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33Y1 -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33Y1
KR200308133Y1 KR20-2002-0038314U KR20020038314U KR200308133Y1 KR 200308133 Y1 KR200308133 Y1 KR 200308133Y1 KR 20020038314 U KR20020038314 U KR 20020038314U KR 200308133 Y1 KR200308133 Y1 KR 200308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od
iron core
circuit breaker
trip
fixe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8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 MMS(Manual Motor Starter)라고 불리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시전류의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순시 트립부에 차단막대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빈내에 설치된 고정철심 및 가동철심과, 상기 고정철심의 구멍을 통해 트립부 바디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차단막대를 구비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대는 헤드부와 원기둥부로 이루어져 그 경계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트립부 바디에는 차단막대의 헤드부와 같은 형상의 차단막대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대의 걸림턱이 트립부 바디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이다.

Description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assembling of isolation bar for manual motor starter}
본 고안은 통상 MMS(Manual Motor Starter)라고 불리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시전류의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순시 트립부에 차단막대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과전류, 결상, 순시전류, 단락전류 등 여러 형태의 사고에 대하여 부하인 모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로서, 정격 전류의 수배에 달하는 전류인 순시전류나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순간적으로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순시 트립부와, 상기 순시 트립부의 동작에 따라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접점이 이격될 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정상적인 통전 시에는 접점부의 가동 접점대와 고정 접점대가 접속되어 전원측 단자로 인입되는 전류를 부하측 단자로 통전시키게 되지만, 순시전류 또는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순시 트립부가 이를 감지하여 순시 트립부에 의해 가동 접점대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가동접점이 고정 접점대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전류가 부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에서 순시 트립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을 감싸고 있는 코일(2)과, 상기 보빈내에 설치되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철심(5)과, 상기 고정철심(5)에 기자력이 발생할 때 고정철심(5)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철심(6)과, 상기 가동철심에 연결되어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차단 막대(3)와, 상기 기구들을 지지 고정하는 트립부 바디(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2)에 사고전류가 통과하면 코일(2)의 주변으로 강한 자성을 띠는 기자력이 형성되어 이 기자력에 의해 가동철심이 고정철심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철심에 연결된 차단 막대(3)가 가동철심과 함께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그 하단부에 맞닿아 있는 가동 접점대(7)를 순간적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 접점대(7)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고정 접점대(8)로부터 이격되어 회로가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서 도 3과 같이 차단막대(3)는 고정철심 (5)에 형성된 구멍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가동철심(6)에 맞닿아 있고 하단부는 트립부 바디(4)를 관통하여 가동 접점대(7)에 맞닿아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대(3)는 차단기의 조립이 진행되는 동안 고정철심(5)에서 이탈하면 않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차단막대(3)의 이탈방지를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차단기의 조립과정에서 순시 트립부는 차단기의 상부 프레임에 조립되고 가동접점대는 하부 프레임에 조립되므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까지는 차단막대(3)의 하부에 가동 접점대(7)와 같은 부품이 위치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차단막대의 이탈 방지수단이 없는 경우 차단막대(3)가 고정철심(5)의 구멍에서 빠져나와 이탈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에는 차단막대(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막대(3)를 이중 원기둥형으로 형성하고 고정철심(5)에는 단턱부(5a)를 형성하였으며, 상기와같은 구성에 의해 차단막대(3)가 자중으로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하는 하는 힘을 받아도 차단막대(3)의 대경부가 고정철심(5)의 단턱부(5a)에 걸려 결국 차단막대(3)는 고정철심(5)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차단막대(3)가 고정철심(5)의 단턱부(5a)에 걸려 이동이 제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시 반드시 차단막대(3)를 도면상 상방향에서 고정철심(5)의 구멍으로 끼워 조립한 후 가동철심(6), 스프링 받침(7), 요크(8), 바이메탈(9) 등의 조립 및 용접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가동철심(6), 스프링 받침(7), 요크(8) 바이메탈(9) 등의 부품이 먼저 조립된 후에는 차단막대(3)를 고정철심(5)의 구멍으로 끼워 조립할 수 없기 때문에 차단막대(3)의 조립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했다.
따라서 상기한 부품들의 조립 및 용접작업시 미리 조립되어 트립부 바디(4)의 하방으로 돌출된 차단막대(3)의 간섭에 의해 조립성이 떨어지고 용접 등의 공정에서 차단막대(3)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철심(5)에 단턱부(5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정철심(5)에 직경이 서로 다른 2단의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두차례에 걸쳐 구멍 가공을 해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순시 트립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차단막대를 고정철심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보빈내에 설치된 고정철심 및 가동철심과, 상기 고정철심의 구멍을 통해 트립부 바디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차단막대를 구비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대는 헤드부와 원기둥부로 이루어져 그 경계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트립부 바디에는 차단막대의 헤드부와 같은 형상의 차단막대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대의 걸림턱이 트립부 바디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순시 트립부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순시 트립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트립부 바디와 차단막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순시 트립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트립부 바디 5 : 고정철심
6 : 가동철심 13 : 차단막대
13a : 헤드부 13b : 원기둥부
14 : 걸림턱 15 : 차단막대 삽입공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트립부 바디와 차단막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순시 트립부의 단면도이다.
순시 트립부는 보빈(1)을 감싸고 있는 코일(2)과, 상기 보빈내에 설치되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철심(5)과, 상기 고정철심(5)에 기자력이 발생할 때 고정철심(5)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철심(6)과, 상기 가동철심에 연결되어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차단 막대(13)와, 상기 기구들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트립부 바디(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대(13)는 헤드부(13a)와 원기둥부(13b) 등 이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헤드부(13a)의 단면형상은 장방형이나 타원형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3a)의 단면적은 원기둥부(13b)의 단면적보다 커서 헤드부(13a)와 원기둥부(13b)의 경계부위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립부 바디(4)에는 차단막대(13)의 헤드부(13a)와 같은 형상의 차단막대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철심(5)에는 상기 차단막대(13)의 헤드부(13a)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헤드부(13a)의 장변보다 큰 직경의 원형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차단막대(13)에 원형이 아닌 임의 형상의 헤드부(13a)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트립부 바디(4)에 헤드부(13a)와 같은 형상의 차단막대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고정철심(5)에는 상기 헤드부(13a)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구멍(5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순시 트립부의 각 부품을 완전히 조립 및 용접한 후에도 차단막대(13)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보빈(1). 코일(2), 고정철심(5),가동철심(6), 스프링 받침(7), 요크(8) 바이메탈(9) 등의 부품을 먼저 조립 및 용접한 상태에서 차단막대(13)의 헤드부(13a)를 도면상 하방으로부터 트립부 바디(4)에 형성된 차단막대 삽입공(15)으로 끼운 후 차단막대(13)를 회전시켜 주면 차단막대(13)의 헤드부(13a)와 원기둥부(13b)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걸림턱(14)이 트립부 바디(4)에 걸려 지지되므로 차단막대(13)는 트립부 바디(4)의 차단막대 삽입공(15)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 차단막대(13)의 형성된 헤드부(13a)는 고정철심(5)에 형성된 원형구멍(5b)내에 위치하므로 차단막대(13)는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트립부의 조립시 차단막대를 우선적으로 조립한 후다른 부품들을 조립하여야 하는 종래 장치와는 달리 차단막대를 나중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막대의 간섭으로 인한 조립성의 저하와 조립과정에서의 차단막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번의 작업으로 고정철심의 구멍을 가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간소화 된다.

