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42Y1 -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 Google Patents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42Y1
KR200311142Y1 KR20-2003-0001757U KR20030001757U KR200311142Y1 KR 200311142 Y1 KR200311142 Y1 KR 200311142Y1 KR 20030001757 U KR20030001757 U KR 20030001757U KR 200311142 Y1 KR200311142 Y1 KR 200311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diameter
block
p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철
Original Assignee
김공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공철 filed Critical 김공철
Priority to KR20-2003-0001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결합용 핀과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핀의 일단부는 블록의 구멍에 압입되고, 다른 블록의 구멍에 삽입된 타단부는 쐐기에 의해 파열되어 그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2개의 블록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블록결합용 핀과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원통형상이고, 일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고 일정 길이 연장된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이 형성된 쐐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에 따른 블록 결합용 쐐기는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최대 직경은 크고 최소 직경은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은 상기 핀과 쐐기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PIN, WEDGE AND PIN HAVING WEDGE FOR JOINING BLOCK}
본 고안은 블록결합용 핀과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핀의 일단부는 블록의 구멍에 압입되고, 핀의 타단부는 다른 블록의 구멍에 삽입되어 쐐기에 의해 그 블록에 고정됨으로써 2개의 블록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블록결합용 핀과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됨에 따라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회지에서는 근린공원을 조성하거나 단지내에 녹지를 조성하는 조경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를 조경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원주택의 정원이나 아파트 베란다와 같은 여유공간을 일반인들이 직접 조경하는 경우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경에는 화단과 같은 조경 구조물이 많이 설치된다. 상기 조경 구조물의 설치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는데, 특히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외관이 아름답기때문에 목재가 많이 사용된다. 목재로 된 조경 구조물은 조경공사 현장에서 목재를 직접 가공하여 설치되거나 공장 등에서 블록 등과 같이 규격화된 모듈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어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일반인도 용이하게 조경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고 조경공사의 공기가 현저하게 단축되기 때문에 공장 등에서 모듈화된 제품을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는 후자의 방법이 많이 활용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목재로 조경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주로 못을 사용하여 가공된 목재나 모듈 제품을 서로 연결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못으로 목재 제품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은 많은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목재 제품으로 조경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또한, 작업의 용이와 신속을 위하여 모듈화된 블록과 같은 제품을 못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모듈화로 인한 장점을 반감시킨다. 즉, 화단과 같은 조경 구조물을 일반인도 쉽게 설치할 수 있게하고 구조물 설치를 위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모듈화된 제품의 개발 뿐만 아니라 상기 모듈화된 목재 제품을 서로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결합수단의 개발도 동시에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핀구멍이 구비된 이웃하는 2개의 불록 중 한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부를 간단히 압입 고정시키고 다른 블록의 핀구멍에 삽입된 쐐기수용부를 쐐기로 파열시켜 그 핀구멍에 간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2개의 블록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된 블록결합용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입부와 쐐기수용부 사이에 압입부가 일정 길이 압입되면 더 이상 압입되지 않도록 핀구멍의 입구에 걸릴 뿐만 아니라 압입 작업시 타격을 가하기 위한 펀치의 일단이 걸려 힘을 받는 걸림턱부를 구비함으로써 압입 작업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압입 작업시 타격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블록결합용 핀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되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작게하고 핀구멍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결합홈을 압입부의 외주면에 연속 배열시킴으로써 핀구멍으로의 압입은 쉽게 이루어 지지지만 상기 핀구멍으로부터는 잘 빠지지 않는 블록결합용 핀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 결합홈을 연속 배열시킴으로써 쐐기수용부가 핀구멍에 파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 블록결합용 핀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결합용 쐐기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압입부를 핀구멍에 압입시키는 작업과 연결된 블록결합용 쐐기를 다른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부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의 일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웨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웨지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웨지 및 웨지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에 의해 블록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블록결합용 핀 11 테이퍼부
