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41Y1 -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 Google Patents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41Y1
KR200312941Y1 KR20-2003-0001769U KR20030001769U KR200312941Y1 KR 200312941 Y1 KR200312941 Y1 KR 200312941Y1 KR 20030001769 U KR20030001769 U KR 20030001769U KR 200312941 Y1 KR200312941 Y1 KR 200312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elasticity
polyurethane film
wound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추동권
Original Assignee
추동권
최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동권, 최석원 filed Critical 추동권
Priority to KR20-2003-000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피부 등에 부착하기에 적절하도록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Activated carbons)을 함유한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과 미세한 통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탄력부재로 한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부위에 작은 상처나 종양 등 수술 후 봉합된 상처부위에 부착을 해도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행동이 자유로워지도록 하고 물에 젖어도 폴리우레탄 필름이 피막을 이루기 때문에 상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분이 새어 들어오지 않으며 샤워를 해도 상처에 손상을 주지 않고 투습 투과 등으로 피부기능 유지에 필요한 가스교환과 땀의 방출이 용이한 탄력부재로 형성되는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한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회용 경고제를 형성함에 있어,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탄력부재의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점착제층에 통기성을 갖는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방향과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무자극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탄력부재로 하였기 때문에 행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상처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분을 차단하므로서 샤워나 목욕을 해도 잘 떨어지지 않는 의료용 점착제를 사용하고 점착제층에는 장기간 부착을 하므로서 발생하는 알러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크릴에스테르계 중합물의 점착제를 사용하고 상기 점착제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활성탄의 미세한 통기성으로 인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게 되고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피막을 막아 주기 때문에 물에 젖어도 떨어지지 않게 되며 상처부분의 수분 흡수를 막아주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Elastic adhesive plaster for only once}
본 고안은 인체의 피부 등에 부착하기에 적절하도록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Activated carbons)을 함유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통기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탄력부재로 한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부위에 작은 상처나 종양 등 수술 후 봉합된 상처부위에 부착을 해도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환자의 행동이 자유로워지도록 하고 물에 젖어도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피막을 이루기 때문에 상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분이 새어 들어오지 않게 되며 샤워를 해도 상처에 손상을 주지 않고 투습 투과 등으로 피부기능 유지에 필요한 가스교환과 땀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탄력부재로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경고제로서는, 작은 상처 등의 외과 처치 등의 용도로서 신축성이 없거나 신축성이 있어도 한 방향으로만 신축이 가능하고 물에 젖으면 즉시 이탈이 되며 상처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각종 플라스틱, 면, 부직포, 스판텍스 등을 부재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유연성과 신축성이 자유롭지 못한 관계로 관절부위 등에는 부착을 하여도 쉽게 이탈이 되므로 인하여 새로운 경고제를 자주 갈아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한 물만 닿아도 수분이 흡수되어 점착제층이 점착성을 상실하여 인체부위에서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외과 수술 후에도 수술부위에 경고제를 별개의 붕대나 거즈를 사용하여 고정을 하였으므로 상처 부위의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상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의료용 점착제를 사용하고 통기성을 사용해도 점착제에서 오는 피부에 대한 알러지 현상은 막을 수가 없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활성탄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아크릴에스테르계의 의료용 점착제의 액상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하여 열건조 경화시키면 아주 유연한 겔현상의 활성탄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겔현상의 활성탄을 요구하는 두께와 규격으로 만들어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성을 갖는 탄력부재의 일회용 반창고 위에 합하여 작은 종양의 독소제거, 작은상처, 피부알러지 등에 사용하기 간편한 인장력 및 유지력이 뛰어난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사용되어 오고 있는 일회용 경고제의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부알러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미세한 통기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탄력부재로 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이탈과 손상을 막고 작업의 원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별개의 박리지에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0.02∼0.1mm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상면으로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아크릴에스테르계 중합물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회용 반창고 200 :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
300 : 활성탄을 함유한 점착제층 300a : 통기로
400, 600 : 박리지 500 : 겔상의 활성탄을 함침한 거즈 또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중합하여 얻어진 액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열풍건조로 경화 된 후 필름의 현상이 유기질과 결합하지 않는 활성탄(Activated carbons)을 250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얻어진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 0.1%∼50%를 혼합한 혼합액을 박리지(400) 상면에 요구하는 두께로 코팅하고 열 건조하여 경화시키면 별도 염료를 쓰지 않아도 검은 흑색을 갖는 방향에 관계 없이 신장율이 100% 이상의 신축성과 통기성을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이 형성된다.
또한 통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이 속해 있는 부분의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에 피막현상(被膜現狀)을 방해하여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 부피와 함유량에 따라서 미세한 유공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혼합할 때 입자의 크기와 함량에 따라서 유공의 크기가 발생하지만 인장강도와 신축성이 크게 저하된다.
