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79Y1 - 낚시용 공기 부력 추 - Google Patents

낚시용 공기 부력 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79Y1
KR200311179Y1 KR20-2003-0003640U KR20030003640U KR200311179Y1 KR 200311179 Y1 KR200311179 Y1 KR 200311179Y1 KR 20030003640 U KR20030003640 U KR 20030003640U KR 200311179 Y1 KR200311179 Y1 KR 200311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ore
outer body
weigh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수
Original Assignee
전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수 filed Critical 전태수
Priority to KR20-2003-0003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공기 부력 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102)의 상,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밀폐벽(104)(105)을 형성하여 두 밀폐벽(104)(105) 간에 공간부(107)를 형성하고, 받침부(101)의 하단부에서 상단의 밀폐벽(105)까지 관통되게 낚싯줄연결공(109)을 형성한 금속재로 된 심체(10)와, 심체(10)의 밀폐벽(104)(105)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202)을 형성한 외체(2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금속재로 된 심체와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외체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공기실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수중에서 낚시추의 부력과 자연스럽고 완만한 유동성을 확보하므로서, 낚시 바늘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유도해 미끼의 유인성을 향상시켜 낚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낚시용 공기 부력 추{Air buoyancy sinker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공기 부력 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한 금속재로 된 심체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외체를 결합하여 심체의 공간부에 공기실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수중에서 유속에 의한 자연스럽고 완만한 유동성을 확보하여 미끼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통해 미끼의 유인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에는 잡고자 하는 대상 어종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장비를 갖추게 된다.
즉, 대상 어종의 크기나, 그 어종이 주로 서식하는 수심, 좋아하는 먹이등을 고려하여 먹이를 꿰기위한 낚시바늘과 미끼를 선정하고, 낚시바늘이 적절한 수심에 머무를 수 있도록 낚시줄에 봉돌과 낚시추, 그리고 낚시찌를 연결하여 낚시찌와 낚시추의 무게균형을 통해 미끼를 꿴 낚시바늘이 일정한 수심에 위치하므로서 해당 수심에서 주로 서식하는 대상 어종을 낚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미끼를 꿴 낚시바늘은 수중에서 유속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임을 가져야 어류들이 미끼에 보다 잘 유인되어 낚시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는데, 종래에는 낚시추나 봉돌이 비중이 높은 덩어리체의 금속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유속의 흐름속에서도 낚시바늘이 자연스런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유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낚시추의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낚시추의 부력이 발생하게 함과 동시에 수중에서 자연스럽고 완만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심체 101 : 받침부
102 : 연결부 104, 105 : 밀폐벽
107 : 공간부 109 : 낚싯줄연결공
20 : 외체 202 : 결합공
30 : 낚싯줄
받침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102)의 상,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밀폐벽(104)(105)을 형성하여 두 밀폐벽(104)(105) 간에 공간부(107)를 형성하고, 받침부(101)의 하단부에서 상단의 밀폐벽(105)까지 관통되게 낚싯줄연결공(109)을 형성한 금속재로 된 심체(10)와,
심체(10)의 밀폐벽(104)(105)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202)을 형성한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외체(2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비중이 크고 추를 수중으로 가라앉힐 정도의 중량을 가진 심체(10)와 비중이 작고 목재나 합성수지재등으로 제작된 외체(20)로 구성된다.
이중 심체(10)는 하부에 받침부(101)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연결부(102)를 받침부(101)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 연결부(102)의 상,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밀폐벽(104)(105)을 형성하여 두 밀폐벽(104)(105) 사이에 공간부(107)를 형성하게된다.
그리하여 이 두 밀폐벽(104)(105)이 외체(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202) 내부에 완전히 투입되도록 심체(10)를 외체(20)와 결합하게되면, 심체(10)의 연결부(102)에 형성된 밀폐벽(104)(105)이 외체(20)의 결합공(202) 내부에 투입되어 두 밀폐벽(104)(105)간에 형성된 공간부(107)가 외부와 밀폐되므로서 공간부(107) 내에는 공기실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심체(10)에 형성된 낚싯줄연결공(109)을 통해 낚싯줄(30)을 꿰어 본 고안의 낚시추를 연결한 후 이를 수중으로 투입하게되면, 심체(10)와 외체(20)의 결합에 의해 심체(10)의 공간부(107)에 채워진 공기의 부력에 의해 추가 수중에서 유속에서도 보다 자연스럽고 완만한 유동성을 발휘할 수 있게되며 이 유동성은 낚시바늘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유도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므로서 낚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의 (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낚시추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심체(10)에 형성된 밀폐벽(104)(105)간의 거리와 외체(2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공간부(107)의 부피를 조절하게 되면, 공간부(107)에 채워지는 공기의 양이 변경되어 추의 부력뿐 만 아니라, 수중에서의 유동성도 변경할 수 있게되므로 보다 다양한 어종의 낚시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외체(20)의 재질은 목재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게 되는데, 심체(10)와의 결합후에 심체(10)의 공간부(107)에 대한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질의 합성수지재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재로 된 심체와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외체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공기실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수중에서의 낚시추의 부력과 자연스럽고 완만한 유동성이 확보하므로서, 낚시 바늘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유도해 미끼의 유인성을 향상시켜 낚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받침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102)의 상,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밀폐벽(104)(105)을 형성하여 두 밀폐벽(104)(105) 간에 공간부(107)를 형성하고, 받침부(101)의 하단부에서 상단의 밀폐벽(105)까지 관통되게 낚싯줄연결공(109)을 형성한 금속재로 된 심체(10)와,
    심체(10)의 밀폐벽(104)(105)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202)을 형성한 외체(20)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공기 부력 추
KR20-2003-0003640U 2003-02-07 2003-02-07 낚시용 공기 부력 추 KR200311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640U KR200311179Y1 (ko) 2003-02-07 2003-02-07 낚시용 공기 부력 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640U KR200311179Y1 (ko) 2003-02-07 2003-02-07 낚시용 공기 부력 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79Y1 true KR200311179Y1 (ko) 2003-04-23

