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451Y1 - 비옷 - Google Patents

비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451Y1
KR200311451Y1 KR20-2003-0001237U KR20030001237U KR200311451Y1 KR 200311451 Y1 KR200311451 Y1 KR 200311451Y1 KR 20030001237 U KR20030001237 U KR 20030001237U KR 200311451 Y1 KR200311451 Y1 KR 200311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coat
pocket
cover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오
Original Assignee
이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오 filed Critical 이상오
Priority to KR20-2003-0001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옷 상의 호주머니로 빗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습한 기운과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비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비옷(우의) 상의 전면 수직선상에 형성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호주머니(포켓)와; 상기 비옷 상의 양측 겨드랑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비옷 상의 등과 팔의 일정부위에 야광표시부가 형성된 비옷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환경미화원, 등산, 낚시, 농어민 등이 비옷을 입고 작업시 보다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된 비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옷{a raincoat}
본 고안은 우천시 호주머니로 빗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바지의 밑단으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거을 방지하고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비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미화원 비옷, 등산용 비옷, 낚시용 비옷, 농어민의 비옷으로 사용하는 비옷(우의) 상의의 전면에 형성된 호주머니(포켓)입구 상부에 덮개를 형성하고 겨드랑 양측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바지 밑단내부에 망사단을 형성하여 우천시 착용자의 비옷내부에 발생된 더운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옷이 착용자의 신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며 우천시 편리하고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비옷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옷의 상의는 호주머니 입구가 양측 허리부분에 가로로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물건을 호주머니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허리부분에 형성된 입구를 통하여 넣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은 빗물에 젖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물건을 넣고 손을 뺄 때 호주머니의 내피가 따라나와 물건이 바닥에 떨어져 비에 젖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또는 호주머니에 넣었다 하더라도 움직임에 따라서 호주머니의 물건이 외부로 이탈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해결하기 위해 비옷 상의 호주머니를 전면에 위치토록 하고 입구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의 수직방향으로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장마철 또는 폭우가 내릴 때 호주머니를 사용하면 상부의 빗물이 어깨와 가슴을 타고 내려와 호주머니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의 물건이 물에 젖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여름에는 비옷을 입고 작업을 하게되면 작업자의 체온이 상승되어 땀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작업자가 땀에 의하여 불쾌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땀때문에 비옷이 신체 달라붙어 신체의 움직임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권리로된 비옷바지의 바지밑단 내부에 조임천부를 형성하여 하단을 조임 끈으로 조여 묶도록된 것이있으나 이경우 바지를 벗거나 바지단을 올릴 때 조임근을 풀었다 묶었다 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우천때 비옷을 입고 작업시 호주머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로부터 발생된 무더운 공기를 겨드랑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자유자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땀의 발생을 방지함으로 사용시 비옷이 신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의 움직임이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원 고안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비옷(우의)의 상의 전면 수직선상에 형성된 호주머니(포켓)와; 상기 비옷 상의 양측 겨드랑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개구부와; 상기 비옷 상의의 등과 팔의 일정 위치에 야광표시부가 형성되어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비옷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옷의 호주머니 덮개가 허리선부터 전면의 중앙부까지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호주머니 입구를 벌린 상태의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주머니의 입구가 덮개에 씌워진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4는 본고에 따른 비옷의 겨드랑에 형성된 개구부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야간식별에 따른 야광표시부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비옷의 바지구성도.
도7은 본 고안의 바지 밑단 발취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비옷 11:호주머니
12:입구 13:덮개
14:매직테이프 15:개구부
16,16':슬라이드파스너 17,17':야광 표시부
18:망사 19:통기공
20:바지단 21:망사단
22:절개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천시 입을 수 있도록 된 비옷에 있어서,
비옷(우의)(10)의 상의 전면 수직선상에 형성된 호주머니(11)(포켓)와;
상기 비옷 상의 양측 겨드랑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개구부(15)와;
상기 비옷(10) 상의의 등과 팔의 일정 위치에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뉴 야광표시부(17)와;
비옷의 바지 일정 부위에 통기공(19)과 야광표시부(17')를 형성하고 바지단(20) 내부에 구비된 망사단(21)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6')를 갖는 절개부(22)가 형성된 비옷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주머니(11)는 상부에서 하부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호주머니 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호주머니 입구(12) 상의에서 일체로 연장된 천에 의하여 덮여 빗물 유입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는 덮개(13)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3)와 입구(12)는 서로 접착되도록 대응 설치된 다수의 매직테이프(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주머니(11)가 구비된 비옷(10)은 양측 겨드랑에 개구부(15)를 형성하고 개구부(15)는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매직 테이프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망사(18)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통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우천시 환경미화원, 산업현장 스포츠 관람, 등산, 낚시, 여행자들이 편리하고 간단하게 입을 