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366Y1 - 회전식 신호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신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366Y1
KR200311366Y1 KR20-2003-0002366U KR20030002366U KR200311366Y1 KR 200311366 Y1 KR200311366 Y1 KR 200311366Y1 KR 20030002366 U KR20030002366 U KR 20030002366U KR 200311366 Y1 KR200311366 Y1 KR 200311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pport
fixed
hole
sig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룡
Original Assignee
김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룡 filed Critical 김기룡
Priority to KR20-2003-0002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신호대에 관한 것으로, 필요시 신호박스가 장치되어 있는 수평대 전체가 회전이 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발생과 신호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써 불필요한 경제적인 손실을 없앨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기둥부(1)의 위쪽에 조립된 채 신호박스(50)를 지지하는 수평대(22)를 가지는 신호박스 지지부(2)가 상기 기둥부(1)에 장치된 고정수단을 제거시키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신호대{a signal pole of rotation}
본 고안은 회전식 신호대에 관한 것으로, 필요시 신호박스가 장치되어 있는 수평대 전체가 회전이 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발생과 신호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써 불필요한 경제적인 손실을 없앨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신호대의 구조는,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기둥부(1)와 상기 기둥부의 위에 볼트 등으로 조립된 채 신호박스(50)가 장치되어 있는 수평대(22)로 크게 구성된 신호박스 지지대(2)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대(22)는 지지로프(23)에 의해 신호박스 지지부(2)의 수직 파이프에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신호대의 신호박스(50)는 통상적으로 트레일러 차량이나 화물차량이 그 하방을 통과하여도 트레일러 혹은 화물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가진 채 수평대(22)에 고정되어 있지만, 화물차량의 경우 과다한 화물을 적재한 채 도로를 주행하면 화물의 상단부가 신호박스(50) 또는 수평대(22)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써 신호박스(50)가 파손되는 예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신호부재에 따른 교통혼잡과 차량의 적체현상이 발생되는 폐단이 초래됨은 물론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인원과 비용이 크게 충당되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수평대(22)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신호대 전체가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는데 이는 인명에 피해를 가져다주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크고 보행자의 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한편 기초공사까지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도 발생될 가능성이 커서 매우 좋지 못한 문제들을 야기 시키고 국가적으로 많은 손실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요시 신호박스 지지부(2)가 기둥부(1) 위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예상 가능한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발생되었던 폐단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회전식 신호대를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기둥부(1)의 위쪽에 조립된 채 신호박스(50)를 지지하는 수평대(22)를 가지는 신호박스 지지부(2)가 상기 기둥부(1)에 장치된 고정수단을 제거시키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 기술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둥부 2: 신호박스 지지부
30: 고정쇠 40: 자물쇠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구조는 간단한 원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베이스(11) 위에 용접되고 브라키트(12)에 의해 지지된 채 직립되어 있는 기둥 파이프(10)의 중앙 부분 다시 말해서, 성인이 서서 작업을 하기 용이한 정도의 높이에 구멍(10a)을 관통시킨다. 상기 구멍(10a)에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의 고정쇠(30)가 삽입되기 위함이다. 이어서 기둥 파이프(10)의 상단에는 지지쇠(13)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데 이는 원형의 형태가 가장 무난할 것이다.
다음, 신호박스(50)가 고정되는 수평대(22)가 고정된 회전 파이프(20)에도 지지쇠(21)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지쇠(13)와 접촉되도록 하며 이때 회전 파이프(20)에서 지지쇠(21)를 기준으로 하향 신장된 연장관(20a)을 형성시킨다. 상기 연장관(20a)에는 상기 기둥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10a)과 같은 치수로 동심을 이루는 구멍(20b)을 관통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전 파이프(20)의 연장관(20a)은 기둥 파이프(10)의 안에 삽입된 채 각 지지쇠(13, 21) 끼리 면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호박스 지지부(2)는 자유롭게 회전이 되는데, 평상시에 신호박스 지지부(2)는도로와 직각을 이룬 채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둥부(1) 상에서 신호박스 지지부(2)가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히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도면과 같이 " Τ" 형태를 가지며 단부에 구멍(31)이 형성된 고정쇠(30)와, 상기 구멍(31)을 통해 체결되는 자물쇠(40)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정쇠(30)를 기둥 파이프의 구멍(10a)과 연장관(20a)의 구멍(20b) 안으로 관통시킨 다음 구멍(31)을 통해 자물쇠(40)를 잠그면 된다.
