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29Y1 -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729Y1
KR200314729Y1 KR20-2003-0007059U KR20030007059U KR200314729Y1 KR 200314729 Y1 KR200314729 Y1 KR 200314729Y1 KR 20030007059 U KR20030007059 U KR 20030007059U KR 200314729 Y1 KR200314729 Y1 KR 200314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rail
nail
ai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Priority to KR20-2003-0007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32Feeding material to be worked to nail or pin making machines

Abstract

본 고안은 건네일 제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gun nail)의 못머리부분이 좌우측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적층시켜 작업인력을 줄이고 생산성과 품질은 보다 향상시킨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Gun-nail automatic floor device}
본 고안은 건네일 제조기에 설치되는 건네일(gun nail) 자동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네일 제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의 못머리 부분이 좌우측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적층시켜 포장이 쉽도록 함으로써 작업인력을 줄이고 생산성과 품질은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못 정타기(NAIL GUN)에 장전시켜 사용하는 건네일(GUN NAIL)은 건네일제조기를 이용하여 도 1과 같이 선단에 위치하는 못머리가 바로 후단에 위치하는 못머리보다 바로 밑에 또는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배열시키고, 배열된 못은 합성수지로 밴딩시켜 어레이(array) 형태의 건네일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건네일은 물론 합성수지 밴딩된 건네일 대신 도 2와 같이 용접 와이어(wire)로 연결된 건네일, 또는 접착제로 연결된 건네일, 또는 지류 및 시트류로 접착된 건네일 등을 포함하는 경사형 건네일 및 비 경사형 건네일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조된 건네일은 못머리 부분 직경이 몸체부분 직경보다 2배 내지 2배 이상으로 큰 편이므로, 포장하기 위하여 건네일을 소정단위로 적층시킬 때 못머리가 같은 방향(한 쪽방향)에 위치하도록 적층(정열)시키는 경우, 적층된 건네일이 침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건네일을 적층시킬 때마다 못머리부가 왼쪽과 오른쪽으로 번걸아가면서 위치하도록 적층시켜 포장하게된다.
종래에는 포장을 위해 건네일을 적층시킬 때, 상기처럼 건네일의 못머리부가 좌우측에 번갈아가면서 위치하도록 적층시켜주는 기구나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인력에 의존하여 소정단위로 적층시킨 다음 박스에 넣어 포장하였기 때문에 생산성과 건네일 적층품질이 떨어질 뿐 아니라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네일 제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의 못머리가 좌우측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자동 적층시켜 포장이 쉽도록 함으로써 작업인력을 줄이고 생산성과 품질이 보다 향상되는 건네일(gun nail) 자동 적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네일 제조기로부터 제조되어 배출되는 건네일을 소정 단위로 절단시켜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어와, 이송콘베어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을 전달받아 정열시키는 정열디스크와, 건네일의 배출속도에 맞춰 정열디스크를 간헐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그 제어수단과, 정열된 건네일을 정열디스크 외부로 밀어내는 푸쉬와, 상기 푸쉬에 의해 정열디스크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의 못머리부와 침상부를 각각 클램핑하는 한 쌍의 핑거부와, 건네일을 클램핑할 때에는 핑거부를 오무리고 클램핑된 건네일을 배출콘베어로 낙하시킬 때에는 핑거부를 벌여주는 에어핑거와, 에어핑거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건네일의 못머리부가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 적층되게 하는 에어핑거 회전수단과, 건네일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에어핑거를 하강시키고 건네일이 배출콘베어로 낙하되면 에어핑거를 상승시키는 에어핑거 승강수단과, 클램핑된 건네일을 배출콘베어로 낙하시킬 때 에어핑거를 좌측 및 우측으로 조금씩 이동시켜 적층하는 건네일 이송수단으로 크게 구성된다.
도 1,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적층 대상 건네일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 건네일 제조장치의 전체 평면도 및 그 정면도.
도 4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5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6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정열디스크 평면도.
도 7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정열디스크 사시도.
도 8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정열디스크 단면도.
도 9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정열디스크 부분 평면도.
도 10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간헐 회전 감지수단 평면도.
도 11 : 본 고안 정열디스크의 다른 실시 예 평면도.
도 12 : 본 고안 정열디스크의 또 다른 실시 예 평면도.
도 13 : 본 고안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의 푸쉬 부분 평면도.
도 14 : 본 고안 핑거 구동부의 측면도.
도 15 : 본 고안에서 핑거부가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의 평면도.
도 16 : 본 고안에서 핑거부가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
도 17 : 본 고안에서 핑거부가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 : 본 고안에서 건네일이 배출콘베어에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
도 19 : 본 고안에서 적층된 건네일이 배출콘베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도.
도 20 : 본 고안 핑거부가 승강 및 회전하면서 건네일을 적층시키는 상태도.
도 21 : 본 고안에서 핑거부가 벌어지기 전의 측면도.
도 22 : 본 고안에서 핑거부가 벌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 23 : 본 고안에서 승강판이 상승된 상태의 핑거 구동부 정면도.
도 24 : 본 고안에서 승강판이 일부 하강된 상태의 핑거 구동부 정면도.
