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650Y1 - 디지탈스틸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탈스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650Y1
KR200311650Y1 KR2019970041030U KR19970041030U KR200311650Y1 KR 200311650 Y1 KR200311650 Y1 KR 200311650Y1 KR 2019970041030 U KR2019970041030 U KR 2019970041030U KR 19970041030 U KR19970041030 U KR 19970041030U KR 200311650 Y1 KR200311650 Y1 KR 200311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distortion
image
image signal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402U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41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6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디지탈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40)과; 좌표값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좌표 계수 수단(44)과; 상기 좌표 계수 수단(4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에 대한 왜곡 보정된 좌표값을 출력하는 왜곡 보정 테이블(46)과; 상기 제1 저장 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46)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에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48)을 포함하며, 렌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서 경통의 길이가 줄어들어 카메라의 크기 또한 줄어들고, 상의 왜곡을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왜곡 보정하는 하드웨어로 보정함으로서 실시간으로 왜곡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스틸 카메라
이 고안은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에 관한 것으로서, 더 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렌즈의 수를 줄임으로서 발생되는 상의 왜곡을 하드웨어(hardware)로 보정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DCP(Digital Camera Processor)에서 디지탈 영상 데이터화한 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압축회로를 사용하여 압축한 다음 메모리 카드(memory card)나 플래시 카드(flash card) 등 유사 기능의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때,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상에 대한 확대, 초점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면서 렌즈의 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여러개의 렌즈를 사용한다.
만약,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상에 왜곡이 생기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한 왜곡된 신호를 출력하게 되기 때문에 렌즈를 여러개 사용하여 결상되는 상의 왜곡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결상되는 상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개의 렌즈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렌즈가 설치되는 경통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서, 초박형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수를 감소시켜서 경통의 길이를 줄이고, 렌즈의 수가 감소됨으로서 발생되는 상의 왜곡을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왜곡 보정함으로서 보정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고안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과;
좌표값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좌표 계수 수단과;
상기 좌표 계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에 대한 왜곡 보정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를 출력하는 왜곡 보정 테이블과;
상기 제1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로부터 출력되는 주소에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과,
상기 제1 저장 수단에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상기 좌표 계수 수단을 제어하여 좌표 계수를 시작시키고,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의 동작을 제어하는 왜곡 보정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부(10)와; 렌즈부(10)에 의해 결상되는 상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씨씨디(CCD:Charge Coupled Device)(20)와; 씨씨디(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왜곡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40)와; 영상 왜곡 보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보정된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50)와; 영상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60)를 포함한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왜곡 보정부(40)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 버퍼 메모리(42)와; X, Y 좌표값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좌표 계수부(44)와, 좌표 계수부(44)로부터 출력되는 X, Y 좌표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X, Y 좌표값에 대한 왜곡 보정된 좌표값을 매핑(mapping)하고, 매핑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를 출력하는 왜곡 보정 테이블(46)과; 왜곡 보정 테이블(46)로부터 출력되는 주소에 해당하는 곳에 제1 버퍼 메모리(4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2 버퍼 메모리(4S)와; 제1 버퍼 메모리(42)에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좌표 계수부(44)를 제어하여 X, Y 좌표 계수를 시작시키고, 왜곡 보정 테이블(46)의 동작을 제어하는 왜곡 보정 제어부(49)를 포함하며, 제2 버퍼 메모리(48)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50)로 출력된다.
또한, 렌즈부(10)에 포함된 렌즈는 경통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렌즈의 개수를 최소화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부(10)는 피사체의 상을 씨씨디(20)에 결상한다.
씨씨디(20)는 결상된 상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는 씨씨디(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경통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렌즈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렌즈부(10)에 의해 결상되는 상은 왜곡되어 결상되고, 씨씨디(20)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가 왜곡되어 진다.
한편, 영상 왜곡 보정부(40)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왜곡 보정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50)로 출력하는데, 이 때 영상 왜곡 보정부(4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 왜곡 보정 알고리즘(algorithm)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0)로부터 왜곡된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 제1 버퍼 메로리(42)에 저장된다.
이 때, 제1 버퍼 메모리(42)에 저장되는 영상 신호에는 각각 X, Y 좌표값이 할당된다.
즉, X, Y 좌표값에 따라 저장되는 위치가 정해진다.
이 때, 제1 버퍼 메모리(42)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왜곡되어 저장된 신호의 위치를 보정하여 본래의 위치로 저장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왜곡 보정 테이블(46)에는 왜곡된 X, Y 좌표값과 보정되어 저장되어야할 X, Y 좌표값이 미리 준비되어 있다.
이것은 많은 실험을 통해 정해진 좌표값이다.
왜곡 보정 제어부(49)는 제1 버퍼 메모리(42)에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좌표 계수부(44)로 하여금 X, Y 좌표값을 계수하도록 하고, 좌표 계수부(44)는 X, Y 좌표값을 계수하여 계수된 X, Y 좌표값을 왜곡 보정 테이블(46)로 출력한다.