그러므로 미세한 분말로 이루어지는 활성탄의 함유량은 용도에 따라서 각각 다르지만 미세한 유공과 신축성을 원활히 하고자 할 때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 함량이 1%∼5%가 적절하다.
다만 활성탄의 미세한 분말을 5% 이상 15% 정도 함유하면 신축성은 저하되나 인장강도는 증가한다.
그리고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15% 이상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신축성은 물론 인장강도는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미세한 통기성을 갖는 방향에 관계 없이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탄력부재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다르지만 경고제 등의 용도에는 두께가 0.02∼0.03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종류는 참나무, 모목견, 침엽수, 야자유열매 껍질, 소나무(적송)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소나무(적송)의 활성탄이 가볍고 부드러워 피부의 외용제로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활성탄은 피부 외용제의 작은 상처나 창상 등의 독소제거나 상하 등을 아물게 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흡수력이 뛰어나고 통기성은 물론 피부알러지 등을 방지하여 주며 냄새제거, 습기제거, 음이온발생방지, 유해전자파차단, 염증방지 등의 효능을 발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미세한 통기성을 갖는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상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에스테르계 점착제에 250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얻어진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Activated carbons)을 혼합한 점착제를 상기 접착제층(200)의 상면에 요구하는 두께로 코팅하여 통기로(300a)를 형성하고 건조하면 점착제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층(300)의 상면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 에스테르계 점착제에 250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얻어진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Activated carbons)을 혼합한 혼합액을 겔상으로 함침한 살균된 거즈(500) 또는 부직포를 중간부분에 붙여 상기 거즈(500) 또는 부직포와 점착제층(300)을 보호하기 상기 거즈(500) 또는 부직포와 점착제층(300)을 보호하기 위하여 박리지(600)를 합지하여 통기성 및 방향에 관계 없이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1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리지(400)에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합지하여 탄력부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형성할 때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박리지(400)에 밀착하지 않으면 이탈되거나 이탈될 때 신축성이 많으므로 박리지(400)에 부착한 채로 사용토록 한다.
그리고 점착제층(300)에서 분리되는 박리지(600)와 신축성을 갖는 탄력부재를 이루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에 합지되는 박리지(400)는 각각 차등을 두고 합지한다.
왜냐하면 상기 일회용 경고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점착제층(300)에서 박리지(600)를 분리할 때 동시에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이 분리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점착제층(300)의 박리지(300)를 분리하고 피부에 붙인 다음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박리지(400)를 떼어 내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제층(300)에 거즈(500) 또는 부직포 등 유사한 물질을 중간부분에 합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회용 경고제(100)를 사용하기 전 박리지(600)를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점착제층(300)에 박리지(600)를 2등분 내지 3등분 이상으로 절단하여 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크릴에스테르계의 의료용점착제에 활성탄의 미세한 분말을 1%∼50% 이상을 용도에 따라 혼합하여 열건조하고 경화하면 아주 유연한 겔현상의 활성탄이 만들어진다. 이 겔현상의 활성탄은 가정요법의 올리브유, 그리세린, 유칼립투스 등으로 혼합한 것 보다 인장력과 유연성 및 유지력이 뛰어나 규격별로 절단하여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상면에 합지된 점착제(300)의 상면에 합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은 아크릴에스테르계의 의료용 점착제에 혼합하여요구하는 용도에 따라 각종 경고제용 면포, PVC, 부직포, 신축성을 갖는 스판, 원단 등에 합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점착제를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상면에 코팅할 때 코팅한 직후 0.3mm∼0.1mm 정도의 둥근 철심 등으로 고정하여 긁거나 핀을 좌우로 움직여 물결모양의 통기로(300a)를 형성하여 건조시키면 점착제층(300)을 이루면서 합지되어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에 통기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핀을 좌우로 움직여 물결모양의 통기로(300a)를 형성하면 둥근 철심 등으로 고정하여 직선상으로 통기로를 형성한 것 보다 점착제층(300)의 점착력을 보다 증대할 수 있는 기능상의 효과를 갖게 되는데, 이는 상기의 일회용 경고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점착제층(300)에서 박리지(600)를 분리하기 위해서 힘을 가할 때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에 합지된 박리지(400)가 동시에 분리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즉 일회용 경고제(100)를 사용하기 전 점착제층(300)의 박리지(600)를 먼저 분리시킨 다음 거즈(500) 또는 부직포가 붙은 점착체층(300)을 피부에 부착시키고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저면에 붙은 박리지(400)를 이탈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점착제층(300)에 붙은 박리지(600)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에 붙은 박리지(400) 보다 쉽게 잘 떨어져야 한다.