도 25 : 본 고안 제어부의 일 실시 예 회로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건네일 제조기 (4)--못 공급통
(6)--보조 디스크 (8)--못 정열디스크
(10)--경사슈트 (11)--동력전달수단
(12)(13)--압착성형롤러 (14)--어큐뮬레이터
(15)--건네일(gun nail) (15a)--건네일의 못머리부
(16)--커터 (17)--이송콘베어
(17a)--영구자석 (18)(18a)--정열디스크
(18b)--체결수단 (19)--핑거
(19c)(19d)--핑거 수납실 (19e)(19f)--핑거 측벽
(19g)--핑거의 경사면 (19h)(19k)--격리판
(20)--배출콘베어 (21)--핑거 구동부
(22)--건네일 적층장치 (23)--서보모터
(24)(50a)--축봉 (25)--축공
(26)--출입홈 (26a)(26b)--경사면
(27)(27a)--격리부 (28)--간헐 회전 감지수단
(29)--원판 (30)--슬릿
(31)--제어부 (32)--근접스위치(또는 근접센서)
(33)--지지부재 (34)--지지판
(35)--푸쉬 (36)--스페이스
(37)--너트 (38)--회동부재
(39)--축판 (39a)--회동축
(40)--접촉부 (41)(48)(49)(53)--에어실린더
(41a)(53a)(53b)(76)(77)(87)--에어실린더 로드
(42)(67)(74)(75)(78)(84)(85)--브라켓
(43)--지지판 (44)(45)--스토퍼
(46)(47)--조절구 (50)--에어핑거
(50a)(50b)--에어핑거 로드 (51)(52)--스퍼어 기어
(54)--승강판 (55)(56)--연결부재
(57)(58)(70)(71)(79)(80)--슬라이드 (59)--피스
(60)--보호판 (62)--수직부재
(63)--분사구 (64)--코팅조
(66)--감속모터 (67)--구동롤러
(67a)--피동롤러 (68)--이동판
(69)--고정판 (72)(73)(82)(83)--안내봉
(81)--블럭 (86)--통공
(88)--나사봉 (89)--안내블럭
(90)(91)--조절너트 (92)(93)--완충판
(94)--근접센서 (A)--건네일 유입구
(B)--건네일 배출부 (L1)--건네일의 외경
(L3)--출입홈의 틈간격 (L2)--건네일과 출입홈 사이의 유격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로 도시한 경사형 건네일 제조기(2)의 전체 평면도로, 못 머리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적층시켜 배출하는 못 공급통(4)과, 상기 못 공급통(4)으로부터 배출되는 못을 인도받아 보조 디스크(6)로 공급하는 경사슈트(10)와, 경사슈트(10)로 부터 진입하는 못을 낱개씩 정열시켜 못 정열디스크(8)로 인계하는 보조 디스크(6)와, 보조 디스크(6)로부터 진입되는 못을 경사지게 기울여 못머리부가 계단형으로 되게 정열시켜 배출하는 못 정열디스크(8)와, 상기 못 정열디스크(8)를 따라 이송되는 못의 양측 외면에 점액상태의 합성수지액을 분출시키는 노즐과, 못 표면에 도포된 점액상태의 합성수지액을 소정의 폭으로 압착 성형시켜 한 줄 어레이(array) 형태로 밴딩시키는 좌.우 압착성형롤러(12)(13)와, 합성수지로 밴딩된 못의 배출속도를 조절(완충)하는 어큐뮬레이터(14)와, 배출되는 밴딩(어레이) 못을 카운터하여 적당한 개수로 절단하는 커터(16)와, 커팅된 건네일(15)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어(17)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는 상기 이송콘베어(17)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15)이 복수 개의 출입홈(26)으로 각각 삽입되면서 정열되는 정열디스크(18)와, 정열디스크(18)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15)을 배출콘베어(20)로 낙하시켜 복수 층으로 적층시키는 핑거(19) 및 핑거 구동부(21)로 구성되며, 핑거(19) 및 핑거 구동부(21)는 포장기준에 준하는 복수 층으로 건네일(15)을 적층시키게 되며, 배출콘베어(20)는 적층된 건네일(15)을 포장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건네일(15)은 어레이(array) 형태로 정열되는 못의 표면에 소정폭으로 합성수지액을 압착 성형시켜 밴딩하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물론 합성수지 밴드 대신 용접롤러를 이용하여 어레이 형태로 정열되는 못의 양측 표면에 와이어(wire)가 용접된 건네일과, 어레이 형태로 정열되는 못의 양측 표면에 지류 및 시트류가 접착된 건네일과, 어레이 형태로 정열되는 못의 양측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건네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자동 적층 대상으로 하는 건네일(건 브레드를 포함한다.)은 합성수지로 밴딩된 건네일, 지류 및 시트지로 접착 또는 밴딩된 건네일, 접착제로 접착된 건네일, 와이어로 용접된 건네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사형 건네일 또는 비 경사형 건네일이 된다. 즉, 대부분의 건네일(또는 건 브레드)을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로 자동 적층시켜 쉽게 포장할 수 있다는 뜻이다.
도 4는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그 요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는 건네일(15)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어(17)의 끝단 하부에 정열디스크(18)가 축설치된다.
그리고, 정열디스크(18)의 축봉(24)은 타이밍벨트 및 타이밍 풀리 등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11)으로 서보모터(23)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출입홈(26)으로 유입되는 건네일(15)의 속도에 맞춰 정열디스크(18)가 간헐 회전하게된다.
상기 정열디스크(18)는 도 6, 도 7과 같이 대체로 원판형이며, 중앙 축공(25)에는 축봉(24)이 체결된다. 그리고, 정열디스크(18)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축공(25)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출입홈(26)과 상기 출입홈(26)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격리부(27)가 교대로 빙둘러 형성되며, 도 5와 같이 상기 출입홈(26)으로 건네일(15)이 낱개씩 유입되어 그 못머리부(15a)가 걸림된다.
상기 출입홈(26)의 틈간격(L3)은 도 9와 같이 건네일(15)의 외경(L1)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건네일(15)이 쉽게 출입할 수 있게 되며, 출입홈(26)의 선단부 양측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대향 경사면(26a)(26b)이 각각 형성되어 건네일(15)의 진입(유입)이 한층 쉬워진다.
그리고, 하부 정열디스크(18a)는 도 7, 도 8과 같이 외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여 출입홈(26)의 수직높이가 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함으로서 건네일(15)의 입/출입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출입홈(26)은 건네일(15)의 출입과 배출이 시작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가 보다 높아지게 구성되므로 건네일(15)의 입/출입 에러가 거의 없어진다.
