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582Y1 - 자동식 소변기 - Google Patents

자동식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582Y1
KR200307582Y1 KR20-2002-0038080U KR20020038080U KR200307582Y1 KR 200307582 Y1 KR200307582 Y1 KR 200307582Y1 KR 20020038080 U KR20020038080 U KR 20020038080U KR 200307582 Y1 KR200307582 Y1 KR 200307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dirt
water supply
wat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화
Original Assignee
양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화 filed Critical 양성화
Priority to KR20-2002-0038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이 인입되는 소변인입구(12)와, 인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오물흡입구(18),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3),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구비하는 소변기(10)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챔버(22)와,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비하는 흡입부(20)와;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34)와, 상기 급수챔버(34) 내부의 물을 상기 소변기(10)에 공급하는 급수모터(32)를 구비하는 급수부(30)와; 그리고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30) 및 흡입부(2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 40')를 포함하는 자동식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식 소변기{Automatic urinal}
본 고안은 사람이 화장실에 가지 않고, 장소에 구애되지 않으면서, 절수와화장지를 사용할 필요 없이 비데와 건조가 자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식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식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기 및 소변기는 대부분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노인이나 지체 장애자 등 지체부자유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랐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지체부자유자들의 경우 타인의 도움 없이는 변기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지체부자유자들의 용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특허공보 특95-7773호의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가 있다.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본건 고안의 고안자가 고안하여 특허등록 받은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에는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노약자나 환자 등이 앉거나 누워서 용변을 볼 때 소변 등의 오물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전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또한 엉덩이가 닿는 부분 즉, 변기의 상부에 넓게 안 쪽으로 테를 두르고 돌아가면서 물헤더를 구비하며, 또한 변기 전면의 돌출부를 물헤더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헤더 밑에서 물이 변기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물 구멍이 뚫려 있고, 물이 가압호스와 연결튜브를 통하여 변기의 돌출부에 형성된 물헤더를 통해 변기 내부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물이 물 구멍을 통해 변기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배설물을 흐트리고, 배설물이 변기 바닥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오물 흡입관 쪽으로 밀어내어 흡입을 촉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설물이 바닥에 없게 되므로, 높이가 얕아도 용변에 불편이 없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그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서, 특히 지체부자유자들이 직접 상기 세척장치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대한 개량 고안에 해당된다.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또한 사람외에 동물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식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a,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소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급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제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소변기 12.....소변인입구
12a....소변기본체 12b....공기유도구
13.....급수구 13a....메인공기유로
13b....보조공기유로 15,16..공기구멍
18.....오물흡입구 20.....흡입부
21.....흡입배관 22.....오물챔버
23.....오물배출구 24.....1차흡입모터
25.....진공배관 25'....진공배관
26.....메인흡입모터 27.....수위조절부
27-1...공기흡입구 27-2...수위조절구
27-3...외부지지대 27-4...하부지지대
28.....격리판 28-1...격리판의 절곡된 부분
29.....필터부 30.....급수부
31.....급수배관 32.....급수모터
34.....급수챔버 35.....급수감지센서
36.....급수조절밸브 37.....온도조절부
40.....제어부 40'....제어부
42.....압력센서 42a....제1압력센서
42b....제2압력센서 43.....1차흡입모터 구동부
44.....급수모터 구동부 44'....급수모터 구동부
46.....메인흡입모터 구동부 46'....메인흡입모터 구동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는, 소변이 인입되는 소변인입구와, 인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오물흡입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구멍을 구비하는 소변기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와, 상기 소변기로부터 흡입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챔버와, 오물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오물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부와;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와, 상기 급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소변기에 공급하는 급수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급수부와; 그리고 상기 소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 및 흡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소변인입구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소변기본체와, 상기 소변기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도구와, 상기 소변기본체와 공기유도구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공기유로와, 상기 공기유도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기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보조공기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오물챔버의 내부에는, 인입되는 오물의 튐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리판은, 상측 단부가 절곡되고, 폭이 상기 