상기 점착제층(300)에 거즈(500) 또는 부직포 등을 붙이지 않고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100)를 만들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점착제층(300)의 중간부분에 거즈(500) 또는 부직포 등을 붙이지 않은 일회용 경고제(100)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하기 전 먼저 상처부위에 거즈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붙인 다음 점착제층(300)에서 박리지(600)를 분리시키고 점착제층(300)을 피부에 부착시킨 후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저면에 붙은 박리지(400)를 이탈시키면 된다.
또한 방향에 관계 없이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100)를 이루는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두께는 지극히 얇을 수 있고 신축성이 많은 관계로 박리지(400)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직접 도포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 포장자재나 완충재 또는 긁힘방지 등의 용도로는 폴리에틸렌필름, PVC필름, 종이류, 폴리스틸렌 발포제 등의 사용으로 밀폐되거나 두꺼운 발포제 등을 사용하여 습기나 냄새제거문제, 통기성부족, 유해전자파차단부족, 부식방지문제나 잘 부서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 탄력부재를 이루는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은 통기성이나 습기조절, 냄새제거 유해전자파차단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포장재나, 전자제품 등과 같은 제품을 적재할 때 물품사이의 마찰이나 긁힘방지 또는 완충재 등으로 사용할 때 활성탄은 흡수력이 뛰어나고 통기성 유발은 물론 냄새제거, 습기조절, 유해전자파차단, 부식방지 등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다양하고 유익한 포장자재나 또는 제품의 표면 마찰가스방지는 물론 완충재의 필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15%이상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은 전자제품 등과 같은 물품을 적재할 때 물품의 사이 사이에서 마찰시 발생하는 표면가스방지와 완충용으로 사용할 때 요구에 따라서 다르지만 0.02∼0.3mm 정도가 적절하며 활성탄은 흡수력이 뛰어나고 통기성 유발은 물론 냄새제거, 습기조절, 유해전자파차단 및 부식방지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전자제품 등의 포장자재로서도 아주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야자수열매 껍질의 활성탄은 흡착력과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여 각종 포장자재 등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유익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인체부위에 작은 상처나 종양 등 수술 후 봉합된 상처부위에 부착을 해도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갖게 되어 행동이 자유로워지고 물에 젖어도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피막을 이루기 때문에 상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분이 새어 들어오지 않게 되며 샤워를 해도 상처에 손상을 주지 않고 투습 투과 등으로 피부기능 유지에 필요한 가스교환과 땀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탄력부재로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피부에 대한 알러지 등의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박리지(400)의 상면에 공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하여 방향에 관계 없이 신축성을 갖는 통기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합지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의 상면에는 아크릴 에스테르계 중합물의 점착제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혼합액을 도포하여 점착제층(300)을 형성하며 상기 점착제층(300)의 상면 중간부분에는 아크릴 에스테르계 중합물의 점착제에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혼합한 혼합액을 겔상으로 함침한 거즈(500)를 붙이고 그 위에 박리지(600)를 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반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필름층(200)과 점착제층(300) 및 거즈(500)에 250 메쉬 이상의 미세한 분말의 활성탄을 1%∼5%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필름층(200)을 0.02∼0.1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KR20-2003-0001769U 2003-01-20 2003-01-20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KR200312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69U KR200312941Y1 (ko) 2003-01-20 2003-01-20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69U KR200312941Y1 (ko) 2003-01-20 2003-01-20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654A Division KR20040066711A (ko) 2003-01-28 2003-01-28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41Y1 true KR200312941Y1 (ko) 2003-05-14

Family

ID=4940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769U KR200312941Y1 (ko) 2003-01-20 2003-01-20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946A (en) Wound dressing
RU2711863C2 (ru) Система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й раневой повязки
US10940050B2 (en) Wound dressing assembly
BRPI1003642A2 (pt) bandagem adesiva acolchoada
KR200312941Y1 (ko)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CA1333871C (en) Wound dressing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0644377B1 (ko) 신축성을 가지는 지지필름
KR20040066711A (ko)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경고제
CN208319412U (zh) 自粘型外科手术伤口敷料
CN208525230U (zh) 一种高吸液能力创可贴
CN217138443U (zh) 一种肘、膝部外用的弹性医用胶布
CN209827233U (zh) 一种止血带护臂巾
KR200239674Y1 (ko) 신축성을 갖는 일회용 반창고
JPH0278614A (ja) 医療用貼付剤
KR20230135240A (ko) 응급구조용 지혈밴드
TWM419555U (en) Wound dressing
ES2575784T3 (es) Apósito para heridas mejo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