12 쐐기결합구멍 13 압입부
14 제1결합홈 14a,14b 경사면
15 걸림턱부 16 쐐기수용부
17 파열홈 18 쐐기수용구멍
19 제2결합홈 19a,19b 경사면
20 블록결합용 쐐기 22 쐐기부
22a 절취홈 24 연결돌기부
30 웨지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 31 쐐기부
33 압입부 34 제1결합홈
35 걸림턱부 36 쐐기수용부
37 파열홈 38 쐐기수용구멍
39 제2결합홈 50a,50b,50c 블록
51 핀구멍 52 걸림턱안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원통형상이고, 일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고 일정 길이 연장된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이 형성된 쐐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입부는 직경이 압입부보다 작은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쐐기수용부는 직경이 상기 쐐기수용부보다 큰 블록의 핀구멍에 저항없이 삽입되어 상기 쐐기수용구멍에 하술하는 쐐기를 삽입시키면 상기 파열홈을 따라 상기 쐐기수용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핀구멍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압입부는 한 블록에 고정되고, 상기 쐐기수용부는 상기 블록에 맞닿은 다른 블록에 고정됨으로써 2개의 블록은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테이퍼부는 단부의 최소 직경이 상기 핀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압입부를 상기 핀구멍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상기 압입부와 상기 쐐기수용부 사이에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압입부가 핀구멍에 완전하게 압입되면 블록결합용 핀이 더 이상 압입되지 않도록 상기 핀구멍의 입구에 걸리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걸림턱부는 상기 쐐기수용부에 삽입되는 펀치의 일단이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쐐기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수용부 위로 돌출된 상기 펀치의 일단을 타격하면 상기 걸림턱부에 상기 타격에 의한 힘이 전달되어 상기 압입부는 핀구멍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압입부를 핀구멍에 압입시키기 위해 파열홈 때문에 비교적 충격에 약한 상기 쐐기수용부에 타격을 직접 가하지 않고서도 상기 펀치를 통해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상기 압입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 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테이퍼부 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1결합홈은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압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은 압입부가 핀구멍에 압입되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상기 압입부가 핀구멍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이에 따라, 압입부는 핀구멍에 비교적 용이하게 압입되지만, 상기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상기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홈 각각은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압입부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과 상기 제3경사면보다 큰경사를 갖고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의 말단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2결합홈은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은 상기 쐐기수용부가 파열되어 상기 핀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수용부가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은,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쐐기연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연결구멍은 하술하는 블록결합용 쐐기의 연결돌기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결합용 핀에는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가 착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는,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최대 직경은 크고 최소 직경은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쐐기부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에 삽입되어 계속 진행하면서 상기 쐐기수용구멍에는 반경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쐐기수용부는 상기 파열홈을 따라 파열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는, 상기 쐐기부의 외주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는 상기 절취홈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재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는, 일단부에 최대 직경은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최소 직경은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연결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록결합용 쐐기는 쐐기부를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에 삽입시켜 쐐기수용부를 파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돌기부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결합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블록결합용 핀에 착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은, 일단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에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이 형성된 쐐기수용부와, 상기 압입부와 상기 쐐기수용부 사이에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쐐기수용부 측에 쐐기수용부쪽으로 직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면을 갖고 상기 쐐기부 측에 직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면을 갖도록 복수의 제1결합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입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 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부 