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72B1 - 이중 바닥판 - Google Patents

이중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372B1
KR101056372B1 KR1020080043036A KR20080043036A KR101056372B1 KR 101056372 B1 KR101056372 B1 KR 101056372B1 KR 1020080043036 A KR1020080043036 A KR 1020080043036A KR 20080043036 A KR20080043036 A KR 20080043036A KR 101056372 B1 KR101056372 B1 KR 101056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lower plate
bottom plate
in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129A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to KR102008004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3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결합 구조가 개선된 이중 바닥판이 개시된다. 그러한 이중 바닥판은 상판과,상기 상판의 하부에 제공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하판과, 그리고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중 바닥판은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의 구조를 다양화함으로써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중, 바닥판, 상판, 하판, 돌출부재, 결합부, 드로잉

Description

이중 바닥판{ACCESS FLOOR}
본 발명은 이중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 및 하판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하판을 결합할 수 있는 이중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은 다양한 마감재로 처리되는바, 근래에는 신호 케이블 혹은 전선 케이블 등의 배선으로 인하여 조립방식의 이중 바닥재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방식의 이중 바닥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상에 겹쳐진 형태로 제공되어 하부에 케이블의 배선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판 및 하판과, 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마감재와, 상판 및 하판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조이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중 바닥판은 상판과 하판을 서로 합치시키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즉, 상판과 하판을 볼트 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판 및 하판의 결합방식은 상판과 하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확고하게 상판 및 하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중 바닥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제공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하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판은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상부 돌출부재와 하부 돌출부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돌출부재와 하부 돌출부재의 구조를 다양화함으로써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판의 상판 및 하판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및 하판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2(a) 내지 도2(c) 는 상판과 하판의 조립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3 은 상판 및 하판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중 바닥판은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제공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하판(3)과, 상기 상판(1)과 하판(3)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7,9)와, 상기 상판(1) 및 하판(3)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고정시키는 조이너(Joiner;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중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 상판(1)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건축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판(1)을 다수개 조립함으로써 건물 등의 바닥에 이중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판(3)은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연결되어 건물 바닥에 고정됨으로써 상판(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3)은 철재 혹은 알루미늄재와 같이 강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판(3)을 건물등의 바닥에 설치하고, 이 하판(3)의 상부에 상판(1)을 조립함으로써 이중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 및 하판(3)은 상기 결합부(7,9)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9)는 상판(1)에 형성된 상판 내부돌기(12)와, 하판(3)에 형성된 하판 내부돌기(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 내부돌기(12)는 도1 및 도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을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방식에 의하여 형성한 원통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갖는다.
즉, 상판(1)을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하여 가압함으로써 상판(1)에는 원형홈(11)이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도1 및 도2a 에서와 같은 원통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갖는 상판 내부돌기(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 내부돌기(12)는 원형홈(11)으로 둘러싸인 상태가 되고, 이 상판 내부돌기(12)의 윗면(F2)은, 상기 상판(1)에서 내부돌기(1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윗면(F1)과 서로 동일한 평면을 갖는다. 상판(1)은 전체적으로 평면을 갖으며 원형홈(11)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 내부돌기(13)는 상기 상판 내부돌기(12)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삭제
즉, 상기 하판(3)이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하판(3)에는 원형홈(15)이 아랫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상판 내부돌기(12)와 대응하는 하판 내부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 내부돌기(12)의 내측 공간부(14) 내경은 하판 내부돌기(13)가 압입이 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으므로서 상판 내부돌기(12)와 하판 내부돌기(13)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의 원형홈(11)은 외경이 상기 하판(3)의 원형홈(15)에 압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만들어 진다.
이와 같이 상판(1) 및 하판(3)에 제공된 결합부(7) 및 결합부(9)를 서로 삽입하여 아래의 순서로 결합을 한다.
즉, 도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내부돌기(12)의 공간부(15)로 상기 하판 내부돌기(13)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하판 내부돌기(13)의 내측 공간부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젖힌다. 이때, 하판 내부돌기(13)를 외측방향으로 젖히는 것은 적절한 도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형 등에 의하여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판 내부돌기(12)를 하판 내부돌기(13)와 결합한 상태에서, 도2c와 같이 완전히 젖혀서 하판(3)의 저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도3은 상판 내부돌기(12)부 및 하판 내부돌기(13)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저면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이, 상판(1) 및 하판(3)을 일체로 결합한 후, 가장자리에 조이너(5)를 결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판(1)과, 하판(3)을 일체로 결합하면 특히, 상기 상판(1)의 윗면(F1)과, 상기 상판 내부돌기(12)들의 윗면(F2)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 상태로 노출된 바닥 면적을 제공하므로, 바닥판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홈부들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대략 "U"자 모양의 단순한 형태의 끼움돌기들과 끼움홈들을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을 일체로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이중 바닥판들과 같이 바닥판 표면(윗면) 상에 홈부 전체가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제공되어 이 홈부들 안쪽에 각종 이물질들이 끼어서 쉽게 오염되거나, 바닥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홈부들에 의해 유휴(遊休) 면적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바닥판 본연의 기능(예; 접지력)이 저하되는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4a 내지 도5 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판(20)에 천공에 의하여 상판 내부돌기(24)를 형성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상판 내부돌기(24)는 상판(20)의 일정 부분을 천공하고, 가장자리(26)를 아래로 젖힘으로써 원통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 내부돌기(25)는 하판(22)을 딥 드로잉에 의하여 성형함으로써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판(22)을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하여 가압함으로써 하판(22)에는 원형홈(28)이 아랫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판 내부돌기(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내부돌기(24)의 직경은 하판 내부돌기(25)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판 내부돌기(24)가 하판 내부돌기(25)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내부돌기(24)를 하판 내부돌기(25)에 삽입한 후, 도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 내부돌기(25)를 외측으로 젖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판 및 하판 내부돌기(24,25)는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2)의 저면에 원형상으로 압착된다.
한편, 도6 과 도7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판 내부돌기(33)를 복수개의 돌기(34)로 분할형성하여 하판 내부돌기(35) 측에 삽입 고정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상판(30)을 통상의 버링(Burring) 방식으로 천공하고, 천공된 가장자리의 일부를 절개하면서 복수개의 돌기(34)를 형성한다. 이 돌기(34)들을 아래로 젖힘으로써 상판 내부돌기(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4)들의 사이는 상판(3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 내부돌기(33)는 복수개의 돌기(34)들로 구성되며, 이 돌기(34)들은 상기 상판(30) 측에서 각각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도6 참조)
그리고, 상기 하판 내부돌기(35)는 통상의 딥 드로잉 방식으로 하판(32)을 아래로 가압하여 도6 에서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원형홈(36)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뚫려진 복수개의 홈부(37)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부(37)들은 상기 상판 내부돌기(33)의 돌기(3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34)들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7a 및 도7b 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 내부돌기(33)의 돌기(34)들을 상기 하판 내부돌기(35)의 홈부(37) 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홈부(37)들의 외부면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젖히거나, 상기 돌기(34)를 사이에 두고 압착한다.
그러면, 상판 내부돌기(33)가 하판 내부돌기(35) 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상판(30)과 하판(32)을 간편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판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2a 는 도1 에 도시된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조립위치에 정열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2b 는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서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2c 는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압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결합부가 하판의 저면에 압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4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조립위치에 정열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4b 는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서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4c 는 상판 내부돌기와 하판 내부돌기가 압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5 는 도4a 에 도시된 결합부가 하판의 저면에 압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a 및 도7b 는 도6 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Claims (5)