정열디스크(18)의 축봉(24) 하부에는 정열디스크(18)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31)로 입력하는 감지수단(28)이 설치되며, 따라서 제어부(31)가 서보모터(23)를 제어하여 출입홈(26)으로 유입되는 건네일(15)의 출입속도에 맞춰 정열디스크(18)가 간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28)은 도 10과 같이 축봉(24)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원판(29)과, 원판(29)의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30)과 상기 슬릿(30)을 감지하여 제어부(31)로 입력하는 근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32)에 의해 서보모터(23)가 간헐 회전하게 되고, 정열디스크(18) 또한 간헐 회전하게된다.
상기 근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32)는 지지판(34)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3)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서보모터(23)에 의해 회전하는 원판(29)의 슬릿(30) 부분이 근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32)에 근접하면, 근접 감지신호가 제어부(31)로 입력되고, 제어부(31)는 서보모터(23)를 제동시켜 원판(29)과 정열디스크(18)가 정지되며, 회전이 정지된 기간동안 하나의 출입홈으로 건네일(15)이 유입된다.
상기 슬릿(30)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정열디스크(18)에 형성되는 출입홈(26)의 위치와 개수에 상관관계가 있다.
이를테면, 도 10과 같이 정열디스크(18)에 형성되는 건네일 출입홈(26)이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배열되는 경우, 출입홈(26)의 개수를 60개로 가정하면 슬릿(30) 역시 60개로 균등하게 형성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도 6, 도 7과 같이 격리부(27) 양측에 2개의 출입홈(26)이 평행하도록 형성한 경우, 슬릿(30)의 폭을 양측 출입홈(26)의 거리와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형성하여 근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32)가 슬릿(30)의 시작 부분(지점)과 끝나는 부분(지점)을 각각 감지하여 간헐정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1)는 근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32)가 슬릿(30)의 시작 부분(지점)을 감지한 시점에 정열디스크(18)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한 개의 건네일(15)이 선단 출입홈(26)으로 유입되게 하고, 제어부(31)는 건네일(15)의 출입홈(26)으로 완전히 유입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설정된 정지시간이 지나면 정열디스크(18)를 회전시키되 슬릿(30)이 끝나는 부분(지점)이 감지되면 정열디스크(18)가 간헐 정지되도록하여 또 한 개의 건네일(15)이 이웃하는 후단 출입홈(26)으로 유입되어 안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출입홈(26)의 개수를 50개로 가정하면 슬릿(30)의 개수는 그 절반인 25개가 되므로 슬릿(30) 감소에 따른 가공시간 단축과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정열디스크(18)에 형성된 출입홈(26)과 대응하는 부분의 원판(29) 부분에 슬릿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개의 출입홈(26)이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3개의 건네일이 한 꺼번에 배출되도록 구성한 도 11의 경우, 상기처럼 슬릿이 형성되는 폭을 3개의 출입홈(26) 간격에 맞도록 조정하고, 평행하는 3개의 출입홈으로 건네일이 각각 유입되도록 제어부(31)로 간헐회전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건네일(15)이 각각의 출입홈(26)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핑거(19)로 배출될 때에는 3개의 건네일이 한 꺼번에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 정열디스크(18)는 복수 개의 건네일(15)이 출입홈(26)으로 각각 출입된 상태에서 간헐회전하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 건네일(15)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평행 출입홈(26)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평행 격리부(27)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격리부(27a)는 출입홈(26)의 평행상태를 돕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으로 향할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갖게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건네일(15)의 출입이 쉽도록 출입홈(26)의 틈간격(L3)은 건네일(15)의 외경(L1)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건네일(15)과 출입홈(26) 사이에 유격(L2 ×2)이 형성된다.
따라서, 건네일(15)이 출입홈(26)으로 유입되거나, 건네일(15)이 출입홈(26)에 안착된 상태이거나, 또는 푸쉬(35)에 의해 출입홈(26)을 벗어날 때 건네일(15)의 하부가 수직상태를 벗어나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올바른 입/출입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격(L2 ×2)을 감안하여 출입홈(26)의 상하 두께(또는 상하 높이)는 상기 유격(L2 ×2) 이상으로 유지시켜 건네일(15)의 하부가 크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한 장의 원형판재로 정열디스크(18)를 구성하는 경우 상당한 두께의 원형판재가 요구되며, 복수 개의 출입홈(26)을 일일이 가공하는 데에도 원가상승이 초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원형 판재로 정열디스크(18)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두께가 얇은 복수 개의 정열디스크(18)(18a)를 복수 층으로 결합시킨 다음 체결수단(18b)으로 체결시켜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 도 8과 같이 두께가 얇으면서 축공(25)과 복수 개의 출입홈(26)과 복수 개의 격리부(27)와 대향 경사면(26a)(26b)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정열디스크(18)(18a)를 상하로 결합시켜 출입홈(26)의 상하 거리가 상기 유격거리(L2 ×2) 이상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출입홈(26)으로 입/출입하거나, 출입홈(26)에 안착된 건네일(15)의 수직상태가 무너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건네일(15)이 핑거(19) 내부로 에러없이 쉽게 유입 및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정열디스크(18)(18a)의 가운데 부분은 접촉시켜 볼트로 체결하고, 가장자리 부분은 스페이스(36)를 이용하여 상하 격리부(27)가 벌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출입홈(26)의 상하 거리가 보다 크게 확보된다.
상기의 경우 복수 쌍의 정열디스크(18)(18a)를 상하로 결합함으로써 강도와 두께가 보상되며, 또한 정열디스크(18)(18a)를 두께가 얇은 상태로 가공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정열디스크(18)(18a)의 가공이 보다 쉬울 뿐 아니라, 두께가 얇은 격리부(27)(27a)의 탄성에 의해 완충된다.