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1결합홈은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며, 상기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홈 각각은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압입부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과 상기 제3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의 말단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2결합홈은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고, 상기 쐐기수용구멍의 직경은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보다는 작고 최소 직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10), 블록결합용 쐐기(20)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 각각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블록결합용 핀(10), 블록결합용 쐐기(20)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30)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이들에 의해 결합되는 블록(50a,50b,50c)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50a,50b,50c)은 각각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블록결합용 핀(10) 등이 고정되기 위한 핀구멍(51)이 상하면을 관통시켜 형성된다. 상기 블록(50a,50b,50c)의 크기 및 상기 핀구멍(51)의 위치는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규격화되어 미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규격은 다양하게 정해 질 수 있다. 다만, 블록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에 의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블록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블록결합용 핀의 길이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으로는 다양한 재질의 블록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 등이 상기 핀구멍에 압입되므로 취성이 작은 목재나 고무와 같은 재질의 블록이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다. 한편, 상기 핀구멍(51)의 일측 입구에는 하술하는 블록결합용 핀(10)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의 걸림턱부(15,35)가 안착되는 걸림턱안착부(52)가 형성되며, 이는 블록결합용 핀(10)에 상기 걸림턱부(15)가 없는 경우에는 삭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50a,50b,50c)은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핀구멍(51)이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상기 블록결합용 핀(10)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10)의 일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은 핀구멍이 연통되도록 맞닿은 2개의 블록 각각에일부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2개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것(도 4 참조)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다.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은 테이퍼부(11)와, 압입부(13), 및 쐐기수용부(16)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부(11)는 블록의 핀구멍보다 직경이 큰 압입부(13)가 핀구멍에 쉽게 맞춰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압입부(13)는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테이퍼부(11)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압입부(13)의 직경은 상기 압입부(13)가 상기 핀구멍에 압입되기 위해서 상기 핀구멍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쐐기수용부(16)는 블록의 핀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파열되어 상기 핀구멍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쐐기수용부(16)는 상기 핀구멍에 저항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압입부(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즉, 본 고안에 의해 결합되는 블록의 핀구멍의 직경은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쐐기수용부(16)의 직경은 핀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된다. 상기 쐐기수용부(16)에는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수용구멍(18)에는 하술하는 블록결합용 쐐기(2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깊이는 상기 블록결합용(20)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쐐기수용부(16)의 외주면에는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17)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파열홈(17)은 상기 쐐기수용구멍(18)이 벌어지도록 상기 쐐기수용구멍(18)에 블록결합용 쐐기(20)가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면 파열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파열홈(17)은 상기 파열홈(17)의 파열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록고정용 핀(10)은 상기 압입부(13)와 상기 쐐기수용부(16) 사이에 걸림턱부(1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15)는 상기 압입부(13)가 핀구멍에 완전하게 압입되면 블록결합용 핀(10)이 더 이상 압입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안착부(52)가 형성된 핀구멍의 입구에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부(15)는 상기 압입부(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걸림턱부(15)는 상기 쐐기수용부(16)에 삽입되는 하술하는 펀치(60, 도 4참조)의 일단이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부(15)는 타격에 견딜 수 있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걸림턱부(15)는 상기 핀구멍의 일측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안착부(52)에 전체가 수용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고정용 핀(10)의 상기 압입부(13)의 외면과 상기 쐐기수용부(16)의 외면 각각에는 상기 압입부(13)와 상기 쐐기수용부(16)이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결합홈(14,19)이 형성된다.
