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349Y1 - 장신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349Y1
KR200307349Y1 KR20-2002-0036764U KR20020036764U KR200307349Y1 KR 200307349 Y1 KR200307349 Y1 KR 200307349Y1 KR 20020036764 U KR20020036764 U KR 20020036764U KR 200307349 Y1 KR200307349 Y1 KR 20030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s
housing
magnet
hook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빈
Original Assignee
임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빈 filed Critical 임명빈
Priority to KR20-2002-0036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한 신변 장신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합시에 자석의 표면 간의 완전한 접촉, 접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신구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하우징(11,12)과, 각 하우징(11,12)에 삽입되는 자석(13,14)으로 이루어 진 것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11,12)의 단부면에는 걸고리(16)가 형성되고, 선택된 어느 일측 하우징(12)은 그 개구부에 수용 플랜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목걸이, 팔ㆍ발찌 기타 신변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수단으로서 자석을 이용한 장신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체결형 연결장치는 그 조작이 번거로워, 최근에는 자석을 이용한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장신구 연결장치로서 자석을 이용한 것을 예시한다.
도 1(a)에 따르면, 종래의 장신구 연결장치(1)는 서로 분리 형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2,2')과, 각 하우징(2,2')에 삽입되는 자석(3,3')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각 하우징(2,2')의 단부면에는 고리나 실, 체인 등이 연결되는 걸고리(4)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장치(1)는 각 하우징(2,2')에 삽입되어 있는 자석(3,3') 간의 자력에 의해 서로 접합 연결되며, 접합된 연결장치(1)는 각 하우징(2,2')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줌으로써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장치(1)는 자석(3)과 자석(3')의 표면 간의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 지지 않고 다소 어긋나게 접합되기 쉽다(도 1(b) 참조). 이 상태라면 자석(3,3') 간의 고유 자력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렵다. 한편으로는, 사용자 피부와의 마찰이 발생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1)는 각 하우징(2,2')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줌으로써 분리되는데((도 1(b) 화살표 참조), 이 때 걸고리(4) 및 그에 연결된 고리 등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 질 수가 있고, 결국 장신구 자체가 파손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접합시에 자석의 표면 간의 완전한 접촉, 접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신구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분리시에 제공된 힘이 원치 않는 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신구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 연결장치에 관한 도면으로, (a)는 분리 사시도, (b)는 접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장치의 접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부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결장치 11,12. 하우징
13,14. 자석 15. 플랜지부
16. 걸고리 17. 보호 커버
본 고안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하우징과, 각 하우징에 삽입되는 자석으로 이루어 진 것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의 단부면에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선택된 어느 일측 하우징은 그 개구부에 수용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그 내측으로 타측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자석이 끼워지는 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시에 서로 대향하여 접촉하는 자석들이 어긋남이 없이 전체적으로 면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하우징은 그 단부면 측으로 걸고리 보호 커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분리시에 제공된 힘이 걸고리 등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3에 따르면, 본 연결장치(10)는 서로 분리 형성된 두 개의 하우징(11,12)과, 각 하우징(11,12)에 삽입되는 자석(13,14)으로 이루어 진다. 본 장치(10)의 연결 및 분리는 상기 자석간의 자력에 의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하우징(11,12)의 단부면에는 고리, 실, 체인 등이 걸려 체결되는 걸고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자석(13,14)은 강제 끼움방법으로 각 하우징(11,12)에 삽입된 것이나,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각 하우징(11,12)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이지만, 그 외의 형태 예를들어 사각, 육각 등의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11,12) 중 어느 일측 하우징(12)은 그 개구부에 수용 플랜지부(1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5)는 타측 하우징(11) 또는 그 하우징(11)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자석(13)이 끼워지는 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도 2는 상기 일측 하우징(12)의 플랜지부(15)에 타측 하우징(11)이 끼워진 것을 도시한다. 이 때, 플랜지부(15)의 내경은 적어도 타측 하우징(11)의 외경보다 크다. 한편, 도 3은는 상기 일측 하우징(12)의 플랜지부(15)에 타측 하우징(11)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자석(13)이 끼워진 것을 도시한다. 이 때, 플랜지부(15)의 내경은 적어도 타측 하우징(11)의 돌출된 자석(13)의 외경보다 크다.
도 2, 3의 구성에서, 상기 플랜지부(15)는 각 자석이 서로 어긋나게 접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석(13,14)의 표면 전체가 완전하게 면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 하우징(11,12)은 그 단부면 측으로 걸고리(16) 보호 커버(17)가 형성된다. 접합된 두 개의 하우징(11,12)을 서로 분리 할 때에는 각하우징(13,14)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공된 힘이 걸고리(16) 측으로 가해지면 걸고리(16) 및 그에 연결된 고리 등이 파손 될 우려가 많고, 나아가 장신구 자체가 파손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보호 커버(17)는 하우징(11,12) 분리시 걸고리(16) 보호를 위하여 유용하게 제공된다.
본 고안은 자석(13,14)이 삽입된 두 개의 하우징(11,12) 중 어느 일측(12)에 형성된 수용 플랜지부(15)로 인하여, 접합시에 자석(13,14) 표면 간의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하우징(11,12)의 단부면 측으로 보호 커버(17)를 형성함으로써, 분리시에 제공된 힘이 원치 않는 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로 분리된 두 개의 하우징(11,12)과, 각 하우징(11,12)에 삽입되는 자석(13,14)으로 이루어 진 것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11,12)의 단부면에는 걸고리(16)가 형성되고, 선택된 어느 일측 하우징(12)은 그 개구부에 타측 하우징(11) 또는 그 하우징(11)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자석(13)이 끼워지는 수용 플랜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하우징(11,12)은 그 단면부 측으로 걸고리(16) 보호 커버(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장치.
KR20-2002-0036764U 2002-12-09 2002-12-09 장신구 연결장치 KR20030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64U KR200307349Y1 (ko) 2002-12-09 2002-12-09 장신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764U KR200307349Y1 (ko) 2002-12-09 2002-12-09 장신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349Y1 true KR200307349Y1 (ko) 2003-03-15

Family

ID=4933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764U KR200307349Y1 (ko) 2002-12-09 2002-12-09 장신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775B1 (ko) 2011-04-12 2012-09-27 강성수 장신구용 연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775B1 (ko) 2011-04-12 2012-09-27 강성수 장신구용 연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152B2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EP1223354A3 (en) Fastener
WO2003093883A3 (de) Vorrichtung für eine glasfaserverbindung
USD479709S1 (en) Casing
USD561636S1 (en) Jewelry clasp
US20180020789A1 (en) Jewelry with Threaded Head and Improved Magnetic Assembly
EP1182371A3 (en) Tapered polygon coupling
CN209825417U (zh) 一种可拆卸穿戴设备
USD479585S1 (en) Plumbing fastener
USD481816S1 (en) Light
KR200307349Y1 (ko) 장신구 연결장치
WO2001042839A3 (en) Hermaphroditic connector systems
US5327499A (en) Safety device for a hearing aid
US20060123845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EP1477390A3 (en) Rotation sensor and coupling for rotation sensor
JPH10179219A (ja) 装身具用留金
JP3236038U (ja) ピアス
JP2005348796A (ja) 装飾用連結具
USD483580S1 (en) Commemorative display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407534Y1 (ko)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
KR101917035B1 (ko) 장신구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장신구
JP6828902B2 (ja) 留め具
AU4268501A (en) Pin, pluggable connection between the pin and a socket and use of the pin
USD497120S1 (en) Jewelry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