오물챔버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오물챔버 내부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 및 메인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변기 내부에 발생되는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제1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1차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1차흡입모터 구동부와, 상기 소변기 내부에 오물이 인입되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2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 및 메인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는, 소변기(10), 흡입부(20), 제어부(40), 급수부(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변기(10)는 사용자가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소변기(10)에 인입된 소변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수부(30)는 상기 소변기(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흡입부(20) 및 급수부(30)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를 구성하는 상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a,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10)는, 소변 및 외부 공기가 인입되는 소변인입구(12)와, 인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오물흡입구(18),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3),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변인입구(12)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소변기본체(12a)와, 상기 소변기본체(12a)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도구(12b)와, 상기 소변기본체(12a)와 공기유도구(12b)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공기유로(13a)와, 상기 공기유도구(12b)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기유로(13a)와 연통되는 다수의 보조공기유로(13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소변인입구(12)의 표면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공기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소변인입구(12)를 형성하는 변기본체(12a)와 공기유도구(12b)의 상측에는, 상기 변기본체(12a)와 공기유도구(12b)를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공기구멍(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16)을 통해 소변인입구(1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 일부 공기는 직접 소변인입구(12) 내부로 들어가고, 나머지 공기는 상기 메인공기유로(13a)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보조공기유로(13b)를 통해 소변인입구(12)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1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변기(10)에는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와류 형성을 위한 외부 공기가 상기 소변기(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소변기로 유입되는 공기 중, 도면 부호 15의 공기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소변기(10) 내부로 직접 유입되고, 도면 부호 16의 공기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소변인입구(12)로 직접 유입되거나 상기 메인공기유로(13a)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공기유로(13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인공기유로(13a)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급수유도구(12b)에 형성된 보조공기유로(13b)를 따라서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기(10)에는 급수부(30)와 연결되는 급수구(1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급수구(13)를 통해 상기 소변기(10) 내로 물이 급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소변기(10) 내부로 인입되는 물은, 상기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소변기(10)에는 흡입부(20)와 연결되는 오물흡입구(1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소변인입구(12)(더욱 정확하게는 소변인입구(12)의 공기유도구(12b))를 통해 인입된 소변은, 유입된 공기 및 급수된 물과 함께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흡입부(2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변기(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부(2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소변기(10) 외부로 흡입되고, 그로 인해 상기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소변기(1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공기구멍(16)을 통해 소변인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일부의 공기는 메인공기유로(13a)를 따라서 이동한 후, 각 보조공기유로(13b)를 따라서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급수부(3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급수부(3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급수구(13)를 통해 소변기(10)로 공급된다. 상기급수구(13)를 통해 소변기(10) 또는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되는 물은, 상기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소변인입구(12)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사용자의 사타구니를 세척하는 기능, 즉 비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소변인입구(12) 내로 인입되는 오물이 보다 원활하게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외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통해 소변기(10)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는 기능 이외에, 세척된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위를 건조시키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변인입구(12) 내로 인입된 소변은, 와류를 형성하면서 급수되는 물과 함께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소변기(10) 외부로 배출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의 흡입부(20)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0)는 소변기(10)로부터 흡입한 소변 및 물 등의 오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물챔버(22)와, 흡입배관(21) 내부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오물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로 구성된다.