우선, 상기 압입부(13)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의 외주면의 단면이 톱니 형상이 되도록 각각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홈(14)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상기 제1결합홈(14)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16) 측에 상기 쐐기수용부(16)를 향하여 직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제1경사면(14a)을 갖고 상기 테이퍼부(11) 측에 상기 쐐기수용부(16)을 항햐여 직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2경사면(14b)을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경사면(14b)은 상기 제1경사면(14a)보다 큰 경사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제1결합홈(14)은 이웃하는 2개의 제1결합홈이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함으로써 축방향으로의 상기 압입부(13) 외주면의 단면이 톱니 형상이 된다. 상기와 같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14)은 일반적으로 상기 압입부(13)와 핀구멍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2개의 경사면(14a,14b)을 갖는 제1결합홈(14)은 압입부(13)가 상기 핀구멍 내에서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다른 마찰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쐐기수용부(16) 측의 상기 쐐기수용부(16)쪽으로 직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제1경사면(14a)은 경사가 완만하고, 상기 테이퍼부(11) 측의 직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2경사면(14b)은 경사가 축방항에 대하여 연직에 가깝기 때문에 상기 제1경사면(14a)와 제2경사면(14b)는 상기 쐐기수용부(16) 쪽으로 날이 선 형태의 모서리를 이루며 만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입부(13)는 상기 핀구멍에 비교적 쉽게 압입되지만, 상기 핀구멍으로부터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수용부(16)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의 외주면의 단면이 톱니 형상이 되도록 각각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결합홈(19)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상기 제2결합홈(19) 각각은 상기 압입부(13) 측에 상기 압입부(16)를 향하여 직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는 제3경사면(19a)을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16) 말단 측에 경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4경사면(19b)을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4경사면(19b)는 상기 제3경사면(19a)보다 큰 경사를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19)는 이웃하는 제2결합홈이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함으로써 축방향으로의 상기 쐐기수용부(16)의 단면은 톱니 모양이 된다. 상기 제2결합홈(19)은 일반적으로 상기 쐐기수용부(16)가 파열되어 핀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상기 상기 쐐기수용부(16)와 핀구멍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2개의 경사면(19a,19b)을 갖도록 형성된 제1결합홈(19)은 쐐기수용부(13)가 상기 핀구멍 내에서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다른 마찰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압입부(13) 측의 상기 압입부(13)를 향하여 직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3경사면(19a)은 경사가 완만하고, 상기 쐐기수용부(16) 말단 측의 경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4경사면(19b)은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상기 제3경사면(19a)과 제4경사면(19b)은 상기 압입부(13) 쪽으로 날이 선 형태의 모서리를 이루며 만난다. 이에 따라, 상기 쐐기수용부(16)와 핀구멍 사이에는 상기 쐐기수용부(16)가 상기 핀구멍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더 큰 마찰력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쐐기수용부(16)는 상기 핀구멍으로부터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10)은 상기 테이퍼부(11)의 일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쐐기연결구멍(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연결구멍(12)은 하술하는 블록결합용 쐐기(20)의 연결돌기부(2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에는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가 착탈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른 장점은 하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쐐기결합구멍(12)이 상기 쐐기수용구멍(18)이 서로 관통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2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는 상기 블록고정용 핀(10)의 쐐기수용부(16)를 파열시키기 위하여 쐐기부(22)가 상기 쐐기수용구멍(18)에 삽입된다. 상기 쐐기부(22)는 블록결합용 핀(10)의 쐐기수용구멍(18)의 직경보다 최대 직경은 크고 최소 직경은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쐐기부(22)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쐐기수용구멍(18)에 삽입되어 계속 진행되면 상기 쐐기수용구멍(18)은 반경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쐐기수용부(16)는 상기 파열홈(17)을 따라 파열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20)는 상기 쐐기부(22)의 외주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취홈(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는 상기 절취홈(22a)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재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쐐기(20)는 상기 쐐기부(22)의 최대 직경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쐐기연결구멍(12)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돌기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록결합용 쐐기(20)는 상기 연결돌기부(24)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쐐기결합구멍(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에 착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테이퍼부(11)의 일단에 연결되면 그 전체적인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과 같은 모양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가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에 연결되는 이유는 상기 블록결합용 쐐기(20)를 블록의 핀구멍 내부에 위치된 쐐기수용부(16)의 쐐기수용구멍(17)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상기 블록결합용 핀(10)의 압입부(13)을 상기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시키는 작업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 일체로 된 블록고정용 핀(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따른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결합용 핀(10)과 블록결합용 쐐기(20)을 일체로 연결시킨 모양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은 일단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쐐기부(31)와, 상기 쐐기부(3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쐐기부(31)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부(33)와, 상기 압입부(3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37)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에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38)이 형성된 쐐기수용부(36)와, 상기 압입부(33)와 상기 쐐기수용부(36) 사이에 상기 압입부(3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부(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압입부(3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홈(3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34)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36) 방향으로 직경이증가하고 쐐기수용부(36) 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34a)과 상기 제1경사면보(34a)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36)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부(31) 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34b)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34) 중 이웃하는 제1결합홈은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한다.