왜곡 보정 테이블(46)은 좌표 계수부(44)로부터 입력되는 X, Y 좌표값에 해당하는 왜곡 보정된 X, Y 좌표값을 매핑하여 구하고, 구해진 X, Y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를 출력한다.
제2 버퍼 메모리(48)는 왜곡 보정된 X, Y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를 왜곡 보정 테이블(46)로부터 입력받아서 해당 주소의 위치에 제1 버퍼 메모리(42)의 왜곡된 X, Y 좌표값의 위치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왜곡 보정 테이블(46)에 의해 왜곡 보정된 X, Y 좌표값을 매핑하여 왜복 보정된 위치에 영상 신호를 저장함으로서 제2 버퍼 메모리(48)에는 왜곡 보정된 영상 신호가 저장된다.
다음에, 영상 신호 처리부(50)는 제2 버퍼 메모리(48)에 저장된 왜곡 보정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60)에 저장시킨다.
이 때, 영상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영상 저장부(6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압축 과정을 거쳐서 저장되어도 좋다.
한편,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한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렌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서 경통의 길이가 줄어들어 카메라의 크기 또한 줄어들고, 상의 왜곡을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왜곡 보정하는 하드웨어로 보정함으로서 실시간으로 왜곡 보정할 수 있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수단(40);
    좌표값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좌표 계수 수단(44);
    상기 좌표 계수 수단(4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을 입력받아서 왜곡 보정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주소를 출력하는 왜곡 보정 테이블(46);
    상기 제1 저장 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46)로부터 출력되는 주소에 저장하는 제2 저장 수단(48);
    상기 제1 저장 수단(40)에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상기 좌표 계수 수단(44)을 제어하여 좌표 계수를 시작시키고,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46)의 동작을 제어하는 왜곡 보정 제어부(49);
    상기 제2 저장 수단(48)에서 출력되는 왜곡 보정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50); 및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왜곡 보정 테이블(46)은 상기 제1 저장 수단(40)에, 할당된 모든 좌표값을 저장하고, 상기 각 좌표값과 연결하여 상기 각 좌표값에 대하여 왜곡 보정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저장 수단(48)의 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좌표 계수 수단(44)으로부터 계수된 좌표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좌표값과 연결된 제2 저장 수단(48)의 해당 주소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표 계수 수단(44)은 상기 제1 저장 수단(40)에 할당된 좌표값 이내에서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2019970041030U 1997-12-26 1997-12-26 디지탈스틸카메라 KR200311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30U KR200311650Y1 (ko) 1997-12-26 1997-12-26 디지탈스틸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30U KR200311650Y1 (ko) 1997-12-26 1997-12-26 디지탈스틸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02U KR19990028402U (ko) 1999-07-15
KR200311650Y1 true KR200311650Y1 (ko) 2004-09-06

Family

ID=4940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030U KR200311650Y1 (ko) 1997-12-26 1997-12-26 디지탈스틸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6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35A (ko) * 2002-03-28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 왜곡 보상방법
KR100664035B1 (ko) * 2005-04-19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대칭형 렌즈의 왜곡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856729B1 (ko) * 2007-04-04 2008-09-04 장상진 왜곡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047277B1 (ko) * 2009-06-19 2011-07-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씨디 카메라로 얻은 이미지 영상 신호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02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565B2 (en) Correction method, correction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US6833862B1 (en) Image sensor based vignetting correction
EP2081375A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amera including the same
US7499082B2 (e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or generating distortion-corrected image using data for uncorrected image
WO2001001675A3 (en) Video camera with major functions implemented in host software
EP0457522B1 (en) Gamma correction circuits
JPH0865546A (ja) シェーディング補正係数生成回路およびシェーディング補正係数生成方法
US826985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performs distortion correction in association with digital and optical zoo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computer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US7260271B2 (en) Digital image data correction apparatus, digital image data correction method and digital image pickup apparatus
JPH11252431A (ja) ディストーション補正機能を有するディジタル撮像装置
KR200311650Y1 (ko) 디지탈스틸카메라
JPH10164326A (ja) 画像取り込み装置
JPH11275391A (ja) ディストーション補正を選択できるディジタル撮像装置
JPH09307789A (ja) 画像処理装置
US8072515B2 (en) Correction circuit, correction method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707970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H11250240A (ja) Yuvデータによりディストーション補正を行うディジタル撮像装置
US5940146A (en) Video apparatus with image memory function
JP4664259B2 (ja) 画像補正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H10224695A (ja) 収差補正装置及び方法
JPH05207351A (ja) 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5483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ack shading correction
JP4245140B2 (ja) シェーディング補正回路
US6806916B1 (en) Video apparatus with image memory function
KR930008058B1 (ko) 이미지 스캐너의 화소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