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47990A1 -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 Google Patents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47990A1
WO2013047990A1 PCT/KR2012/006019 KR2012006019W WO2013047990A1 WO 2013047990 A1 WO2013047990 A1 WO 2013047990A1 KR 2012006019 W KR2012006019 W KR 2012006019W WO 2013047990 A1 WO2013047990 A1 WO 20130479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tting
grape
scissors
cutting member
gra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0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웅
홍의연
이석호
김선국
이윤상
김익환
이기열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ublication of WO20130479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47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e slicing (wetting) and egg extraction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grape blades in close contact at the beginning of the fruit by forming a tongs that can easily pick up the grape grains at both ends of the scissors Cutting blades at the center between the hinge and the end, and can be easily chopped (wet), so that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net cutting and slic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It is about.
  • grapes have the highest national preference among fruits, so they are used not only as raw fruits but also as various processed foods, and their popularity is increasing day by day.
  • Typical processed foods of grapes include beverages such as grape juice, alcohol such as wine, and grape jam.
  • Patent Document No. 2011-0062196 "Grape Known Mechanism” is a gripping member 100 formed at the end as shown in Figure 1; A support member 200 protruded from the holding member; A first brush 300 formed of a first long protrusion 310 and a first end protrusion 32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And a second brush 400 consisting of a second long protrusion 410 and a second end protrusion 42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2199 Grampe flower modification and knowing mechanism
  •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2199 "Grape flower crystal type and knowing mechanism" is shown in Figure 2, the holding member (A); Upper cover (B); A lower base (C) on which the protrusions 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on member (D) which mediates the upper cover (B) and the lower base (C) at one end; And a cutting member (E) formed by forming a blade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B) and the lower base (C), respectively, to scan grape bunches that are closely adhered at the beginning of grape fruit with the protrusion (c ').
  • a cutting member (E) formed by forming a blade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B) and the lower base (C), respectively, to scan grape bunches that are closely adhered at the beginning of grape fruit with the protrusion (c ').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various defects and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grape teller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 object is to form a tongs that can easily pick up grape grains on both edges of scissors Efficiently remove grapes from the clusters that are initially tightly packed, while simplifying net wetting with a cutting blade in the center between the hinge and the end, effectivel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net cutting and eggs. It is to provide dedicated grape shearing scissors.
  • the present invention for exclusive use of grape weaving combines only a first cutting member 10 having a cutting blade portion 11 and the handle portion 12; A second cutting member 10 'having a cutting blade portion 11' and a handle portion 12 '; Hinge coupling means (20) for rotatably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members (10, 10 '); A forceps unit 30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cutting member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orceps portion (30 ')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utting member (10').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tongs that can easily pick up the grape grains at both ends of the scissors, while cutting the grape grains from the cluster of grapes closely adhered at the early stage of fruiting, and cutting the nets to the cutting edge of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hinge and the en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rape seeding mechanism.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rape fertilization type and eggplant mechanism.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grape picking double grain shears.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grape picking combine harvesting shears.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grape picking double grain shears.
  • FIG. 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icking up grapes.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e weeping combined use only scissors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e weeping combined use only shears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wine weeding combine double
  • 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icking up a grain of grapes
  • 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picking grape grains,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grape picking double shearing cutting blade (11) and the handle portion (12)
  • a first cutting member 10 having;
  • a second cutting member 10 ' having a cutting blade portion 11' and a handle portion 12 ';
  • a forceps unit 30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cutting member 10;
  • the tongs portion 30 '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cutting member 10'.
  • the cutting blades 11 and 11 ' are preferably stainless steel which does not generate rust, and the handles 12 and 12' are preferably formed by wrapping stainless steel in synthetic resin to have a good feel when held.
  • a pivot pin or a pivot screw may be preferably used as the hinge coupling means 20.
  • the tongs 30 are formed in a ring shape at a tip portion of which the end of the first cutting member 10 is twisted by 180 °, and the tongs 30 'are formed of the second cutting member 10'.
  • the worker when the grapes are collected using the dedicated grape picking-only shea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first holds the handles 12 and 12 'by hand as in the case of normal shearing, and as shown in FIG. Spread between the portion 12 and the handle portion 12 ′ to allow the grape grains P to be removed between the tong portions 30 and 30 ′ and then the handle portion 12 as shown in FIG. 7. Narrow the gap between the handle portion 12 'pinch (30, 30') to remove the grape grain (P) to be removed.