그리고, 상기 쐐기수용부(36)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홈(39)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홈(39) 각각은 상기 압입부(33)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압입부(33)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39a)과 상기 제3경사면(39a)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압입부(33)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36)의 말단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39b)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39) 중 이웃하는 제2결합홈은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한다.
또한, 상기 쐐기수용구멍(38)의 직경은 상기 쐐기부(31)의 최대 직경보다는 작고 최소 직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블록결합용 핀(10)과 블록결합용 쐐기(20)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은 습기가 많은 화단을 조립하거나 외부에 설치되는 조경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한 블록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므로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결합용 핀(10)과 블록결합용 쐐기(20)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30)은 그 형상이 복잡하지만 사출성형으로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에 의해 블록이 고정되는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은 3층으로 블록(50a,50b,50c)이 적층되고 그 블록이 상기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 또는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에 의해 이웃하는 블록끼리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우선, 블록고정용 핀 61은 압입부가 하부에 위치된 블록 50a의 핀구멍에 압입 고정되고, 쐐기수용부가 상부에 위치된 50b에 삽입된 상태이다. 상기 블록고정용 핀 61의 쐐기수용부는 블록고정용 쐐기의 쐐기부를 수용함으로써 파열되어 블록 50b의 핀구멍에 고정되게 된다. 도면부호 63은 상기 블록결합용 핀 61의 쐐기수용부에 수용되는 쐐기부가 하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블록결합용 핀의 하단에 블록결합용 쐐기를 결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 그 자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록결합용 쐐기와 블록결합용 핀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면부호 63의 쐐기부를 상기 블록결합용 핀 61의 쐐기수용부에 블록결합용 쐐기를 삽입시키는 작업과 도면부호 63의 압입부를 블록 50b에 압입시키는 작업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62와 64는 도면부호 62의 쐐기수용부에 도면부호 64의 쐐기부가 수용되어 도면부호 62의 쐐기수용부가 파열되어 블록 50b의 핀구멍에 고정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면에는 도면부호 64의 압입부를 블록 50b의 핀구멍에 압입시키고 쐐기부를 도면부호 62의 쐐기수용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타격을 도면부호 64에 가하기 위하여 그 쐐기수용부에 원통형의 펀치(66)가 삽입되어 하단은 걸림턱부에 걸리고 상단부는 상기 쐐기수용부의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파열홈 때문에 타격에 약한 상기 도면부호 64의 쐐기수용부에 타격을 가하지 않고 상기 쐐기수용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펀치(66) 상단부에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하여 도면부호 64의 압입부를 블록 50b에 압입시킴과 동시에 쐐기부를 도면부호 62의 쐐기수용부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된 블록결합용 핀은 핀구멍이 구비된 이웃하는 2개의 불록 중 한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부를 간단히 압입 고정시키고 다른 블록의 핀구멍에 삽입된 쐐기수용부를 쐐기로 파열시켜 그 핀구멍에 간단히 고정시킴으로써 2개의 블록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 및 쐐기가 일체로된 블록결합용 핀은 압입되는 일단부와 파열 고정되는 쐐기수용부 사이에 압입부가 일정 길이 압입되면 더이상 압입되지 않도록 핀구멍의 입구에 걸릴 뿐만 아니라 압입부를 압입시키는 작업시 타격이 가해지는 펀치의 일단이 걸려 힘을 전달받는 걸림턱부을 구비함으로써 압입부를 압입시키는 작업이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압입부를 압입시키기 위해 가하는 타격으로 핀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과 쐐기가 일체로된 블록결합용 핀은 블록의 핀구멍에 압입되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작게하고 핀구멍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마찰은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제1결합홈을 압입부 외주면에 연속 배열시킴으로써 핀구멍으로의 압입은 쉽게 이루어 지지지만 상기 핀구멍으로부터는 잘 빠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은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 연속 배열된 제2결합홈을 구비함으로써 핀구멍에 파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핀구멍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결합용 핀과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은 블록결합용 쐐기가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압입부를 핀구멍에 압입시키는 작업과 연결된 블록결합용 쐐기를 다른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부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원통형상이고, 일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고 일정 길이 연장된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이 형성된 쐐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와 상기 쐐기수용부 사이에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 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테이퍼부 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1결합홈은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홈 각각은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압입부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과 상기 제3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의 말단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2결합홈은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일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쐐기연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핀.