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오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비어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오물챔버(22)는 오물흡입구(18)와 흡입배관(21)에 의해 소변기(10)와 연결되고, 상기 1차흡입모터(24) 및 메인흡입모터(26)와 각각 진공배관(25, 25')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오물챔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배관(21)과 연통되는 오물배출구(23)가 설치되고, 오물챔버(22)의 상부면에는 상기 메인흡입모터(26)와 오물챔버(22)를 연결하는 진공배관(25)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7-1)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또는 제어부의 자동 제어에 의해 상기 1차흡입모터(24)가 작동되면, 상기 소변기(1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구멍(15, 16) 및 소변인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소변기(10)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오물흡입구(18) 및 흡입배관(21)을 통해 소변기(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소변인입구(12)를 통해 소변기(10)에 소변을 배출하게 되면, 상기 소변기(1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변하면서 흡입배관(21) 내부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배관(21)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한 제어부(40)에 의해 메인흡입모터(26)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어부(40)에 의해 메인흡입모터(26)가 작동되면,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가 진공배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오물챔버(22)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면, 소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은, 급수구(13)를 통해 공급된 물과, 공기구멍(15, 16)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메인흡입모터(26)의 작동에 의해 오물흡입구(18), 흡입배관(21) 및 오물배출구(23)를 거쳐서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27-1)에는 오물의 흡입 방지와 냄새 제거를 위한 1차필터, 2차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29)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중 일부는 상기 1차흡입모터(24) 또는 메인흡입모터(26)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물챔버(22)의 상면에는 수위조절부(27)가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부(27)는 진공배관(25)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7-1)와, 상기 공기흡입구(27-1)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수위조절구(27-2), 상기 수위조절구(27-2)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7-4), 상기 수위조절구(27-2)를 둘러싸는 외부지지대(27-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구(27-2)는 부력이 있어서 물에 뜨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지지대(27-3) 및 하부지지대(27-4)는 물이 상기 수위조절부(27) 내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오물챔버(22)에 소변기(10)로부터 흡입된 오물 중 액상 오물이 수위조절부(27)의 하부지지대(27-4)의 높이 만큼 차게 되면, 상기 수위조절구(27-2)가 부력에 의해 인입된 상기 액상 오물에 뜨게 되고, 상기 액상 오물이 계속해서 차오름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구(27-2)도 점점 올라가서, 결국 수위조절구(27-2)가 상기 수위조절부(27) 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구(27-2)가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되면, 더이상 메인흡입모터(26)가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는 더 이상 진공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소변기(10)로부터 오물이 더 이상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수위조절부(27)는 오물챔버(22)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서 수위조절부(27)에 의해 흡입부(20)가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에는, 상기 오물챔버(22)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배출시키면, 흡입부(20)가 원래의 기능을 다시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격리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리판(28)은 오물챔버(22) 내로 인입되는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오물이 상기 공기흡입구(2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오물이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될 때, 오물챔버(22) 내로 인입되는 오물은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서 튀어오르게 된다. 만일, 상기 격리판(28)이 오물챔버(22) 내에 설치되지 않게 되면, 상기 튀어오르는 오물 중 일부는 상기 공기흡입구(27-1)를 통해 오물챔버(22)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물챔버(22) 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격리판(28)으로 인해, 오물이 튀어올라도 상기 격리판(28)에 부딪힌 후 다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격리판(28)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28)은 오물챔버(22) 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리판(28)의 상측 끝부분은 "ㄱ"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격리판(28)의 절곡된 모서리 부분은 오물챔버(22)의 덮개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격리판(28)의 모서리 부분과 오물챔버(22)의 덮개 사이에는 약간의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틈 사이로는 공기만 지나갈 수 있고, 물은 지나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오물챔버(22)로 인입되어 바닥면에 부딪혀서 튀어오른 오물은, 상기 격리판의 절곡된 부분(28-1)에 막혀서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격리판(28)의 폭이 오물챔버(22)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면상에서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저장되는 오물 중 액상 오물은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격리판(28)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배출구(23)가 오물챔버(22) 내에서 오물챔버(22)의 벽 방향으로 휘어져 있어서, 소변기(10)로부터 흡입된 오물은 상기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로 인입되면서, 오물챔버(22)의 벽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물챔버(22)의 벽면에 부딪힌 오물 중 일부는 그 점도로 인해 벽면을 타고 오물챔버(22)의 바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물챔버(22)의 벽에 부딪혀서 튕긴 나머지 오물은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 부딪힌 후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서 튕긴 오물은 격리판(28)에 부딪혀서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오물은 오물챔버(22)의 바닥면(도면상에서 오물챔버의 우하단 공간)에 쌓이게 되고, 그 중에서 공기는 분리되어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 및 격리판(28)의 상측 모서리 부분과 오물챔버(22)의 덮개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한 후 공기흡입구(27-1)로 흡입된다.