  • the cuttings are cut into the cutting blades 11 and 11 by cutting the cutting blades 11 and 11 between the cutting blades 11 and 11.
  • the conventional shears is a single working time is 2.40 ⁇ 2.88 minutes
  • the dedicated grape picking shea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working time The 1.44 ⁇ 1.80 minutes was confirm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25%.
  •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efficient work in grape cultivation and harv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1커팅부재(10)와;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2커팅부재(10')와; 상기 제 1, 2커팅부재(10, 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20)과;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 및;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로 구성되어 가위의 양날 선단부에 포도알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집게부를 형성하여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에서 포도알을 효율적으로 솎아낼 수 있으면서 힌지와 단부 사이 중앙부의 커팅날부로 순자르기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순자르기 및 알 솎기 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본 발명은 포도 순자르기(적심)와 알 솎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위의 양날 선단부에 포도알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집게부를 형성하여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에서 포도알을 효율적으로 솎아낼 수 있으면서 힌지와 단부 사이 중앙부의 커팅날부로 순자르기(적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순자르기 및 알 솎기 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도는 과일 중에서 국민의 선호도가 가장 높아서 생과일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인기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포도의 대표적 가공식품으로는 포도 주스와 같은 음료수, 포도주와 같은 술, 내지 포도잼 등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보다 고품질을 추구하는 경향과 맞물려 포도의 재배와 생산에서도 고품질 포도에 대한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고품질 포도 생산에는 생육기에 신초와 결실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이에 따라 포도재배에서는 발아 이후 눈따기, 순지르기, 신초유인, 송이 다듬기 및 송이 솎기, 그리고 알 솎기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관리 작업중 가장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대표적 작업이 포도의 알 솎기로서 종래의 방법은 과립 하나하나를 절단 날을 갖는 작은 가위나 직접 손으로 따내어 주는 방식이었다.
포도재배에서 어느 정도 경험과 재배기술이 익혀지면 포도나무의 결실이 안정되면서 포도 송이가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포도 송이의 알 솎기 작업에는 더욱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성목 포도에서 알 솎기 노력은 10a당 20인 이상 소요되는 포도 착과 후 노동력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 착과 초기에는 주로 수작업으로 알 솎기를 하나 이 경우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어 알 솎기 시기가 늦어지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되고, 알 솎기의 시기가 늦어져 수작업이 곤란한 경우 절단 날을 갖는 작은 가위를 사용하여 알 솎기를 하게 되고, 가위로 알 솎기를 할 경우 포도 알 사이로 가위의 절단 날을 넣어 필요한 부위를 절단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고 가위의 선단이 뾰족하여 인접한 과실에 상처를 줄 위험이 많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밀착 송이에서 알 솎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송이의 축이 찢어져 밀려나오고 포도알의 비대도 나빠져 품질이 불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성숙기에는 포도의 열과도 많이 생긴다. 따라서 포도 결실 이후에는 되도록 빨리 알 솎기를 해주어야 한다. 알 솎기에 적합한 시기는 만개 후 10 ~ 20일 무렵으로서 포도알이 팥알만 한 시기로서 적기의 폭이 아주 좁다. 이 시기를 놓치면 포도알이 급격히 커지면서 밀착되어 작업에 더욱 힘이 든다. 따라서 적기에 알 솎기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려는 여러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에 개발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11-0062196호의 "포도 알솎기 기구"가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2011-0062196호의 "포도 알 솎기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에 형성된 파지부재(100); 상기 파지부재와 연설된 지지부재(200); 상기 지지부재(200)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돌설된 제1 장돌기(310)와 제1 단돌기(320)로 이루어진 제1브러쉬(300); 및 상기 지지부재(200) 하면에 소정간격으로 돌설된 제2 장돌기(410)와 제2 단돌기(420)로 이루어진 제2브러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포도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를 상기 제1브러쉬(300) 또는 제2브러쉬(400)로 훑어서 포도 알을 솎아내는 것이나, 이 경우 제1 장돌기(310)와 제1 단돌기(320) 사이나 