즉, 도 8과 같이 상부 정열디스크(18)의 격리부(27) 가장자리 부분에 볼트와 같은 스페이스(36)를 체결시켜 하향 돌출되게 고정시켜 상하 격리부(27)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으며, 스페이스(36)의 하향 돌출부에 너트(37)를 체결시켜 너트(37)의죄임정도나 이완정도에 따라 상하 격리부(27)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이격거리와 탄성정도를 소폭으로 조정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건네일(15)이 배출과정에서 보다 쉽게 기울어질 수 있는(수직상태가 무너질 수 있는)가장자리 부분은 출입홈(26)의 상하 거리가 보다 이격되는 구성이므로 건네일(15)이 항상 수직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정열디스크(18)(18a)에 형성되는 출입홈(26)을 도 12와 같이 정열디스크(18)(18a)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건네일(15)이 하나씩 배출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정열된 건네일을 2개 또는 그 이상씩 한 꺼번에 배출시켜야 생산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경우, 정열디스크(18)(18a)에 형성되는 출입홈(26)은 이에 부응하도록 2줄 또는 2줄 내지 5줄 범위로 평행하도록 형성하면 될 것이다.
상기에서 2줄 또는 5줄 범위로 형성되는 출입홈(26)은 핑거(19)로 투입되면서 한 꺼번에 클램핑되어야 하므로 서로 평행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6, 도 7, 도 11은 이러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 도 7은 정열디스크(18)(18a)에 형성되는 출입홈(26)을 2열 단위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2개의 건네일이 한 꺼번에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도 11은 출입홈(26)을 3줄 단위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3개의 건네일이 한 꺼번에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정열디스크(18)의 바깥 부분에는 정열디스크(18)를 보호하고, 또한 간혹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건네일(15)의 출입홈(26) 이탈을 방지하는 수직 보호판(60)이 일부 구간에 빙둘러 설치된다.
상기 보호판(60)은 도 4, 도 13과 같이 건네일(15) 유입구(A)와 건네일(15) 배출부(B) 사이 구간에는 건네일(15)의 원활한 입/출입을 위하여 보호판(60)이 생략된다. 그리고, 보호판(6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61)은 수직부재(6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재(62)의 하부는 지지판(34)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편의상 도 5에서와 같이 건네일(15) 유입구(A)와 건네일(15) 배출부(B)가 정열디스크(18)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물론 이렇게도 구성할 수 있으며, 실제로는 도 4, 도 13과 같이 유입구(A)와 배출부(B)는 직각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도 5에서 가상선(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보호판(60)과 수직부재(62) 역시 편의상 유입구(A)와 배출부(B)에 도시하였으나, 도 13에서와 같이 유입구(A)와 배출부(B)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출입홈(26)으로 유입된 건네일(15)은 출입홈(26)에 안착된 상태로 약 270°회전하여 배출부(B)로 이동된 다음 푸쉬(35)에 의해 정열디스크(18)(18a)바깥으로 배출되고 핑거(19)로 투입된다.
상기 푸쉬(35)는 정열디스크(18)(18a)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정열디스크(18)(18a)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출부(B)로 이송된 건네일을 핑거(19) 방향으로 밀어 투입시키게된다.
상기 푸쉬(35)가 설치되는 위치는 건네일(15)의 배출위치, 이를테면 핑거(19)와 마주하는 정열디스크(18)(18a) 하부에 위치하며, 핑거(19)와 마주 보도록 설치된다.
정열디스크(18)(18a)의 하부에는 도 5와 같이 회동부재(38)가 설치되고, 회동부재(38)는 지지판(34)에 직접 축설치되거나 또는 지지판(34)에 고정되는 축판(39)에 축설치된다. 그리고, 건네일(15)의 후단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푸쉬(35)의 선단부는 상기 회동부재(38)의 기울기를 감안하여 건네일(15)의 후단과 면접촉되는 접촉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부재(38)의 일단에는 에어실린더(41) 로드(41a)가 축설치되고, 에어실린더(41)의 후부는 지지판(34)에 고정되는 브라켓(42)에 축설치된다. 따라서, 회동부재(38)는 에어실린더(41)의 동작에 의해 회동축(39a)을 중심으로 회동운동하게되며, 회동부재(38)를 따라 회동하는 접촉부(40)에 의해 건네일(15)이 간헐적으로 배출된다.
정열디스크(18)(18a) 상의 건네일(15)을 밀어내는 접촉부(40)는 배출되는 건네일의 개수에 따라 접촉부(40)의 폭이 달라진다.
예컨데, 도 12와 같이 출입홈(26)이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건네일(15)이 낱개씩 배출되는 경우, 접촉부(40)의 폭은 배출 대상 낱개의 건네일만 밀어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도 7과 같이 출입홈(26)이 2개 단위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한 꺼번에 2개의 건네일(15)이 배출되는 경우, 접촉면(40)의 폭은 보다 넓게 형성되어 2개의 건네일을 한 꺼번에 밀어 낼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출입홈(26)이 3개 단위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한 꺼번에 3개의 건네일(15)이 배출되는 경우, 접촉면(40)의 폭은 더욱 넓게 형성되어 3개의 건네일(15)을 한 꺼번에 밀어 낼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41)는 도 13과 같이 축봉(24)에 접하지 않도록 축봉(24)을 비켜 설치되지만 접촉부(40)는 축봉(24)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핑거(19)와 대향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0)는 건네일(15)의 크기나 경사각도 등에 따라 회전각도나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건네일(15)의 폭이나 크기, 핑거(19)와의 거리 등을 감안하여 회동부재(38)의 회동 스트로크(회동구간 또는 회동거리)가 조정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와 같이 지지판(34)에 고정된 수직판(43)이 회동부재(38)의 측면에 위치하고, 수직판(43)의 상부 양측에 스토퍼(44)(45)가 설치되고, 스토퍼(44)(45)에는 돌출정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46)(47)가 설치되어 회동부재(38)의 회동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게되며, 회동부재(38)가 접촉되는 조절구(46)(47)의 선단부에는 고무 등과 같은 완충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정열디스크(18)(18a)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15)을 클램핑하는 핑거(19)는 에어실린더(48)(49)에 의해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에어핑거(50)에 의해 핑거(19)의 벌어짐운동과 오무림운동이 달성되며, 또한 기어(51)(52)와 에어실린더(53)에 의해 도 14, 도 16, 17과 같이 에어핑거(50)가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컨베어(20)상 낙하시키게 되므로 도 18과 같이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가 좌우측으로 번갈아 가면서배출컨베어(20)상에 적층되어 적층높이가 낮으면서 양호한 적층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배출컨베어(20)상에 적층된 건네일(15)은 도 19와 같이 1차 적층 시간동안 간헐적으로 정지 및 이동하는 배출콘베어(20)를 따라 포장위치(배출콘베어의 끝부분)로 이동되며, 포장위치로 이동된 건네일은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에 넣어 포장하거나, 포장작업자가 손작업으로 포장박스에 넣어 포장하게된다.