  1. 상판;
    상기 상판과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하판; 그리고
    상기 상판에 형성된 상판 내부돌기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하판 내부돌기로 구성되며 이들을 서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하판 내부돌기의 외부면을 일측으로 젖히거나 압착시켜서 상기 상판과 하판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내부돌기는,
    상기 상판 측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홈으로 둘러싸여지며, 이 상판 내부돌기의 윗면이 상기 상판의 윗면과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43036A 2008-05-08 2008-05-08 이중 바닥판 KR101056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36A KR101056372B1 (ko) 2008-05-08 2008-05-08 이중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36A KR101056372B1 (ko) 2008-05-08 2008-05-08 이중 바닥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29A KR20090117129A (ko) 2009-11-12
KR101056372B1 true KR101056372B1 (ko) 2011-08-11

Family

ID=4160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036A KR101056372B1 (ko) 2008-05-08 2008-05-08 이중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3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87Y1 (ko) * 2000-12-29 2001-06-15 김우현 건축용 바닥판재
KR200321673Y1 (ko) * 2003-05-12 2003-07-31 주식회사 세양 건물용 바닥판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87Y1 (ko) * 2000-12-29 2001-06-15 김우현 건축용 바닥판재
KR200321673Y1 (ko) * 2003-05-12 2003-07-31 주식회사 세양 건물용 바닥판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29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1431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6352134B1 (en) Acoustic board
KR20130005265A (ko) 알루미늄 전기 전도체의 접속 구조 및 커넥터
KR20120014759A (ko) 데크 보드 교체방법 및 데크 보드 교체 연결구
US3999356A (en) Panel edge fastener clip
KR100588167B1 (ko) 조적용 조립체
KR101056372B1 (ko) 이중 바닥판
JP6943758B2 (ja) 電線用外装体及び外装体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100624010B1 (ko) 조립식 패널의 조립구조
JP5877340B2 (ja) 見切具
KR101626836B1 (ko)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288318B1 (ko) 결합부재와 결합부재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KR101051332B1 (ko) 가구용 체결구
JP4155895B2 (ja) ラティスパネルと建築物構築方法と建築物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101556546B1 (ko)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KR200452701Y1 (ko) 케이블 접속모듈
KR200481114Y1 (ko) 적층 조립식 공구함
JPH07313218A (ja) 紐止め具
JP2007120047A (ja) 外装パネルを設置する出隅役物構成体
JPH04136515A (ja) 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状材の結合構造
JP4469696B2 (ja) 部品の接合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80080513A (ko)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KR20160000910U (ko)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패널
JPS63472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