한편, 소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을 흡입할 때에는, 상기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한 강력한 공기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됨으로써,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이 밀착되어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아서, 도면상에서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으로 인입되는 오물은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오물이 전부 오물챔버(22) 내부로 인입되면,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한 공기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어, 다시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상기 틈을 통해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쌓인 오물 중 액상 부분이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여, 오물챔버(22)의 좌우 공간에는 액상 부분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에 저장되는 액상 오물이 쌓여서 상기 수위조절부(27)에 이르게 되면, 상기와 같은 수위조절부(27)의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흡입부(2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소변기(10)를 사용할 때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시작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제어부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의 급수부(30)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30)는 급수챔버(34)와 급수모터(32)로 구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챔버(34) 및 급수모터(32) 외에, 상기급수챔버(34) 내에 저장된 물이 충분한지를 감지하는 급수감지센서(35)와, 급수모터(32)의 작동을 제어하고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급수조절밸브(36), 그리고 소변기(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온도조절부(3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챔버(34)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급수챔버(34)는 상기 소변기(10)와 급수배관(31)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챔버(34)에 저장된 물은 급수모터(32)에 의해서 퍼올려져서 급수배관(31)을 따라 소변기(1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물은 급수구(13)를 통해 소변기(10)의 내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챔버(34) 내에 설치된 급수감지센서(35)는 급수챔버(34) 내에 저장된 물이 충분한지를 감지하고, 만일 저장된 물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고 급수부(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급수감지센서(35)의 동작은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모터(32)에 연결 설치된 급수조절밸브(36)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급수모터(32)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기능과, 또한 급수부(30)의 기능이 정지되었을 때 급수배관(31)을 따라 이동하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배관(31)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37)가 상기 급수부(30)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의 제어부(40)에 대한 일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압력센서(42)와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42)는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되어,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변기의 사용을 위해 수작업을 통해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작동시키게 되면, 소변기(1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구멍(15, 16) 및 소변인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소변기(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통해 소변기(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1차흡입모터(24)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 밀착시키거나 오물이 소변기(10) 내부로 인입되면, 소변기(1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달라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이 양이 달라져서, 상기 배관(21, 25, 25')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소변기(10)의 사용으로 인해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 변화는 상기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는, 상기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되는 압력센서(42)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소변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화가 압력센서(42)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42)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구동부(4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를 직접 구동시키거나, 또는 급수조절밸브(36)를 통해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급수부(30)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켜서 소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나의 압력센서(42)에 의해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력센서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압력센서(42), 급수모터 구동부(44),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의 제어 외에도, 급수감지센서(35)를 제어하여 급수챔버(34)에 저장된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37)를 제어하여 소변기(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수작업으로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키면, 소변기(1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구멍(15, 16) 및 소변인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소변기(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구멍(16)를 통해 소변인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는, 소변기본체(12a)와 공기유도구(12b) 사이에 형성된 메인공기유로(13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공기유로(13a)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유도구(12b)에 형성된 다수의보조공기유로(13b)를 따라서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보조공기유로(13b)를 통해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는, 급수구를 통해 소변기 내로 공급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 밀착시키거나 오물이 소변인입구(12) 내부로 인입되면,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된 제어부(40)의 압력센서(42)에 의해 상기 압력 변화가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센서(42)에 의해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42)에 연결 설치된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소변기(1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고, 상기 메인흡입모터(26)는 오물챔버(22)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소변기(10)로 인입된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모터(32)가 구동되면, 급수챔버(34) 내부에 저장된 물이 급수배관(31)을 통해 소변기(10)로 이동한 후, 급수구(13)를 통해 소변기(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공기구멍(16)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공급되는 물은, 비데와 같은 세척 기능과 함께, 소변기(10) 내부의 오물이 보다 원활하게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배출된 오물은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해 흡입배관(21)을 거쳐서 오물챔버(22)로 이동된다.
그리고, 흡입배관(21)을 통해 이동한 오물은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로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오물은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 쌓이는 오물은 격리판(28)에 의해 튀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하단 공간에 쌓이는 오물 중 액상 오물은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 상기 오물챔버(22)의 좌상단에 저장되는 액상 오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액상 오물의 표면이 오물챔버(22)에 설치된 수위조절부(27)에 이르게 되면, 수위조절부(27)의 수위조절구(27-2)가 상기 액상 오물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수위조절구(27-2)가 상승하여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되면, 더 이상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가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해 흡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오물챔버(22)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지 않으면, 소변기(10)로 인입되는 오물도 더 이상 오물챔버(22)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오물챔버(22)에 저장되는 오물의 양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수부(3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소변기(10) 내부로 인입된 오물이 오물챔버(22)로 흡입되어 더 이상 오물이 오물흡입구(18)를 막지 