상기의 경우, 도 18과 같이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가 좌측과 우측으로 교대하여 자동 적층되므로 교대로 적층하는데 따른 작업인력과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시간손실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고, 건네일(15)이 균일하게 포장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9와 같이 에어핑거(50)에 축 설치된 스퍼어기어(51)는 치합된 스퍼어기어(52)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고, 상기 스퍼어기어(52)는 제어부(31)의 제어를 받는 에어실린더(53)의 동작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게된다.
따라서, 도 20과 같이 핑거부(19a)(19b)가 0°, +90°, 0°, -90°, 0°순서로 회전하거나 또는 0°, -90°, 0°, +90°, 0°순서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하게 되므로 도 18과 같이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가 배출콘베어(20) 위에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교대로 적층된다.
즉,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가 한 쪽으로 적층되거나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건네일(15)의 적층두께도 최소화 된다.
상기에서 건네일(15)이 수평으로 유지되는(회전각도가 좌우측으로 0°일 때) 상태에서 에어핑거(50)의 벌어짐 동작에 의해 핑거부(19a)(19b)가 벌어지고 클램핑이 해제되므로 건네일(15)은 자중에 의해 배출콘베어(20)로 낙하하게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8)에 의해 핑거부(19a)(19b)가 원래위치로 상승 복귀하면서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에어핑거(50)의 오무림 동작에 의해 핑거부(19a)(19b)는 건네일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오무려지면서 이격거리가 유지된다.
이송콘베어(27)의 하부에는 도 4와 같이 건네일(15)의 일부(주로 하부)표면에 산화방지제등을 도포하는 코팅조(64)가 설치되며, 이송콘베어(27)를 따라 배출방향으로 이송되는 건네일(15)은 상기 코팅조(64)에 일부 침전되거나 또는 분사노즐에 의해 건네일(15)의 표면으로 산화방지제 등이 코팅되며, 코팅조(64)의 입구와 출구에는 건네일(15)이 지나갈 수 있는 출입문이 형성된다.
그리고, 정열디스크(18)의 하부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건네일 표면에 피복된 산화방지제 등을 자연풍 또는 열풍을 분출시켜 건조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구(63)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콘베어(20)의 양측에는 구동롤러(67)와 피동롤러(67a)가 설치되고, 구동롤러(67)의 일측에는 제어부(31)의 제어를 받는 감속모터(66)가 설치된다.
이송콘베어(17)의 저부면에는 영구자석(17a)이 고른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송중인 건네일(15)이 흡착되며, 후속하는 건네일의 전진운동에 의해 건네일(15)이 밀리면서 출입홈(26)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출입홈(26)의 직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이송콘베어(17) 부분에는 영구자석(17a)의 설치가 생략되어 있어서 출입홈(26)으로 삽입된 건네일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하면서 못머리부(15a)가 출입홈(26)의 양측에 걸려 안착되며, 안착된 건네일은 정열디스크(18)(18a)를 따라 배출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고안에서 배출되는 건네일(15)을 클램핑하는 핑거(19)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열디스크(18)의 배출부와 대향하는 승강판(54)의 일측면에 에어핑거(50)의 축봉(50a)이 축설되고, 에어핑거(50)의 축봉(50a)에는 스퍼어기어(51)가 끼워져 고정된다.
에어핑거(50)의 양측 로드(50a)(50b)에는 연결부재(55)(56)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고, 연결부재(55)(56)에는 핑거부(19a)(19b)가 마주보도록 체결된다.
일측 연결부재(55)에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로드(50a) 단부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측 연결부재(56)에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다른 한 쌍의 로드(50b) 단부가 고정되며, 에어핑거(50)의 동작상태에 따라 연결부재(55)(56) 및 핑거부(19a)(19b)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핑거부(19a)(19b)는 도 21, 도 22와 같이 수납실(19c)(19d)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19e)(19f)에 의해 건네일(15)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며, 핑거부(19a)(19b)의 입구 부분에는 경사면(19g)이 각각 또는 일측 핑거부에만 형성되어 건네일(15)의 유입이 비교적 쉬워지게되며, 핑거부(19a)(19b)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격리판(19h)(19k)이 설치되어 건네일을 분리 수용하게된다.
상기 격리판(19h)(19k)은 건네일(15)이 수납실(19c)(19d)로 유입될 때 건네일(15) 끼리의 간섭이나 접촉을 방지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지게된다.
한편, 건네일(15)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부합하도록 핑거부(19a)(19b)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일측 핑거부(19a)와 연결부재(55)는 핑거부(19a)의 직각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암수 슬라이드(57)(58)로 결합되며, 건네일(15)의 길이에 따른 위치조정이 끝나면 피스(59)로 암수 슬라이드(57)(58)를 체결시켜 위치를 고정하게된다.
따라서, 건네일(15)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피스(59)를 이완시킨 다음 건네일(15)의 길이를 감안하여 암수 슬라이드(57)(58)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고, 이완시켰던 피스(59)를 죄임하면 건네일(15)의 클램핑 길이가 조정 및 세팅된다.
한편, 에어실린더(48)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판(54)의 일단에는 스퍼어기어(51)와 치합되는 또 다른 스퍼어기어(52)가 축설치되며, 스퍼어기어(52)의 일단에는 에어실린더(53)의 로드(53a)가 축설치되고, 로드(53b)의 단부는 승강판(54)에 축설치된다.