  6. 제1항에 기재된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최대 직경은 크고 최소 직경은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의 외주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쐐기.
  8. 일단부에 최대 직경은 제5항에 기재된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5항에 기재된 블록결합용 핀의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최소 직경은 상기 제5항에 기재된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수용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5항에 기재된 블록결합용 핀의 쐐기연결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돌기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용 쐐기.
  9. 일단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외주면에 타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파열홈이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단에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쐐기수용구멍이 형성된 쐐기수용부와, 상기 압입부와 상기 쐐기수용부 사이에 상기 압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홈 각각은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 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쐐기수용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부 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1결합홈은 각각의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형성하도록 이웃하며,
    상기 쐐기수용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홈 각각은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압입부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과 상기 제3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고 상기 압입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고 쐐기수용부의 말단 측에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홈 중 이웃하는 제2결합홈은 각각의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웃하고,
    상기 쐐기수용구멍의 직경은 상기 쐐기부의 최대 직경보다는 작고 최소 직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가 일체로 된 블록결합용 핀.
KR20-2003-0001757U 2003-01-20 2003-01-20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KR200311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57U KR200311142Y1 (ko) 2003-01-20 2003-01-20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57U KR200311142Y1 (ko) 2003-01-20 2003-01-20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03A Division KR100477415B1 (ko) 2003-01-20 2003-01-20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42Y1 true KR200311142Y1 (ko) 2003-04-21

Family

ID=4940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757U KR200311142Y1 (ko) 2003-01-20 2003-01-20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67B1 (ko) * 2021-05-31 2021-10-14 김병철 차량 시트용 힌지 핀 압입장치 및 그 압입방법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102649999B1 (ko) * 2021-01-20 2024-03-25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102313167B1 (ko) * 2021-05-31 2021-10-14 김병철 차량 시트용 힌지 핀 압입장치 및 그 압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013A (ja) クリンチ型締め具構造及び工具
KR10097656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CN113260795B (zh) 扩张连接件
KR200311142Y1 (ko)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KR100477415B1 (ko) 블록결합용 핀, 블록결합용 쐐기 및 쐐기가 일체로 된블록결합용 핀
KR200388384Y1 (ko) 말뚝용 첨단부재
EP2265778A1 (en) Wall tie
JP2004339797A (ja) アンカー金具
JP338444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における接合構造
JP3112885U (ja) 積木式塀壁構造
JPH084439A (ja) 木質系材の締結構造
CA2515701A1 (en) Pound-in glide for an article of furniture
JPH0125765Y2 (ko)
CN112955669A (zh) 销钉紧固件
JP2001317514A (ja) 合わせ釘
JP5176095B2 (ja) ダボおよびダボの使用法
JPH0811907B2 (ja) フロアパネルの連結装置
KR200342699Y1 (ko) 스틸그레이팅의 트위스트바가 아이바에 결합 고정한 구조
KR102127681B1 (ko) 확장형 앙카볼트
JP3120148B2 (ja) タイトフレーム用剣先ボルト
JPS6326564Y2 (ko)
KR101899301B1 (ko) 그라우팅 공법을 위한 소일 네일과 스페이서의 결합 구조
JP4011667B2 (ja) 複数部材の組み立て方法
KR101056372B1 (ko) 이중 바닥판
KR200266066Y1 (ko) 기초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