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053Y1 - 전정가위 - Google Patents

전정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053Y1
KR200310053Y1 KR20-2003-0002200U KR20030002200U KR200310053Y1 KR 200310053 Y1 KR200310053 Y1 KR 200310053Y1 KR 20030002200 U KR20030002200 U KR 20030002200U KR 200310053 Y1 KR200310053 Y1 KR 200310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piece
pruning shears
support member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호
김원희
유봉식
임명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3-0002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0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정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며, 절단날부 및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위편; 가위편의 외주면을 피복하며, 손보호격벽 및 줄기손질홈부가 일체형성된 가위편지지부재; 가위편의 교차작동시 가위편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가위의 보관시 가위편이 임의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고리를 구비함으로써 장미등과 같은 원예작물의 전정, 줄기손질작업, 및 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에 작업자의 손이 찔려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에 면접촉하는 가위편지지부재의 손잡이부측 외측면이 넓게 형성되어 가위를 보다 손쉽게 교차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 외측면에 미끄럼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시 가위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정가위{Pruning shears}
본 고안은 전정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미등과 같이 가시,잎, 잔가지가 많은 원예작물의 전정, 절곡작업 및 잔가지, 잎, 가시제거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정가위에 관한 것이다.
전정가위는 일반적으로 과수의 발육과 수형의 정리 및 원예작물의 전정,절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지의 일부를 자를 때 사용하는 것으로, 교차하는 두 가위편의 내면이 가능한 한 근접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교차작동으로 가지를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정가위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며, 절단날부(11) 및 손잡이부(12)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위편(10); 한 쌍의 가위편(10) 사이에 개재되며, 가위편(10)의 교차작동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0); 가위의 보관시 가위편(10)이 임의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가위편(10)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고리(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전정가위는 상품화하기 위하여 절화되는 원예작물의 줄기손질시 별도의 줄기손질장비를 사용해야 하며,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시에도 펜치등과 같은 별도의 절곡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원예작물의 재배 및 수확작업을 불편하게 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원예작물의 생산,수확에 소모되는 비용 및 노동력이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에 손이 찔려 상처가 생김으로써 작업이 불편하게 되며,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화, 전정, 줄기손질작업, 및 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정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에 작업자의 손이 찔려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정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정가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일부절취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가위편 111 ; 절단날부
112 ; 손잡이부 150 ; 가위편지지부재
151 ; 집게부 152 ; 손보호격벽
153 ; 연장부 154 ; 줄기손질홈부
200 ; 탄성부재 300 ; 고정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정가위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고, 판면에 복수의 통과공이 마련되며, 절단날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위편; 상기 가위편의 손잡이부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날부의 가장자리 연부까지 피복성형되어 가위편을 지지하는 가위편지지부재; 및 상기 가위편지지부재의 절단날부 외측 단부로부터 외향연장되어 원예작물의 줄기를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위편지지부재의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줄기손질홈부가 상호대향되게 형성되며, 가위편지지부재의 손잡이부 외측면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위편지지부재의 손잡이부 외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요입된 미끄럼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가위편지지부재의 손잡이부 및 절단날부 사이의 결합부에는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한 쌍의 손보호격벽이 외향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를 일부절취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전정가위는 크게 한 쌍의 가위편(100)과, 가위편(100)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가위편지지부재(150)와, 가위편지지부재 (150)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위의 교차작동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00)와, 가위의 보관시 가위편(100)의 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위편(100)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고리(300)로 구성된다.
가위편(100)은 스테인레스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된 한 쌍이며, 일단에 약 30°각도로 칼날을 세운 절단날부(111)가 상호대향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위편(10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112)가 각각 형성되며, 가위편(100)의 절단날부 (111)와 손잡이부(112) 사이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가위편(100)의 절단날부(111)측 판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111a)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위편(100)의 손잡이부부터 절단날부(111)까지의 외주면상에는 가위편지지부재(150)가 피복되어 있다.
가위편지지부재(150)는 플라스틱재로 한 쌍의 가위편(100)의 외주면을 따라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며, 가위편(100)의 손잡이부(112)측 단부로부터 절단날부(111)측 단부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상을 피복하고 있다. 여기서, 가위편(100)의 절단날부(111)측에는 그 가장자리 연부로 가위편지지부재(150)가 피복되나, 칼날부분은 피복에서 제외되어 칼날부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위편지지부재(150)는 가위편(100)의 절단날부(111)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손잡이부(112)측 외측면은 작업자의 손과 최대한 많이 면접촉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에는 작업자가 작업시 땀등에 의해 가위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폭의 요홈으로 된 미끄럼방지부(112a)가 마련된다. 한편, 가위편(100)의 절단날부(111)의 외측 단부에는 집게부(151)가 사출시 일체로 성형된다.
집게부(151)는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절단날부(111)측 단부로부터 외향연장되어 있어, 가위를 눌러잡으면 칼날이 교차됨과 동시에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외주면상에는 한쌍의 손보호격벽(152) 및 줄기손질홈부(15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손보호격벽(152)은 가위편(100)의 절단날부(111)와 손잡이부(112) 사이의 가위편지지부재(150)로부터 외향돌출되어 형성되며, 가위편(100)의 손잡이부(112)측 및 절단날부(111)측을 향하는 판면이 형성되어 있다.
줄기손질홈부(154)는 가위편지지부재(150) 및 가위편(100)의 손잡이부(112)측 단부로부터 외향연장되는 연장부(153)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호대향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줄기손질홈부(154)는 그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호대향하는 각 줄기손질홈부(154)는 가위의 교차작동시 연장부 (153)의 내측면이 밀착되면서 원통형의 줄기통과공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전정가위를 사용하여 절화 및 전정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의 전정가위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그리고, 가위를 이용하여 장미와 같은 가시, 잎 및 잔가지가 많은 원예작물의 줄기를 손질하고자 할 경우에는 줄기의 굵기에 맞는 줄기손질홈부(154) 사이에 손질되는 줄기를 두고 가위의 손잡이를 움겨쥔다. 그러면, 줄기손질홈부(154)가 줄기를 포위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가위를 줄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시키면 줄기에 존재하는 가시, 잎 및 잔가지가 줄기로부터 이탈되어 줄기가 깔끔하게 손질된다.
한편,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재배시에는 장미의 압상률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품질의 장미를 수확하기 위하여 장미의 줄기를 구부려 절곡시키는 절곡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는 가위편지지부재(150)에 형성된 집게부(151)를 이용하여 장미의 줄기를 절곡시키게 된다.
또한,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절단날부(111)와 손잡이부(112)의 사이에 손보호격벽(152)이 형성됨으로써 장미의 절곡작업시에는 장미의 줄기에 존재하는 가시가 작업자의 손을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전정가위는 장미등과 같은 원예작물의 전정, 줄기손질작업, 및 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에 작업자의 손이 찔려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에 면접촉하는 가위편지지부재의 손잡이부측 외측면이 넓게 형성되어 가위를 보다 손쉽게 교차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 외측면에 미끄럼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시 가위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호 회전가능하게 교호적으로 결합되고, 판면에 복수의 통과공(111a)이 마련되며, 절단날부(111) 와 손잡이부(112)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위편(100);
    상기 가위편(100)의 손잡이부(112)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날부(111)의 가장자리 연부까지 피복성형되어 가위편(100)을 지지하는 가위편지지부재(150); 및
    상기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절단날부(111) 외측 단부로부터 외향연장되어 원예작물의 줄기를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정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연장부(153)의 내측면에 복수의 줄기손질홈부(154)가 상호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손잡이부(112) 외측면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손잡이부(112) 외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요입된 미끄럼방지부(112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가위편지지부재(150)의 손잡이부 및 절단날부 사이의 결합부에는 장미와 같은 원예작물의 절곡작업시 가시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한 쌍의 손보호격벽(152)이 외향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가위.
KR20-2003-0002200U 2003-01-23 2003-01-23 전정가위 KR200310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00U KR200310053Y1 (ko) 2003-01-23 2003-01-23 전정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00U KR200310053Y1 (ko) 2003-01-23 2003-01-23 전정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053Y1 true KR200310053Y1 (ko) 2003-04-16