따라서, 도 23과 같이 에어실린더(53)가 동작하여 로드(53a)(53b)가 돌출되면 스퍼어기어(52)가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치합된 또 다른 스퍼어기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에어핑거(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상기 핑거(19)는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부(19)(19b)로 구성되며, 일측 핑거부(19)에는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가 핑거되고, 타측 핑거부(19b)에는 건네일(15)의 침상부(15b)가 핑거된다.
한편, 핑거 구동부(21)는 에어핑거(50)가 축설치되는 승강판(54)과, 상기 승강판(54)을 승강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이동판(68)과, 상기 이동판(68)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고정판(69)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69)은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에어핑거(50)가 상하로의 승강운동과 좌우로의 이동운동을 할 수 있게된다.
핑거 구동부(21)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자.
도 23, 도 24와 같이 에어핑거(50)가 축 설치되는 승강판(54)의 돌출부 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70)(71)가 수직으로 평행 설치되고, 슬라이드(70)(71) 사이에는 양측 로드형 에어실린더(48)가 슬라이드(70)(71)와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70)(71)의 안내공에는 안내봉(72)(73)이 미끄럼 결합되며, 안내봉(72)(73)의 끝단부는 이동판(68)의 전면 상하부에 브라켓(74)(75)으로 각각 고정되고, 에어실린더(48)의 양측 로드(76)(77)의 끝단부도 이동판(68)의 전면 상하부에 브라켓(78)으로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부(31)에 의해 에어실린더(48)가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하면 에어실린더(48)가 로드(76)(77)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되고, 슬라이드(70)(71)는 평행 안내봉(72)(73)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판(54)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축 설치된 에어핑거(50)와 에어핑거(50)에 설치되는 핑거부(19a)(19b)가 최종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하게 된다.
이동판(68)의 하부 이면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79)(80)가 수평으로 평행 설치되고, 슬라이드(79)(80) 사이에는 블럭(81)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79)(80)의 안내공에는 각각의 안내봉(82)(83)이 미끄럼 결합되며, 안내봉(82)(83)의 끝단부는 고정판(69)의 전면 좌우측에 브라켓(84)(85)으로 각각 고정되고, 통공(86)을 지나 고정판(69)의 후부로 돌출되는 블럭(81)에는 에어실린더(49)의 로드(87) 단부가 고정되고, 에어실린더(49)의 후부는 고정판(69)에 축설치된다.
그리고, 블럭(81)의 측면에는 나사봉(88)의 일측이 고정되고, 고정판(69)의 전면 일측에 고정되는 안내블럭(89)에는 상기 나사봉(88)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헐겁게 결합되고, 나사봉(88)의 양측에는 조절너트(90)(91)가 나사 결합되고, 일측 조절너트(91)와 안내블럭(89) 사이에는 완충판(92)(93)이 결합되며, 상기 조절너트(90)(91)를 이용하여 이동판(68)의 이동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제어부(31)에 의해 에어실린더(48)가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하면 에어실린더(48)가 로드(76)(77)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고, 슬라이드(70)(71)는 평행 안내봉(72)(73)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판(54)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축 설치된 에어핑거(50)와 에어핑거(50)에 설치되는 핑거부(19a)(19b)가 최종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이동판(68)의 상부, 이를테면 이동판(68)의 상부 브라켓(75)에 설치되는 근접센서(94)는 슬라이드(71)의 접근을 감지하여 승강판(54)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게된다.
도 25는 본 고안 일 실시 예로 도시한 제어부(31) 회로도로, 마이크로 컴퓨터(MICOM)나 중앙처리장치(CPU)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31)의 입력에 정열디스크(18)(18a)의 회전을 감지하는 근접스위치(32)와, 승강판(54)의 승강정도를 감지는 근접센서(94)와,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의 동작상태와 동작정도를 조작하고 설정할 수 있게 각종 스위치 및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설정부가 접속된다.
그리고, 제어부(31)의 출력에 정열디스크(18)(18a)를 간헐 회전시키는 서보모터(23) 및 그 모터 드라이버와, 배출콘베어(20)를 간헐회전시키는 감속모터(66) 및 그 모터 드라이버와, 공기압 공급원에 연결된 에어핑거(50) 및 에어실린더(41)(48)(49)(53)의 동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어 프로그램과 그 데이터 등이 저장된 메모리부와,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의 동작상태와 설정상태 등이 수치와 문자 및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는 표시부와, 본 고안 건네일 적층장치(22)가 동작중에 발생되는 각종 에러를 경보음과 경보광으로 발생하는 경보부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정열디스크(18)(18a)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15)을 배출콘베어(20)위에 적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와 같이 핑거부(19a)(19b)가 상하로 직립된 상태에서 에어실린더(41)에 의해 동작하는 푸쉬(35)에 의해 출입홈(26)에 안착되어 있던 건네일이 핑거부(19a)(19b) 사이로 투입되면, 제어부(31)에 의해 에어실린더(53)의 로드가 몰입되고, 에어실린더(53) 로드의 몰입에 의해 스퍼어기어(5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이에 치합된 스퍼어기어(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직립 상태의 핑거부(19a)(19b)가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고,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는 도 16과 같이 우측으로 향하면서 배출콘베어(20)와는 평행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이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48)의 하강동작에 의해 승강판(54)이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핑거부(19a)(19b)가 배출콘베어(20)의 상부까지 근접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도 22와 같이 에어핑거(50)의 로드(50a)(50b)가 벌어지고, 핑거부(19a)(19b) 또한 벌어지면서 건네일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18과 같이 못머리부(15a)가 우측으로 향하는 건네일(15)이 자중에 의해 배출콘베어(20)위로 낙하하여 첫번째 건네일층이 적층된다.
