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36Y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36Y1
KR200312136Y1 KR20-2003-0001853U KR20030001853U KR200312136Y1 KR 200312136 Y1 KR200312136 Y1 KR 200312136Y1 KR 20030001853 U KR20030001853 U KR 20030001853U KR 200312136 Y1 KR200312136 Y1 KR 200312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shaft
main body
insertion groov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승
Original Assignee
신의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승 filed Critical 신의승
Priority to KR20-2003-0001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36Y1/ko
Priority to AU2003222501A priority patent/AU2003222501A1/en
Priority to PCT/KR2003/000845 priority patent/WO20040649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 전에 실시하는 스트레칭이나 운동후 마무리 운동을 하거나, 좁은 공간에서 운동을 하기 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한 손 또는 두 손을 사용하여 가볍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본체고정부재로 고정되며, 내부 중앙에는 지지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축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베어링이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면서 고정되며, 중앙에는 본체의 지지축삽입홈에 고정되는 지지지축이 관통되는 지지축관통홈이 형성되는 금속판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축의 베어링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회전하는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베어링과 고정되는 반대쪽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본체에 고정되는 금속판과 반응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회전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An exercising device}
본 고안은 운동 전에 실시하는 스트레칭이나 운동후 마무리 운동을 하거나, 좁은 공간에서 간단한 운동을 하기 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한 손 또는 두 손을 사용하여 가볍게 흔들거나, 어깨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키면서 리듬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이어트나 건강을 위하여 많은 사람이 몸의 근육을 최대한 다 쓰면서 심장박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운동을 유산소 운동을 많이 하고 있다.
유산소 운동은 지방을 에너지로 이용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심폐기능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체력이 약한 사람이나 비만인 사람에게 좋은 운동으로 근력운동을 통해서 몸의 체지방량을 높여 기초대사량이 늘어나면서 다이어트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다.
상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좁은 공간에서 가벼운 운동을 할 때는 특별한 기구 없이 맨손체조를 하거나 앉은 자세에서 팔과 목 및 허리 등을 돌리면서 가벼운 몸풀기 정도를 했으며, 운동 전이나 후에는 몸을 충분히 풀어주기 위하여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마무리 운동으로 몸을 이완시켜 운동전.후에 몸이 경직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맨손으로 하는 체조는 지루하기 때문에 체조를 하는 도중에 중지하여 충분히 몸을 풀지 못했으며, 또한 운동전.후에 하는 스트레칭이나 마무리 운동은 별도의 운동방법이 없어 운동하는 사람이 스스로 몸을 움직이면서 관절과 경직된 몸을 풀어주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몸을 이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61688호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회전추를 회전시키면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회전추를 이용한 휴대가 간편한 원판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부속품이 많아내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 공정이 많아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작업공정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소형으로 제작하면서 외관이 미려하며, 내부에 형성되는 자성체에 의해서 운동효과를 배가시키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본체고정부재로 고정되며, 내부 중앙에는 지지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축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베어링이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면서 고정되며, 중앙에는 본체의 지지축삽입홈에 고정되는 지지지축이 관통되는 지지축관통홈이 형성되는 금속판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축의 베어링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회전하는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베어링과 고정되는 반대쪽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본체에 고정되는 금속판과 반응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회전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전추가 금속판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운동기구 110 : 본체
110a : 상부본체 110b : 하부본체
111 : 손잡이 112 : 지지축삽입홈
113 : 고정구 120 : 본체고정부재
130 : 지지축 140 : 금속판
141 : 지지축관통홈 142 : 고정홈
143 : 돌출편 150 : 연장대
151 : 베어링삽입홈 152 : 자성체이탈방지구
160 : 연장대고정부재 170 : 회전추
171 : 자성체삽입홈 180 : 자성체
B : 베어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00)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110)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본체고정부재(120)로 고정된다.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본체고정부재(120)로 고정되는 상기 운동기구(100)의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일측에는 손으로 본체(11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1)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11)의 표면에는 손잡이(111)를 파지하기 쉬우며, 손잡이(111)를 파지했을 때 손에 피로감을 덜 주는 완충제(111a)가 형성된다.
완충체(111a)가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111)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 중앙에는 지지축삽입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삽입홈(112)이 중앙에 형성되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는 다수개의 고정구(1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지지축삽입홈(112)과 다수개의 고정구(113)가 형성되며,완충체(111a)가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111)가 일측에 형성되는 운동기구(100)의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중앙에는 지지축(130)을 고정한다.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중앙에 고정되는 지지축(130)의 양쪽 단부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지지축(130)은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부분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지지축삽입홈(112)은 지지축(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지지축(130)의 양쪽단부가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면서 지지축(130)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 중앙에 지지축(130)이 삽입되는 지지축삽입홈(112)과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형성되는 고정구(113)에는 상기 고정구(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4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는 지지축(130)이 관통되는 지지축관통홈(141)이 형성되는 금속판(140)을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 밀착하여 고정한다.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구(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구(113)가 결합되면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금속판(140)의 단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되는 돌출편(14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 고정되는 금속판(140)의 지지축관통홈(141)을 관통하여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지지축(130)의 중앙에는 공지의 베어링(B)을 고정한다.
지지축(130)의 중앙에 고정되는 베어링(B)은 지지축(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공지된바와 같이 멈춤링 등으로 베어링(B)이 지지축(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축(130)에 고정하여 베어링(B)이 지지축(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축(130)에 고정되는 베어링(B)에는 상기 베어링(B)을 감싸면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50)를 형성한다.
베어링(B)을 감싸면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5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지지축삽입홈(112)에 삽입되는 지지축(130)은 관통되면서 베어링(B)이 고정되는 베어링삽입홈(151)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삽입홈(151)이 형성되는 연장대(150)는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연장대고정부재(160)로 고정된다.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연장대고정부재(160)로 고정되며, 베어링(B)이 삽입되어 감싸면서 고정되는 베어링삽입홈(151)이 형성되는 연장대(150)의 상기 베어링(B)과 고정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회전추(170)를 고정한다.
연장대(150)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추(170)는 베어링(B)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연장대(150)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추(170)가 베어링(B)에 의해서 연장대(150)와 같이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대(150)의 일측단부에 고정되는 회전추(170)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80)가 삽입되는 자성체삽입홈(171)이 형성하며, 상기 자성체삽입홈(171)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금속판(140)의 돌출편(143)과 자성체(180)가 서로 근접되도록 금속판(140)의 돌출편(143)이 돌출되는 부분의 중앙부분에 자성체(180)가 위치하도록 회전추(170)에 고정한다.
금속판(140)의 돌출편(143)이 돌출되는 부분에 위치에서 회전추(170)의 자성체삽입홈(171)에 삽입되는 자성체(180)는 상기 회전추(170)의 자성체삽입홈(171)에서 자성체(1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대(150)의 상부와 하부에서 회전추(170)의 자성체삽입홈(171) 쪽으로 돌출되어 회전추(170)의 자성체삽입홈(171)을 밀폐시키는 자성체이탈방지구(15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때는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가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손잡이(111)의 완충제(111a)를 잡고 운동기구(100)를 좌.우로 흔들면서 회전시킨다.
손잡이(111)의 표면에 형성된 완충제(111a)를 잡고 운동기구(100)를 좌.우로 흔들면서 회전시키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지지축삽입홈(112)에 고정된 지지축(130)에 베어링(B)을 감싸면서 고정된 연장대(150)의 반대쪽에 고정된 회전추(170)가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사이에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11)의 표면에 형성된 완충제(111a)를 좌.우로 흔들면서 회전추(170)가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사이에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추(170)와 지지축(130)을 연결하는 연장대(150)가 지지축(130)의 베어링(B)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축(130)과 관계없이 베어링(B)에 의해서 원할하게 회전되며, 지지축(130)의 베어링(B)의 공지된 바와 같이 멈춤링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축(13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추(170)의 자성체삽입홈(171)에 삽입되어 연장대(1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자성체이탈방지구(152)에 의해서 고정되는 자성체(180)가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서 고정구(113)와 고정홈(142)에 의해서 밀착되어 고정되는 금속판(140)의 사이에서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b)의 안쪽에 고정되어 그 사이로 자성체(180)가 고정된 회전추(170)가 회전되는 금속판(140)에는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추(170)가 회전하는 둘레에 금속판(140)에서 다수개의 돌출편(14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추(170)에 고정된 자성체(180)가 회전하면서 금속판(140)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편(143)과 근접되게 회전될 때와 돌출편(143)이 돌출되지 않은 부분을 회전할 때의 감촉이 틀리며, 운동효과도 배가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반응하는 금속판을 고정하면서도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작업공정을 현저하게 줄여 인건비와 부품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형성되는 자성체가 회전될 때 금속판과 서로 반응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운동효과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5)