Claims (1)

  1. 보빈을 감싸고 있는 코알과, 상기 보빈내에 설치되어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철심과, 상기 고정철심에 기자력이 발생할 때 고정철심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철심과, 상기 가동철심에 연결되어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차단막대와, 상기 기구들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트립부 바디로 구성된 슨시 트립부를 포함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대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헤드부와 원기둥부로 이루어져 그 경계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트립부 바디에는 차단막대의 헤드부와 같은 형상의 차단막대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대의 걸림턱이 트립부 바디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KR20-2002-0038314U 2002-12-24 2002-12-24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KR200308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314U KR200308133Y1 (ko) 2002-12-24 2002-12-24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314U KR200308133Y1 (ko) 2002-12-24 2002-12-24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33Y1 true KR200308133Y1 (ko) 2003-03-19

Family

ID=4933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314U KR200308133Y1 (ko) 2002-12-24 2002-12-24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1887B1 (en) Electromagnetic trip device
CN103681133A (zh) 开关机构以及机电的保护开关设备
JP2002324469A (ja) 接触器、および接点の溶着を防止する方法
KR100479437B1 (ko) 배선용 차단기
US20080289938A1 (en) Reduced material plug-on jaw with symmetrical spring for a circuit breaker
US5894257A (en) Electromagnetic trip for an electrical apparatus for protection
EP0181103B1 (en) Circuit breaker
KR200308133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차단막대 조립장치
US6628185B2 (en) Blad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4949060A (en) Fuse-isolator - actuator
KR20150029165A (ko) 차단기
KR100493402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접촉자 구조
KR100510714B1 (ko) 차단기의 트립기구부 구조
JPH04230916A (ja) 負荷スイッチまたは負荷遮断スイッチおよびヒューズを有するスイッチング回路装置
KR200266485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US3206578A (en) Circuit breaker with adjustable third fluid flow time delay
KR200306214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가동 접점대 장치
CZ301277B6 (cs) Jho magnetického systému zkratového vypínacího zarízení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KR200309284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순시용 스프링 장력 조절장치
EA003756B1 (ru) Магнитное расцепля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и электрическ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средство
KR20000014595A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04874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구조
CN104867791B (zh) 具有稳定器元件的热磁断路器的磁脱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