제2 장돌기(410)와 제2 단돌기(420) 사이에 수많은 포도알이 끼이는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알맞게 알 솎기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훑는 작업시 포도 송이 전체가 잘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11-0062199호의 "포도 화수정형 및 알 솎기 기구"도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2011-0062199호의 "포도 화수정형 및 알 솎기 기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재(A); 상부덮개(B); 상면에 돌기(c')가 상호 이격되어 돌설된 하부기재(C); 상기 상부덮개(B)와 하부기재(C)를 일단에서 매개하는 연결부재(D); 및 상부덮개(B)와 하부기재(C)의 상단에 각각 칼날을 형성하여 구성한 커팅부재(E)로 이루어져 포도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를 상기 돌기(c')로 훑어서 포도 알을 솎아내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특허 공개번호 제2011-0062196호의 "포도 알솎기 기구"에 비하여 커팅부재(E)로 포도 화수나 지경을 절단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으나, 이 또한 돌기(c') 사이에 수많은 포도알이 끼이는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알맞게 알 솎기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훑는 작업시 포도 송이 전체가 잘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포도 화수나 지경의 절단시에는 파지부재(A)와 연결부재(D)의 구조가 커팅부재(E)를 작동시키기에 부적절한 구조를 이루어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포도 알 솎기 기구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위의 양날 선단부에 포도알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집게부를 형성하여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에서 포도알을 효율적으로 솎아낼 수 있으면서 힌지와 단부 사이 중앙부의 컷팅날부로 순자르기(적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순자르기 및 알 솎기 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포도 알 솎기 전용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는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1커팅부재(10)와;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2커팅부재(10')와; 상기 제 1, 2커팅부재(10, 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20)과;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 및;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위의 양날 선단부에 포도알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집게부를 형성하여 결실 초기에 과밀하게 밀착된 포도 송이에서 포도알을 효율적으로 솎아낼 수 있으면서 힌지와 단부 사이 중앙부의 커팅날부로 순자르기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순자르기 및 알 솎기 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포도 알 솎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포도 화수정형 및 알 솎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포도알을 집기 전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포도알을 집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포도알을 집기 전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7은 포도알을 집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는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1커팅부재(10)와;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2커팅부재(10')와; 상기 제 1, 2커팅부재(10, 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20)과;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 및;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팅날부(11, 11')로는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기 손잡이부(12, 12')는 스테인리스강을 합성수지로 감싸서 형성하는 것이 파지시 감촉이 좋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결합수단(20)으로는 피봇핀 또는 피봇나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게부(30)는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단부가 180°꼬여진 선단부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부(30')는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단부가 180°꼬여진 선단부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30)와 상기 집게부(30')는 서로 마주보게 대향 위치하여 상기 집게부(30, 30') 각각의 대향면이 구(球)의 표면을 감싸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를 사용하여 포도의 알 솎기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는 통상적인 가위질시와 마찬가지로 먼저 손잡이부(12, 12')를 손으로 잡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와 손잡이부(12') 사이를 벌려 집게부(30, 30') 사이에 제거하고자 하는 포도알(P)이 들어가도록 한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와 손잡이부(12') 사이를 좁혀 집게부(30, 30')로 제거할 포도알(P)을 집어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순자르기(적심) 시에는 자르고자 하는 순을 커팅날부(11, 11) 사이에 들어가게 하여 가위질함으로써 커팅날부(11, 11)로 순을 자르게 된다.