상기에서 승강판(54)의 하강은 에어핑거(50)의 우회전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에어핑거(50)가 완전히 우회전 한 다음이거나 우회전을 종료하고 있는 시점에 에어실린더(53)의 작동으로 승강판(54)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핑거부(19a)(19b)의 하강은 건네일의 적층에 방해를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핑거부(19a)(19b)의 하강위치는 적층된 상태의 건네일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핑거부(19a)(19b)의 회전에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8)의 승강스트로크는 슬라이드(71)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94)의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1층 적층이 완료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핑거부(19a)(19b)가 도 15와 같이 직립하게 되며, 앞서 기술한 것처럼 에어실린더(41)에 의해 동작하는 푸쉬(35)에 의해 출입홈(26)에 안착되어 있던 건네일이 핑거부(19a)(19b) 사이로 재차 투입되면, 제어부(31)에 의해 에어실린더(53)의 로드가 돌출되고, 스퍼어기어(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이에 치합된 스퍼어기어(51)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직립 상태의 핑거부(19a)(19b)가 반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고,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는 도 17과 같이 좌측으로 향하면서 배출콘베어(20)와는 평행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이와 연동하여 에어실린더(48)의 하강동작에 의해 승강판(54)이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핑거부(19a)(19b)가 배출콘베어(20)의 상부까지 근접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도 22와 같이 에어핑거(50)의 로드(50a)(50b)가 벌어지고, 핑거부(19a)(19b) 또한 벌어지면서 건네일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18과 같이 못머리부(15a)가 우측으로 향하는 건네일(15)이 자중에 의해 배출콘베어(20)위로 낙하하여 두번째 건네일층이 적층된다.
상기에서 두번째 건네일을 바로 낙하시키면 못머리부(15a)와 침상부(15b)가 서로 접하고 밴드부(1c) 끼리 이격되면서 적층높이가 불필요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두번째층의 건네일을 낙하시키기 전에 에어실린더(49)가 동작하여 로드(87)가 조금 돌출되고, 이동판(68)이 좌측으로 조금 이동한 상태에서 핑거부(19a)(19b)가 벌어지면서 클램핑이 해제되게 함으로서 도 18과 같이 못머리부(15a)가 좌측으로 향하는 두번째 층의 건네일은 좌측으로 조금 이동된 상태에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건네일(15)의 못머리부(15a)와 침상부(15b)가 서로 접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밴드부(1c) 끼리 접하면서 적층높이가 불필요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물론, 에어핑거(50)의 축봉(50a)을 일측으로 약간 치중되게 설치하여 에어실린더(49)의 동작없이 건네일이 180°로 기울어지면서 교대로 적층되게 할 수 있으나, 건네일(15)의 못길이가 달라지는 경우 에어실린더(49)에 의한 도움으로 도 18과 같이 못머리부(15a)가 어긋지게 적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번째 건네일을 적층하기 위하여 핑거부(19a)(19b)가 상승할 때, 에어실린더(49)가 동작하여 로드(87)가 조금 몰입되고, 이동판(68)이 우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벌어졌던 핑거부(19a)(19b)가 오무려지면서 상승하여 도 15와 같이 직립상태로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도 18과 같이 복수 층의 건네일이 적층되면, 제어신호에 의해 감속모터(66)가 소정시간 회전한 다음 정지하게되고, 배출콘베어(20)는 도 19와 같이 포장위치로 한구간 이동하고 정지하게되며, 역시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연속적인 건네일의 자동 적층이 달성된다.
그리고, 건네일의 못 길이나 건네일의 적층폭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판(68)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면되며, 이때 나사봉(88)의 양측에 체결된조절너트(90)(91)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조정하면 이동판(68)의 스트로크가 설정되며, 안내블럭(89)과 조절너트(90)(91)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판(92)(93)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네일 제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의 못머리가 좌우측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자동 적층되므로 자동화에 따라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고 포장이 한결 쉬워지며,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어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네일을 클램핑하는 핑거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상.하 및 좌.우로의 이동이 달성되며, 에어핑거에 의해서는 핑거의 벌어짐과 오무림이 달성되며, 또한 기어와 에어실린더에 의해 에어핑거가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건네일을 배출컨베어 상에 낙하시켜 건네일의 못머리부가 좌우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적층되므로, 적층 높이가 낮으면서 양호한 적층 상태가 유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건네일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 건네일 제조기의 이송콘베어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을 출입홈으로 전달받아 정열시키는 정열디스크와, 건네일의 배출속도에 맞춰 정열디스크를 간헐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그 제어수단과, 정열된 건네일을 정열디스크 외부로 밀어내는 푸쉬와, 상기 푸쉬에 의해 정열디스크로부터 배출되는 건네일의 못머리부와 침상부를 각각 클램핑하는 한 쌍의 핑거부와, 건네일을 클램핑할 때에는 핑거의 핑거부를 오무리고 클램핑된 건네일을 배출콘베어로 낙하시킬 때에는 핑거의 핑거부를 벌여주는 에어핑거와, 에어핑거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건네일의 못머리부가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 적층되게 하는 에어핑거 회전수단과, 건네일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에어핑거를 하강시키고 건네일이 배출콘베어로 낙하되면 에어핑거를 상승시키고 클램핑된 건네일을 배출콘베어로 낙하시킬 때 에어핑거를 좌측 및 우측으로 조금씩 이동시키는 핑거 구동부와, 정열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회전 감지수단과, 제어부로 구성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정열디스크(18)의 가장자리 부분에 축공(25)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건네일 출입홈(26) 및 출입홈(26)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격리부(27)를 교대로 빙둘러 형성하고, 정열디스크(20)의 축봉(24)에 동력전달수단(11)과 제어부(31)의 제어를 받는 서보모터(23)를 연결하여 건네일(15)의 배출속도에 따라정열디스크(20)가 간헐 회전하도록 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정열디스크(18)에 형성되는 출입홈(26) 틈간격(L3)은 건네일(15)의 외경(L1)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고, 출입홈(26)의 선단부 