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46Y1 -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 Google Patents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946Y1
KR200310946Y1 KR20-2002-0038261U KR20020038261U KR200310946Y1 KR 200310946 Y1 KR200310946 Y1 KR 200310946Y1 KR 20020038261 U KR20020038261 U KR 20020038261U KR 200310946 Y1 KR200310946 Y1 KR 200310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rm plate
window frame
shaped arm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규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2-0038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46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 또는 문을 제작함에 있어서 합성수지 창틀 용접시 코너(Corner)부에서 발생하는 용접부 잔여물에 대한 별도의 사상작업없이도 창짝과 창틀의 연결을 위한 암 플레이트(arm plate) 삽입 장홈을 창짝(또는 문짝) 및 창틀에 형성하여 창짝과 창틀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암 플레이트 형상을 ㄱ자형으로 형성하여 부착위치를 표기하지 않아도 조립을 쉽고 빠르게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보다는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암 플레이트를 창틀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창호 제작시 작업자가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창짝과 창틀 연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또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으로써, 조립시간의 단축과 아울러 작업능률의 향상에 의한 조립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항상 정확한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Window and door provided with ㄱ-shaped arm plate}
본 고안은 창짝(또는 문짝)과 창틀의 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제작시 작업자가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창짝과 창틀조립을 쉽고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종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짝(10)과 창틀(9)에 암 프레임(1)과 창문 스테이(2)를 사용하여 창호를 연결시키게 된다.
종래의 도 2와 같은 일자형 암대를 사용하여 창짝과 창틀을 연결시킬 때에는 먼저 작업자가 일자형 암제품을 구입하여 창짝과 창틀에 조립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어려워 상, 하, 좌, 우 간격이 불일치하여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가 없고, 작업성도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용접 후 코너부 용접부위 사상시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사상작업이 필요없이 창호 제작시 작업자가 자체 치구를 사용하여 종래의 창호보다는 쉽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시간의 단축 및 작업능률의 향상에 의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도를 증대하여 작업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창짝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각종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의 입면도,
도 2는 종래의 암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ㄱ자형 암 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장착된 창호의 전체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암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암 프레임 2: 창문 스테이(stay)
3: 창짝 삽입홈 4: 삽입부재
5: 지지부재 6: 삽입부재 체결공
7: 지지부재 체결공 8: 지지부재 보강리브
9: 창틀 10: 창짝
11: 측면 삽입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틀과 창짝에 고정된 암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암 플레이트가 창짝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재와 지지부재가 연결된 형상이 ㄱ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삽입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창틀 용접시 코너부에 발생하는 용접부 잔여물에 대한 별도의 사상작업없이도 상기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창호에 조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ㄱ자형 암 플레이트는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창짝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측면 삽입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재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창짝과 체결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창짝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각종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의 암 플레이트의 단면도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의 창짝과 창틀을 연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일자형 암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일자형 암 플레이트를 창짝과 창틀에 조립할 때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 하, 좌, 우 간격의 불일치 및 정확도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용접 후 코너부의 사상작업이 필요하였다.
도 3 내지 8은 상술한 종래의 여닫이 및 윗열기 창호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고안의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창짝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암 플레이트는 창짝 삽입홈(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4)와 이에 연결된 지지부재(5)가 ㄱ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ㄱ자 형상 중 돌출부분인 삽입부재(4)가 창짝(10)에 형성된 삽입홈(3)에 삽입되는 삽입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창틀 용접후 별도의 사상작업이 필요없다. 또한 종래와 같이 부착위치를 표기할 필요없이 암 플레이트의 삽입부재(4)를 창짝(10)의 삽입홈(3)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시 위치선정이 용이하여 암 플레이트를 창호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4)는 조립시 수직이 유지되도록 안내하고, 조립후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5)는 조립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안내하고, 창짝(10)의 상부에 안착된 후 수평방향 및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재(4)에는 체결공(6)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암 플레이트의 삽입부재(4)와 창짝(10)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에는 복수개의 체결공(7)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암 플레이트의 지지부재(5)와 창짝(10)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체결구조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창짝(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에 수직방향으로 측면 삽입부재(11)가 연결되어 창짝(10)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보강리브(8)가 형성되어 지지부재(5) 및 측면 삽입부재(11)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 및 수평을 유지하면서 ㄱ자형으로 제작된 암 플레이트의 삽입부재(4)를 창짝(10)의 창짝홈(3)에 삽입하고 지지부재(5)를 창짝(10) 상부에 안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암 플레이트의 측면 삽입부재(11)를 창짝(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고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부재(5)의 중앙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7)을 관통하여 와셔가 삽입된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지지부재(5)를 창짝(10) 측면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삽입부재(4)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6)을 관통하여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삽입부재(5)를 창짝(10) 상부면에 고정시키고, 마지막으로 암 플레이트의 메인 프레임 끝단면을 창틀(9) 끝 선에 일치시킨 후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암 플레이트를 창틀(9) 측면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창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창호 제작시 작업자가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별도의 사상작업없이 창짝과 창틀을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으로써 조립시간의 단축과 아울러 작업능률의 향상에 의한 조립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항상 정확한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작업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창짝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하중을 지지하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창틀과 창짝에 고정된 암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암 플레이트가 창짝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재와 지지부재가 연결된 형상이 ㄱ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삽입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창틀 용접시 코너부에 발생하는 용접부 잔여물에 대한 별도의 사상작업없이도 상기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창호에 조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창짝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측면 삽입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암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창짝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창짝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KR20-2002-0038261U 2002-12-24 2002-12-24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KR200310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261U KR200310946Y1 (ko) 2002-12-24 2002-12-24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261U KR200310946Y1 (ko) 2002-12-24 2002-12-24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946Y1 true KR200310946Y1 (ko) 2003-04-26

Family

ID=4940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261U KR200310946Y1 (ko) 2002-12-24 2002-12-24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63B1 (ko) * 2017-05-31 2018-06-12 윤영상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63B1 (ko) * 2017-05-31 2018-06-12 윤영상 프로젝트 시스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646A (en) Door panel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panel
KR101769908B1 (ko) 도어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0310946Y1 (ko) ㄱ자형 암 플레이트를 구비한 창호
US20030230956A1 (en) Dishwasher door hinge positioning means and method
JP5330078B2 (ja) 外部用ドア枠における縦枠と下枠の連結構造
CN211115411U (zh) 一种门套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CN215443762U (zh) 一种易于焊接的提升机检修门
CN110219547B (zh) 一种门套及门套的制备方法
KR200269588Y1 (ko) 창호의 수직 및 수평 통바 연결구조
KR200430416Y1 (ko) 문틀용 걸림쇠 고정프레임
KR0127437Y1 (ko) 창틀용 코너연결구
KR100520554B1 (ko) 도어용 디비젼 채널의 체결구조
JP3367418B2 (ja) サッシ用アンカー
KR200345033Y1 (ko) 슬라이딩 창호의 조립치구
JPH0616035Y2 (ja) スチール窓枠における額縁の取付構造
JPH08303104A (ja) クロゼット扉の簡易施工治具
KR0127436Y1 (ko) 창문용 정지장치
JP3349466B2 (ja) ドア枠
KR100220064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조립장치
KR200360380Y1 (ko) 창틀
CN112196424A (zh) 一种门扇或窗扇
KR20240002537A (ko) 창호 프로파일 삽입용 지지부 조립체, 창호 프레임 및 창호 프레임 조립 방법
JP2001349144A (ja) パネルの蝶番取付構造
KR200406300Y1 (ko) 문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