Family

ID=4940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00U KR200310053Y1 (ko) 2003-01-23 2003-01-23 전정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05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92Y1 (ko) * 2009-06-08 2012-04-27 대한민국 전지가위
WO2013047990A1 (ko) * 2011-09-30 2013-04-04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WO2017175991A1 (ko) 2016-04-05 2017-10-12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918707B1 (ko) * 2017-07-06 2018-11-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코레곤 인공교배용 가위
KR101975987B1 (ko) * 2018-12-05 2019-05-07 송영순 화훼용 가위
KR20220001736U (ko) 2022-06-22 2022-07-12 김해준 전지가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92Y1 (ko) * 2009-06-08 2012-04-27 대한민국 전지가위
WO2013047990A1 (ko) * 2011-09-30 2013-04-04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WO2017175991A1 (ko) 2016-04-05 2017-10-12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101918707B1 (ko) * 2017-07-06 2018-11-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코레곤 인공교배용 가위
KR101975987B1 (ko) * 2018-12-05 2019-05-07 송영순 화훼용 가위
KR20220001736U (ko) 2022-06-22 2022-07-12 김해준 전지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361B2 (en) Rose pruning and stripping device
US5628115A (en) Cutting tool
USD605004S1 (en) Palm trimmer
CN107846847B (zh) 兼备树枝悬挂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KR200310053Y1 (ko) 전정가위
US20160007663A1 (en) Gardening Glove
JP3851805B2 (ja) 指装着式切断器
KR200458892Y1 (ko) 전지가위
US6671967B1 (en) Blades of gardening shears
KR101916672B1 (ko) 농작물 수확용 줄기 절단기
JP2000024340A (ja) 剪定鋏の鞘
US20090044413A1 (en) Multipurpose gardening shears
KR20110008301U (ko) 원예용 양손 가위
KR102542789B1 (ko) 화수관리기
KR102586235B1 (ko) 다목적 집게
KR102282824B1 (ko) 과실나무 신초수세 조절용 염지가위
US20190254236A1 (en) Disbudding secateurs
KR101975987B1 (ko) 화훼용 가위
KR200186420Y1 (ko) 포도 화방손질 및 적심용 손톱칼
CN215835792U (zh) 一种用于小型有机麦田的除草抓套
JPH0522051Y2 (ko)
SU1630672A1 (ru) Секатор
RU93017726A (ru) Секатор
JP2007075014A (ja) 花穂整形器
GB2497339A (en) A gardening tool for deadhead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