(20)가 구동되어 구동력이 제공된다. 상기 제1모터(20)는 평지를 주행할 때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1모터(20)가 구동력은 제1구동스프라켓(21), 제1체인(24) 및 제1종동스프라켓(22)을 거쳐 상기 구동륜(17)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륜(17)으로 전달된 구동력은 상기 구동륜(17)을 회전시켜 스쿠터가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2)은 일방향클러치베어링(32')에 의해 상기 구동륜(17)의 회전중심(18)에 설치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고 있게 된다.In the electric sco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rting is applied, the first motor 20 is driven to provide a driving force. The first motor 20 provides a driving force when driving on a flat surface,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20 is the first driving sprocket 21, the first chain 24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22 It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17 via the.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17 rotates the driving wheel 17 to allow the scooter to travel. At this time, the second driven sprocket 3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rotation 18 of the drive wheel 17 by the one-way clutch bearing 32 'so that it does not rotate.

이와 같은 상기 제1모터(20)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중에 경사지를 오르거나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버튼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제2모터(3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2모터(3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이 상기 제2구동스프라켓(31), 제2체인(34) 및 제2종동스프라켓(32)을 통해 상기 구동륜(17)으로 전달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20, the second motor 30 is driven by using a separate button or the like when climbing a slope or requiring a relatively large force. When the second motor 30 is drive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17 through the second driving sprocket 31, the second chain 34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32.

따라서, 상기 구동륜(17)은 상기 제1모터(20)의 구동력과 제2모터(30)의 구동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강력한 힘으로 회전하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는 제1동력전달기구에 비해큰 감속비를 가져 경사지 등을 오를 때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riving wheel 17 may be driven while being driven with a strong forc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20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30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30 has a greater reduction ratio tha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us can exert a great force when climbing a slope.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면,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다.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s defin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xplanatory.

예를 들어 동력의 전달을 위한 체인대신에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동력전달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belt may be used instead of a chain for power transmission, and various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may be employe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고안에서 제1모터는 종래의 전동스쿠터에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낮은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모터는 단지 평지의 주행에 필요한 정도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사지에서는 제2모터의 구동력을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적어도 종래에 사용되던 모터와 비교해서 절반정도의 출력을 가지는 것만 사용하여도 되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first m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single motor in a conventional electric scooter. This is because the first motor only needs to be able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driving on the plain. In addition, in the slop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is used together, bu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ly at least half of the output can be us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tor.

그리고, 본 고안의 모터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는 종래와 비교해서 전체출력의 절반 정도만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저가의 제어기를 사용하여 전체 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only about half of the total output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ntire motor using a relatively low-cost controller.

그리고 경사지 등을 오를 때에는 제1모터와 제2모터를 동시에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등판능력이 종래의 전동스쿠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있고, 이와 같은 구성을 평지의 주행에도 이용하게 되면 마치 변속기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nd when climbing slopes,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so the climbing ability can be obtained relative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scooters. The effect of using a transmission can be obtained.

또한 제1모터와 제2모터를 적절히 사용하므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동스쿠터에서 전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일회의 충전으로 전동스크터의 주행거리를 보다 늘릴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re properly used, the power can be more efficiently used in the electric scooter using the battery, and the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scrubber can be further increased by one charge.

Claims (3)

프레임의 일측에 구동륜이 구비되어 구동륜의 구동에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In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와,A first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와 동시에 구동되어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와,A second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driven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motor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와,A first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to the driving wheels;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driving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구는 체인이나 벨트를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2. The driving apparatus of an electric scoo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use chains or bel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구로부터 동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방향 클러치베어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driving center of the driving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way clutch bearing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wheel to receive power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
KR20-2003-0005580U 2003-02-25 2003-02-25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KR2003148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80U KR200314856Y1 (en) 2003-02-25 2003-02-25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80U KR200314856Y1 (en) 2003-02-25 2003-02-25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856Y1 true KR200314856Y1 (en) 2003-05-28

Family

ID=4940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80U KR200314856Y1 (en) 2003-02-25 2003-02-25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85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1366A (en) Electric bicycle
CN1067025C (en) Bicycle with auxiliary power unit
JP4541516B2 (en) Kinetic energy regeneration device for electric bicycle
US4779485A (en) Flywheel driven vehicle comprising plural flywheel energizing means and a forward reverse planetary gear set
US11772740B2 (en) Power train for a pedal vehicle
WO2005014383A3 (en) Automatic speed changing device
US6387004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915378B1 (en) Speed change hub for bicycle
US5100368A (en) Speed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KR200314856Y1 (en)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scooter
KR200328321Y1 (en)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 bicycle
US5613918A (en) Bidirectional torque responsive belt tensioner
US20030051568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an electric carrier
KR102095162B1 (en) Electric bicycle conversion kit
KR102062360B1 (en) Assembly kit for electric bicycle conversion
JPS62255651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339189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of Vehicle
SU1760209A1 (en) Vehicle muscular drive
KR200345765Y1 (en) riding vehicle of having multiple axial
JP2004149098A (en) Electric wheel drive for bicycle
KR200328319Y1 (en) Engine-assisted bicycle
KR200346878Y1 (en) Double driving device of the bicycle
CN106627960A (en) Dual-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bicycle adopting same
KR20010000317A (en) A transmission for a bicycle
KR200251543Y1 (en) Power driving device of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