  1.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본체고정부재로 고정되며, 내부 중앙에는 지지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축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베어링이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면서 고정되며, 중앙에는 본체의 지지축삽입홈에 고정되는 지지지축이 관통되는 지지축관통홈이 형성되는 금속판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축의 베어링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회전하는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베어링과 고정되는 반대쪽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본체에 고정되는 금속판과 반응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회전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고정구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금속판에는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구와 고정홈이 결합되면서 금속판을 본체에 고정하며, 금속판의 단부에는 회전추의자성체와 근접되는 다수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상.하로 분리되어 다수개의 연장대고정부재로 고정되며, 지지축에 고정되는 베어링을 감싸면서 지지축이 관통되도록 일측에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추에는 자성체가 삽입되는 자성체삽입홈을 형성하여 자성체를 삽입하고, 회전추와 고정되는 부분의 연장대에는 자성체가 회전추의 자성체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성체이탈방지구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손으로 파지하지 쉬우며, 손잡이를 잡는 손의 피로감을 줄여주는 완충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20-2003-0001853U 2003-01-21 2003-01-21 운동기구 KR200312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53U KR200312136Y1 (ko) 2003-01-21 2003-01-21 운동기구
AU2003222501A AU2003222501A1 (en) 2003-01-21 2003-04-25 Exercising device
PCT/KR2003/000845 WO2004064940A1 (en) 2003-01-21 2003-04-25 Exerci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53U KR200312136Y1 (ko) 2003-01-21 2003-01-21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36Y1 true KR200312136Y1 (ko) 2003-05-09

Family

ID=4940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53U KR200312136Y1 (ko) 2003-01-21 2003-01-21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3978B2 (ja) 多目的運動器具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20190143168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5997449A (en) Structure of a hula-hoop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5833588A (en) Hand-held resilient exerciser
KR200317964Y1 (ko)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312136Y1 (ko) 운동기구
KR200317505Y1 (ko) 운동기구
US4576372A (en) Turntable exercise machine
KR200436695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060235344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JP3089426U (ja) 回転錘を利用した携帯が簡便な円板運動器具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KR200319063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JPS6223502Y2 (ko)
KR200312178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GB2524940A (en) Exercise apparatus
CN213994713U (zh) 一种新型健美操多用练习装置
CN210991669U (zh) 一种360度健康按摩棒
KR200351859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JP2593141B2 (ja) 運動器具
KR200434037Y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1300228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줄 돌리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