수 있도록 된 비옷의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일예로 환경미화원이 비오는 여름에 비옷을 입고 작업시 전면에 구비된 호주머니(11)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입구(12)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덮개(13)가 하부로 연장되어 입구(12) 외면 양측에 부착된 매직테이프(14)까지 덮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주머니의 입구(12)와 덮개(13)는 양측 허리선에서부터 전면의 중앙부(단추 또는 슬라이드파스너가 설치된 선까지)까지 연장되어 호주머니(11)의 입구(12)는 상의 전면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상기 호주머니(11)의 입구(12)와 덮개(13)는 일측 단이 측면의 허리선에서 시작하여 전면의 중앙부까지 형성되고, 입구와 덮개는 전체적으로 기울기를 갖되 허리선측이 높고 전면부측이 낮게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호주머니의 입구선은 허리에서부터 전면부로 점점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형상을 취하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호주머니(11)의 입구(12)가 덮개(13)에 덮인 상태에서 허리선에서 점점 낮아져 앞부분의 중앙부까지 양측의 호주머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 즉, 환경미화원이 작업도중 호주머니를 사용할 경우 손으로 덮개(13)를 올린 다음 입구(12)를 통하여 호주머니(11)에 손을 넣으면 덮개(13)가 입구(12)의 지붕역할을 하면서 빗물이 기울기를 따라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또는 폭우시에 호주머니를 사용하더라도 빗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호주머니의 입구 크기를 비옷 전면 양측 폭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비옷은 특성상 방풍, 방수 되도록 된 천을 사용함으로서, 통풍이 안돼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비옷 양측 겨드랑에 개구부(15)를 형성하여 체온에 의해 발생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키도록 함으로서 환경미화원이 비옷을 입고 작업을 하더라도 작업도중 땀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비옷이 신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행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반드시 겨드랑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겨드랑은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는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개구부 입구 전체에 망사(18)를 설치하여 공기만 유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개구부에 망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슬라이드파스너를 슬라이드 시키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상기 개구부(15)는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파스너 또는 매직테이프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구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비옷 바지 일정 부위에 통기공(19)을 형성하여 바지내부의 공기가 유통될수 있도록한다. 상기 바지 통기공(19) 외면에는 상부의 천이 연장되어 덮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지의 통기공(19)이 형성된 상부에는 야광표시부(17')가 형성되어 상의 야광표시부(17)와 같이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바지단(20) 내부에는 망사단(21)이 구비되어 통기공역할을 하는 동시에 바단으로 빗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지단(20)내부에는 망사단(21)구비되고 이의 망사단 일측에는 바지를 벗고 입을때 자유롭도록 슬라이드 파스너(16')를 갖는 절개부(22)가 형성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망사(18)가 설치된 개구부(15) 대용으로 겨드랑에 다수의 통공을 설치하여 공기가 스스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비옷은 등(후부)부분 또는 팔의 일정한 위치에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표시부(17)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비옷 호주머니가 측면 허리선부터 전면의 중앙부까지 형성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호주머니의 덮개가 상부의 몸체와 봉재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입구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입구를 덮은 상태에서허리선부터 앞쪽으로 점점 하향되어 일정한 기울기를 형성한 것으로 사용시 빗물이 호주머니 입구로 유입되지 않고 일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의 호주머니 입구를 벌린 상태의 예시도로서, 호주머니 입구 외면양측과 덮개의 내측면이 대응되는 부분에 매직테이프(14)를 부착하여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구를 상부의 덮개가 씌워지도록 하고 매직테이프에 의하여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비옷을 착용하고 작업시 호주머니의 입구가 벌어져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2와 같이 호주머니의 입구를 벌렸을 때에는 덮개가 들려 입구의 지붕역할하게 되므로 빗물은 기울기를 따라서 일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주머니의 입구와 덮개의 단면 구성도로서, 덮개가 입구를 씌워지도록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4는 본고에 따른 비옷의 겨드랑의 구성도로서, 양측 겨드랑에 개구부(15)를 형성하고 이의 개구부에 슬라이드파스너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개구부(15)를 개폐하여 사용자의 신체 온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개구부(15)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은 슬라이드파스너 이외로도 매직테이프 또는 훅크단추등으로 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야간 식별 야광표시부의 구성도로서, 비옷을 입고 야간에 횡단보도를 건널 때, 환경미화원이 작업할 때 차량 등으로부터 식별이 용이토록 하여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비옷의 바지 구성도로서, 전면 상단과 무릎부분에 통기고(19)가 형성되고 이의 통기공 은 상부에서 연장된 덮개에 가려진 항태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바지 밑단 발취 단면 구성도로서, 바지의 밑단 내부에 망사단(21)을 형성하되 이의 망사단(21)은 벗을 때 발의 인, 입출이 자유롭도록 일측에 절개부(22)를 형서하고 이의 절개부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6') 또는 매직테이프를 설치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비옷에 형성된 호주머니, 겨드랑 개구부, 상.하의 야광표시부등은 반드시 비옷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땀복, 운동복 등에 적용하여 본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비옷의 호주머니 입구를 덮개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입구와 덮개의 위치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서 우천시 호주머니를 사용하더라도 흘러내리는 빗물이 호주머니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바지밑단 내부에 망사단을 형성함으로 통기가 잘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옷의 양측 겨드랑이에 슬라이드파스너를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더운 공기와 땀을 본인이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체온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냄새없이 상쾌한 기븐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하고, 야간에 작업시 야광표시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작업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차량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있다.