실시예
1인의 작업자가 종래 일반가위로 1일간 포도의 알 솎기 작업을 한 경우의 작업속도와, 1인의 작업자가 본 발명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로 1일간 포도의 알 솎기 작업을 한 경우의 작업속도를 비교보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구분 종래 일반가위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본발명)
작업속도 250 ~ 300송이/1일/1인 400 ~ 500송이/1일/1인
상기 표 1의 작업속도를 포도 송이 1송이를 알 솎기 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환산해보면, 종래 일반가위는 1송이 작업시간이 2.40 ~2.88분이고, 본 발명의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는 1송이 작업시간이 1.44 ~ 1.80분으로 작업 효율이 25%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포도재배 및 수확에서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1커팅부재(10)와; 커팅날부(11')와 손잡이부(12')를 갖는 제 2커팅부재(10')와; 상기 제 1, 2커팅부재(10, 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수단(20)과;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 및;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집게부(30')로 구성된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부(11, 11')는 스테인리스강이고, 상기 손잡이부(12, 12')는 스테인리스강을 합성수지로 감싸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수단(20)은 피봇핀 또는 피봇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0)는 상기 제 1커팅부재(10)의 단부가 180°꼬여진 선단부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부(30')는 상기 제 2커팅부재(10')의 단부가 180°꼬여진 선단부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30)와 상기 집게부(30')는 서로 마주보게 대향 위치하여 상기 집게부(30, 30') 각각의 대향면이 구(球)의 표면을 감싸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PCT/KR2012/006019 2011-09-30 2012-07-27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WO20130479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19 2011-09-30
KR1020110100119A KR101338195B1 (ko) 2011-09-30 2011-09-30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7990A1 true WO2013047990A1 (ko) 2013-04-04

Family

ID=4799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019 WO2013047990A1 (ko) 2011-09-30 2012-07-27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8195B1 (ko)
WO (1) WO2013047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9658A (zh) * 2015-06-30 2015-11-11 李红光 一种苹果剪把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10B1 (ko) 2015-04-23 2017-01-03 정찬조 포도 적과 장치
KR200492387Y1 (ko) * 2018-09-04 2020-09-29 윤신원 포도 알 솎기 기구
KR102520477B1 (ko) 2020-10-30 2023-06-08 (주)유니버셜트렌드센터 주방용 가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503Y1 (en) * 1984-04-03 1986-07-14 Kang Tae Hong Scissors a combined use of pliers
KR970015791U (ko) * 1997-02-18 1997-05-23 임옥만 포도 적과기
KR200310053Y1 (ko) * 2003-01-23 2003-04-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전정가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723U (ja) * 2003-03-11 2003-10-03 貢 赤羽 ハサミ付きスプ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503Y1 (en) * 1984-04-03 1986-07-14 Kang Tae Hong Scissors a combined use of pliers
KR970015791U (ko) * 1997-02-18 1997-05-23 임옥만 포도 적과기
KR200310053Y1 (ko) * 2003-01-23 2003-04-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전정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9658A (zh) * 2015-06-30 2015-11-11 李红光 一种苹果剪把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195B1 (ko) 2013-12-09
KR20130035672A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47990A1 (ko) 포도 적심 겸용 알 솎기 전용가위
Oukabli et al. Anatomical and morphological study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flower buds growing under inadequate winter chilling
CN104285684A (zh) 一种毛桃砧木嫁接红叶李的方法
Wright et al.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plant maturity at harvest and method of topping on bulb quality and incidence of rots in storage
Morris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 complete vineyard mechanization system
Nasini et al. Olive harvesting
US20030182808A1 (en) V-cut knife for cutting crops and method of use thereof
Ravetti et al. Continuous mechanical harvesting in modern Australian olive growing systems
Fick et al. Alfalfa Weevil Effects on Root Reserves, Development Rate, and Canopy Structure of Alfalfa 1
Allan et al. Effects of girdling time on growth, yield, and fruit maturity of the low chill peach cultivar Flordaprince
CN101312643A (zh) 选择性收割机
CN208128897U (zh) 一种手持式苹果无损采摘器
Ravetti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echanical harvesting in modern olive growing
CN102715075A (zh) 一种楸树不去雄、人工杂交育种方法及其应用
Pommer Double cropping of table grapes in Brazil
Peacock et al. The future of California raisins is drying on the vine
Iliescu et al. Kiwifruit (Actinidia spp.) phenological growth stages in southern Romanian climate according to the BBCH scale.
JP2007151842A (ja) 摘果鋏
Blažek et al. Seven-year orchard performance of eleven new apple cultivars from Holovousy in comparison with some commonly grown ones
Intrieri et al. The effectiveness of basal shoot mechanical leaf removal at the onset of bloom to control crop on cv. Sangiovese (V vinifera L.): report on a three-year trial
BE1024483B1 (nl) Appelboom met verkort groeiseizoen van fruit
KR20110062199A (ko) 포도 화수정형 및 알솎기 기구
Chang et al. Thinning Florida Peaches for Larger Fruit: HS1324, 12/2018
Peña-Chocarro 4.4. THE USE OF MESORIAS TO HARVEST HULLED WHEAT BY STRIPPING: AN ANCIENT TOOL?
Studer Raisin harvest mechanization: A bit of his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34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34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