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044Y1 -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044Y1
KR200314044Y1 KR20-2003-0006063U KR20030006063U KR200314044Y1 KR 200314044 Y1 KR200314044 Y1 KR 200314044Y1 KR 20030006063 U KR20030006063 U KR 20030006063U KR 200314044 Y1 KR200314044 Y1 KR 200314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conditioner
refrigerant
capill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06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0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 일측의 유입관 및 유출관에 결합하는 리드파이프의 개선을 통해 제품의 원가절감과, 본체 내부의 설치공간 증대와 모세관 방향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 일측의 유입관 및 유출관에 결합하는 리드파이프의 개선을 통해 제품의 원가절감과, 본체 내부의 설치공간 증대와 모세관 방향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증발기와 모세관을 연결하는 리드파이프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다른 부품과 결합시 부품의 결합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Apparatus for connecting capillary tube of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 일측의 유입관 및 유출관에 결합하는 리드파이프의 개선을 통해 제품의 원가절감과, 본체 내부의 설치공간 증대와 모세관 방향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에어컨 증발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는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저압으로 변화시킨 다음 증발기에서 실내공기와의 열교환으로 기화시킴으로써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모세관 연결장치를 에어컨 증발기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증발기(10)에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U자형 냉매관(14)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하고, 상기 냉매관(14)의 외주에 냉매의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판(12)들이 직교하도록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냉매관(14) 일측에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의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16a)의 단부에 'L'자 형상의 리드파이프(18a)와 상기 냉매관(14) 일측에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의 냉매를 유출시키는 유출관(16b)의 단부에 'L'자 형상의 리드파이프(18b)가 형성된다.
응축기(미도시)에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되어 응축된 냉매가 모세관(20a)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팽창된 냉매가 증발기(10)에서 순환되며 실내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발기의 일측에 연장된 유입관(16a) 및 유출관(16b)과 체결되는 리드파이프(18a, 18b)는 모세관의 연결방향을 일정방향으로 편중되게 설치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활용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증발기와 모세관을 연결하는 리드파이프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증대하고, 다른 부품과 결합시 결합의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모세관 연결장치를 에어컨 증발기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증발기 110 : 방열판
110a, 110b : 헤더 120 : U자형 냉매관
130a : 유입관 130b : 유출관
200a, 200b : 리드 파이프 210 : 모세관 연결구
220 : 증발기 유입관 연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U자형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하고, 냉매관의 외주에 냉매의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판 들이 직교하도록 결합된 에어컨 증발기에 모세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의 일측은 증발기에 연결하는 증발기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모세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테이퍼 형상의 모세관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증발기(100)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U자형 냉매관(1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하고,냉매관(120)의 외주에 냉매의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판(110)들이 직교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며, 그 양단부에 두 개의 헤더(110a, 110b)가 대향되게 결합되어 냉매관(120)을 고정한다.
또한, 냉매관(120)에 냉매를 유입하는 유입관(130a)과, 냉매관(120)으로 유입된 냉매가스를 유출하는 유출관(130b)이 헤더(110a, 110b)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유입관(130a)은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켜 감압시키는 모세관(미도시)이 증발기(100)로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 파이프(20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리드 파이프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리드 파이프(200)는 모세관(미도시)과 결합하는 모세관 연결구(210)가 일측에 형성되고, 증발기(100)의 유입관(130a)과 결합하는 유입관 연결구(220)가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모세관 연결구(210)는 테이퍼 형상으로 내경은 모세관의 외경과 동일하여 모세관이 연결구(210)로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증발기 유입관 연결구(220)는 내경이 유입관(130a)의 외경과 동일하여 유입관(130a)이 연결구(220)로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증발기와 모세관을 연결하는 리드파이프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다른 부품과 결합시 부품의 결합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U자형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하고, 냉매관의 외주에 냉매의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판 들이 직교하도록 결합된 에어컨 증발기에 모세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의 일측은 증발기에 연결하는 증발기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측은 모세관과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테이퍼 형상의 모세관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KR20-2003-0006063U 2003-02-28 2003-02-28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KR200314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63U KR200314044Y1 (ko) 2003-02-28 2003-02-28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63U KR200314044Y1 (ko) 2003-02-28 2003-02-28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044Y1 true KR200314044Y1 (ko) 2003-05-22

Family

ID=494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63U KR200314044Y1 (ko) 2003-02-28 2003-02-28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0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86A (ko) 2019-10-07 2021-04-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증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86A (ko) 2019-10-07 2021-04-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을 이용한 증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US20090084129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49721B1 (ko) 열교환용 이중관
WO2007013439A1 (ja) 熱交換器
WO2017164463A1 (ko)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KR20040082571A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JP2009041798A (ja) 熱交換器
KR200314044Y1 (ko) 에어컨 증발기의 모세관 연결장치
CN114198946A (zh) 蛇形管微通道换热器、空调器
KR20000031340A (ko) 실내측 열교환기
KR100882525B1 (ko) 다관 열교환부형 급탕 열교환기를 구비한 고압 냉매시스템
KR101186564B1 (ko) 코일형 열교환기
KR100574869B1 (ko) 액-기체 열 교환기
KR100327551B1 (ko) 이중 증발기 구조를 가진 차량용 에어컨 장치
KR200168000Y1 (ko) 룸 에어컨용 증발기
CN216644629U (zh) 一种回热器以及制冷设备
KR200314025Y1 (ko) 핀튜브형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및 냉동기
KR20110014353A (ko) 에어컨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060098910A (ko)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기
CN217057733U (zh) 空调
KR200169554Y1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WO202221519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333398B1 (ko) 열교환기용 동관과 배관 연결 장치
KR100216473B1 (ko) 에어컨용 열교환기
KR200158737Y1 (ko) 응축기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