않게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서 떼어내게 되면, 진공배관(25,2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급수부(30)가 동작하기 전의 압력 상태로 회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력 변화를 감지한 압력센서(42)가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모터(32)의 구동을 중단시켜서 급수챔버(34)의 물이 소변기(10)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메인흡입모터(26)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사용자의 용변이 끝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끝낸 후 1차흡입모터(2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의 과정은 중단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의 제어부(4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제1압력센서(42a)와 1차흡입모터 구동부(43), 제2압력센서(42b)와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력센서(42a)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컨데 소변기(10)에 사용자가 소변을 배출했을 때 발생하는 소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 또는 사용자가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 밀착시켰을 때 발생하는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상기 제1압력센서(42a)와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압력센서(42a)가 소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압력센서(42a)가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를 작동시키면,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켜서 흡입부(2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압력센서(42b)는, 오물로 인해 소변기(10)에 설치된 오물흡입구(18)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혔을 때처럼, 상대적으로 제1압력센서(42a)에 비해 큰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압력센서(42b)에 의해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작동되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급수부(30)를 동작시키며,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켜서 오물챔버(22)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흡입모터(26)의 작동에 의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면, 소변기(10) 내부로 인입된 오물은 흡입배관(21)을 거쳐서 오물챔버(2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각각 별도의 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1압력센서(42a)와 제2압력센서(42b)가 어느 정도의 압력 변화에 대해 감지할 것인가는 정해져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값을 미리 설정하여,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가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각 압력센서(42a, 42b)가 그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작동에 있어서, 소변기(10)와, 흡입부(20), 그리고 급수부(30)의 작용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언급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그 구성이다른 제어부(40')의 작용을 중심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소변기(10)를 사타구니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소변기(10)에 소변을 배출시키게 되면, 제어부(40')의 제1압력센서(42a)가 소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를 작동시키고, 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켜서 흡입부(20)를 동작시키게 된다. 흡입부(20)의 작동 중에 오물이 소변기(10) 내부로 인입되어 더 큰 압력변화가 발생하면, 그 때의 압력 변화를 제어부(40')의 제2압력센서(42b)가 감지하여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 및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압력센서(42a)와 제2압력센서(42b)는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계속해서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상기 1차흡입모터(24)와 급수모터(32), 그리고 메인흡입모터(26)의 동작도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변을 보기 위해 별도의 동작을 요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소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옷을 벗지 않고서도 본 고안에 따른 소변기를 사용하여 용변을 간단하게 볼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는 운전 중에도 용변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소변기에 의하면, 흡입과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소변이 인입되는 소변인입구(12)와, 인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오물흡입구(18),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3),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구멍(15, 16)을 구비하는 소변기(10)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상기 소변기(10)로부터 흡입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챔버(22)와, 오물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비하고, 상기 오물흡입구(18)와 연결되는 흡입부(20)와;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34)와, 상기 급수챔버(34) 내부의 물을 상기 소변기(10)에 공급하는 급수모터(32)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13)와 연결되는 급수부(30)와; 그리고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30) 및 흡입부(2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 40')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인입구(12)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소변기본체(12a)와, 상기 소변기본체(12a)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도구(12b)와, 상기 소변기본체(12a)와 공기유도구(12b)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공기유로(13a)와, 상기 공기유도구(12b)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기유로(13a)와 연통되는 다수의 보조공기유로(1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인입되는 오물의 튐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28)은, 상측 단부가 절곡되고, 폭이 상기 오물챔버(22)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오물챔버(22) 내부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42)와,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32)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변기(10) 내부에 발생하는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42a)와, 상기 제1압력센서(42a)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키는 1차흡입모터 구동부(43)와, 상기 소변기(10) 내부에 오물이 인입되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42b)와, 상기 제2압력센서(42b)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32)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변기.
KR20-2002-0038080U 2002-12-23 2002-12-23 자동식 소변기 KR200307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080U KR200307582Y1 (ko) 2002-12-23 2002-12-23 자동식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080U KR200307582Y1 (ko) 2002-12-23 2002-12-23 자동식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582Y1 true KR200307582Y1 (ko) 2003-03-17

Family

ID=4940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080U KR200307582Y1 (ko) 2002-12-23 2002-12-23 자동식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67A (ko) * 2017-02-08 2018-08-17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67A (ko) * 2017-02-08 2018-08-17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2047781B1 (ko) * 2017-02-08 2019-11-22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7103A (ja) 患者のケア,維持および治療で生ずる汚物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20090235441A1 (en) Automatic Control and Battery Power Supply
KR200451717Y1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EP0953689A1 (en) Water closet and nursing bed device with same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0307582Y1 (ko) 자동식 소변기
KR101358493B1 (ko) 소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0520880B1 (ko) 자동식 변기
JP2008132237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WO2015199509A1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100520879B1 (ko) 자동식 변기
JP2008149042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200307244Y1 (ko) 자동식 크리너
JP2022001710A (ja) 「跳ね返り水の無い、臭い止め構造」を有する排便アシスト吸引式水洗トイレシステム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JP3104064B1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120117449A (ko) 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