양측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대향 경사면(26a)(26b)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정열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8)은 축봉(24)에 고정되는 원판(29)과, 원판(29)의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30)과, 상기 슬릿(30)을 감지하여 제어부(31)로 입력하는 근접스위치(32)로 구성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정열디스크(18)의 출입홈(26)은 2개 내지 5개 단위로 평행하게 형성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정열디스크는 축공(25)과 복수 개의 출입홈(26)과 복수 개의 격리부(27)와 대향 경사면(26a)(26b)이 각각 형성된 얇은 두께의 정열디스크(18)(18a)를 상하로 결합시켜 출입홈(26)의 상하 거리가 상기 유격거리(L2 ×2) 이상으로 유지되게 하고, 가장자리 부분은 스페이스(36)를 이용하여 상하 격리부(27)가 벌어지게 구성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배출부(A)와 유입구(B)를 제외한 정열디스크(18)의 바깥 부분에 수직 보호판(60)을 빙둘러 설치하고, 상기 보호판(60)은 지지판(34)에 고장되는 수직부재(62)에 고정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푸쉬(35)는 지지판(34)에 축 설치된 회동부재(38)의 일단에 에어실린더(41) 로드(41a)를 축설치하고, 에어실린더(41)의 후부는 지지판(34)에 고정되는 브라켓(42)에 축설치하고, 회동부재(38)의 상부에 건네일(15)을 밀어주는 접촉부(40)를 설치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푸쉬(35)의 접촉부(40)는 건네일(15)의 크기나 경사각도에 따라 회전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고, 푸쉬(35)의 수직판(43)의 상부 양측에 완충부재와 조절구(46)(47)를 갖는 스토퍼(44)(45)를 설치하여 회동부재(38)의 회동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부(19a)(19b)는 0°, +90°, 0°, -90°, 0°순서로 회전하면서 건네일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19)는, 건네일 배출부(A)와 대향하는 승강판(54)의 일측면에 축설치되는 에어핑거(50)의 축봉(50a)에 스퍼어기어(51)를 끼워 고정하고, 에어핑거(50)의 양측 로드(50a)(50b)에 벌어짐과 오무려짐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55)(56)를 고정하고, 연결부재(55)(56)의 단부에 핑거부(19a)(19b)를 각각 설치하고, 승강판(54)에 스퍼어기어(51)와 치합되는 스퍼어기어(52)와 상기 스퍼어기어(51)를 정역회전시키는 에어실린더(53)를 설치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부(19a)(19b)는 수납실(19c)(19d) 양측 길이방향으로 측벽(19e)(19f)이 형성되고, 핑거부(19a)(19b)의 입구 부분에 경사면(19g)을 형성하고, 핑거부(19a)(19b)의 길이방향 중앙에 격리판(19h)(19k)을 설치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 일측 핑거부(19a)와 연결부재(55)는 핑거부(19a)의 직각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암수 슬라이드(57)(58)로 피스(59)로 체결하여 슬라이드(67)(58)의 체결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이동판(68)의 상부 브라켓(75)에 근접센서(94)를 설치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 구동부(21)는, 에어핑거(50)가 축 설치되는 승강판(54) 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70)(71)와 양측 로드형 에어실린더(48)를 수직으로 평행 설치하고, 슬라이드(70)(71)에 미끄럼 결합된 안내봉(72)(73)의 끝단부와 에어실린더(48)의 양측 로드(76)(77)의 끝단부는 이동판(68) 상하부에 브라켓(74)(75)(78)으로 각각 고정하고, 이동판(68)의 하부 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79)(80)를 수평으로 평행 설치하고, 슬라이드(79)(80)에 미끄럼 결합된 안내봉(82)(83)의 끝단부는 고정판(69)의 전면 좌우측에 브라켓(84)(85)으로 각각 고정하고, 통공(86)을 지나 고정판(69)의 후부로 돌출되는 블럭(81)에는 에어실린더(49)의 로드(87) 단부를 고정하고, 에어실린더(49)의 후부는 고정판(69)에 축설치하고, 블럭(81)의 측면에는 나사봉(88)의 일측을 고정하고, 고정판(69)에 고정되는 안내블럭(89)에는 상기 나사봉(88)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하고, 나사봉(88)의 양측에는 조절너트(90)(91)를 나사 결합하고, 일측 조절너트(91)와 안내블럭(89) 사이에는 완충판(92)(93)을 결합하여서 된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KR20-2003-0007059U 2003-03-10 2003-03-10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KR200314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59U KR200314729Y1 (ko) 2003-03-10 2003-03-10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59U KR200314729Y1 (ko) 2003-03-10 2003-03-10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729Y1 true KR200314729Y1 (ko) 2003-05-27

Family

ID=4940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059U KR200314729Y1 (ko) 2003-03-10 2003-03-10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7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888A (ko) 2017-02-22 2018-08-30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건네일 포장용 버퍼 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888A (ko) 2017-02-22 2018-08-30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건네일 포장용 버퍼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9643A (en) Apparatus for stacking pasted battery plates
US4500243A (en) Blank stacking apparatus
CN103895073B (zh) 一种拼板机
US6409462B2 (en) Method for aligning stacked documents moving along a conveyor
US52827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aligning and compressing signatures
US4049260A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US20090060694A1 (en) Decorative door frame attaching apparatus
US20090290961A1 (en) Product packaging system and method
WO2015079341A1 (en) Apparatus to apply glue to paper blanks designed for covering paper or cardboard boxes
KR200314729Y1 (ko) 건네일 자동 적층장치
US3420387A (en) Blank handling apparatus
JPH07315574A (ja) ピッキング装置
JP3302572B2 (ja) 半自動製函装置及び同装置用折畳み作業台
CN109237909A (zh) 烘烤装置和纱线绕线盘全自动生产设备
TW201925072A (zh) 自動排片機
JP6550597B2 (ja) 丁合装置
CN211309111U (zh) 一种适应多种规格大板打包生产线
TWI549890B (zh) 成列產品之堆疊裝置
US5695596A (en) Apparatus for laying up veneer panels
CN211309110U (zh) 一种适应多种规格大板打包生产线用上包角包边机构
CN212889167U (zh) 自动钉盒机
JPH01252421A (ja) ワーク段積装置
JP6212808B2 (ja) 丁合装置
CN217695058U (zh) 一种粘鼠板自动生产线
CN215098575U (zh) 一种便于产品包装叠放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