Claims (4)

  1. 우천시 입을 수 있도록 된 비옷에 있어서,
    비옷(우의)(10)의 상의 전면 수직선상에 형성된 호주머니(11)(포켓)와;
    상기 비옷 상의 양측 겨드랑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개구부(15)와;
    상기 비옷(10) 상의의 등과 팔의 일정 위치에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뉴 야광표시부(17)와;
    비옷의 바지 일정 부위에 통기공(19)과 야광표시부(17')를 형성하고 바지단(20) 내부에 구비된 망사단(21)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6')를 갖는 절개부(22)가 형성된 비옷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
  2. 제1항에 있어서,
    호주머니(11)는, 상부에서 하부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호주머니 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호주머니 입구(12) 상의에서 일체로 연장된 천에 의하여 덮여 빗물 유입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는 덮개(13)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3)와 입구(12)는 서로 접착되도록 대응 설치된 다수의 매직테이프(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
  3. 제1항에 있어서,
    호주머니(11)가 구비된 비옷(10)은, 양측 겨드랑에 개구부(15)를 형성하고 개구부(15)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가 유통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
  4. 제3항에 있어서
    겨드랑의 개구부는, 망사(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옷.
KR20-2003-0001237U 2003-01-15 2003-01-15 비옷 KR200311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37U KR200311451Y1 (ko) 2003-01-15 2003-01-15 비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237U KR200311451Y1 (ko) 2003-01-15 2003-01-15 비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451Y1 true KR200311451Y1 (ko) 2003-05-01

Family

ID=4933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37U KR200311451Y1 (ko) 2003-01-15 2003-01-15 비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4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562B2 (en) Rain garment
US7770234B2 (en) Sports garment
US6792621B2 (en) Garment ventilation system
ES2501168T3 (es) Sistema de cierre de cremallera para faldón para-nieve
US6014772A (en) Multi-purpose convertible garment with adjustable side vents
JP2011117121A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KR101883526B1 (ko) 방풍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아웃도어용 상의
AU2010291485B2 (en) Piece of clothing having ventilation openings
KR200434838Y1 (ko) 통풍되는 우의
US4142254A (en) Fully ventilated storm suit
KR200311451Y1 (ko) 비옷
CN203407551U (zh) 一种多功能防护服
KR200281682Y1 (ko) 양면 착용 소매 탈부착 다목적 복합기능 의류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JP6628237B1 (ja) 墜落制止用器具を装着のまま着脱可能な作業衣服
KR20100010971U (ko)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200186443Y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방한복
JP5324716B1 (ja) 携帯できる簡易個室
CN212117151U (zh) 一种反光条可拆的反光衣
CN212937973U (zh) 一种具有防晒功能的女式外套
CN213695756U (zh) 一种可拆卸的雨衣
CN2798636Y (zh) 带透气孔的防雨服
CN2292416Y (zh) 多功能三件式穿组全身覆护型雨衣结构
CN209769039U (zh) 一种散热性好的沙滩裤
FI20217134A1 (en) Combined coat for p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