이 상태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신호대와 외관상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도로를 주행하여야 할 경우 만일 차량에 적재된 화물이 신호박스(50) 혹은 수평대(22)에 부딪힐 염려가 발견되거나 불가결한 상황 아래 높이가 매우 높은 특수 차량이 진행하여야 할 경우가 있거나 또는 비상 상황에서 매우 부피가 큰 물건을 이동시켜야 할 경우 등이 있을 때 차량의 운전자는 즉시 시청으로 전화를 하여 담당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게 된다. 상황을 접수받은 담당자는 가장 가까운 파출소 또는 소방서 등으로 상황을 전달하게 되고 현장으로 출동한 또 다른 담당자는 열쇠를 가지고 자물쇠(40)를 개방시킨 다음 고정쇠(30)를 기둥부(1)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어서 위 담당자는 긴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수평대(22)를 도로와 평행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또는 물건은 신호대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도로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후 수평대(22)를 원위치시킴과 아울러 다시 고정쇠(30)와 자물쇠(40)를 이용하여 기둥부(1)에 신호박스 지지부(2)가 고정되도록 하면 정상적인 신호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상황 신고체계 및 출동체계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도로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신호대의 수평대와 신호박스를 필요시 도로와 평행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간단히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대의 수평대 혹은 신호박스에 가해지는 각 충격들로부터 이들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국가적인 손해와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국익과 국민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기둥부(1)의 위쪽에 조립된 채 신호박스(50)를 지지하는 수평대(22)를 가지는 신호박스 지지부(2)가 상기 기둥부(1)에 장치된 고정수단을 제거시키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신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기둥부(1)는,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 위에 직립된 채 용접과 브라키트(12)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부에구멍(10a)이 관통되고 상단에 지지쇠(13)가 고정된 기둥 파이프(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신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신호박스 지지부(2)는, 신호박스(50)가 고정되는 수평대(22) 및 지지로프(23) 그리고, 상기 지지쇠(13)와 접촉되는 지지쇠(21)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쇠(21)의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기둥 파이프(10)의 안으로 삽입된 채 기둥 파이프의 구멍(10a)과 같은 직경의 구멍(20b)이 동심으로 관통되어 있는 연장관(20a)이 형성된 회전파이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 Τ" 형태를 가지며 단부에 구멍(31)이 형성된 고정쇠(30)와, 상기 구멍(31)을 통해 체결되는 자물쇠(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신호대.
KR20-2003-0002366U 2003-01-24 2003-01-24 회전식 신호대 KR200311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66U KR200311366Y1 (ko) 2003-01-24 2003-01-24 회전식 신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66U KR200311366Y1 (ko) 2003-01-24 2003-01-24 회전식 신호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798A Division KR20040067594A (ko) 2003-01-24 2003-01-24 회전식 신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366Y1 true KR200311366Y1 (ko) 2003-04-23

Family

ID=4940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66U KR200311366Y1 (ko) 2003-01-24 2003-01-24 회전식 신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78B1 (ko) * 2011-02-24 2011-08-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가로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호등 지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78B1 (ko) * 2011-02-24 2011-08-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가로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호등 지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9141B1 (ru)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ая система с опорой
KR200311366Y1 (ko) 회전식 신호대
JP2807665B2 (ja) 防護柵
US201902420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igns to foundation members such as road barriers
KR20040067594A (ko) 회전식 신호대
KR101006536B1 (ko) 표지판 고정장치
JP3507974B2 (ja) 防護柵用支柱
KR20120085449A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CN213596807U (zh) 一种桥梁高安全性防护栏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CN209760097U (zh) 一种市政道路用安全防护隔离栏
CN218147972U (zh) 一种市政用道路
CN207659868U (zh) 一种道路施工用临时指示牌
JP6960843B2 (ja) 防護柵
CN217104842U (zh) 一种交通运输防护栏
CN220301210U (zh) 一种新式框架门形限高架
CN208395736U (zh) 一种新型防盗复合型护栏
KR200252803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차도난간
GB2267524A (en) Cycle parking fixture
EP34972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igns to foundation members such as road barriers
CN215518355U (zh) 一种新型公路桥梁用安全护栏结构
KR10051538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KR200315223Y1 (ko) 충격 흡수대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시설물
KR101053103B1 (ko) 스틸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