Family

ID=4933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640U KR200311179Y1 (ko) 2003-02-07 2003-02-07 낚시용 공기 부력 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83B1 (ko) * 2008-11-13 2009-07-28 김화규 낚시추
WO2009157700A2 (ko) * 2008-06-25 2009-12-30 Kim Hwa Kyu 낚시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700A2 (ko) * 2008-06-25 2009-12-30 Kim Hwa Kyu 낚시추
WO2009157700A3 (ko) * 2008-06-25 2010-04-01 Kim Hwa Kyu 낚시추
KR100909483B1 (ko) * 2008-11-13 2009-07-28 김화규 낚시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2741864A (en) Casting float and bait plug
EP2143325A1 (en) Fishing lure having lateral ball movement within a tub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8230640B2 (en) Simulated mudpuppy fishing lure
US3844060A (en) Live bait fishing lure
US2600673A (en) Fishing lure
FI105770B (fi) Viehe
US3680249A (en) Artificial fishing lure
KR200311179Y1 (ko) 낚시용 공기 부력 추
US8448375B1 (en) Fishing apparatus
US3063187A (en) Live bait casting device
US2187475A (en) Artificial bait
RU189761U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рыболовная приманка
KR200490888Y1 (ko) 공기 주머니가 구비되는 루어낚시 채비
KR200497180Y1 (ko) 생미끼 투명루어
US3346987A (en) Suspended bait lure
KR200327146Y1 (ko) 목줄에 부구가 고정 결합되는 민물용 낚시채비
KR20150002173U (ko)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KR200186654Y1 (ko) 낚시채비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CN209950175U (zh) 一种多彩浮力荧光钓饵
KR200489018Y1 (ko) 낚시용 수중찌
JP2003061534A (ja) 浮 き
KR19980055883U (ko) 낙지 주낙용 낚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