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939Y1 -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939Y1
KR200306939Y1 KR20-2002-0035400U KR20020035400U KR200306939Y1 KR 200306939 Y1 KR200306939 Y1 KR 200306939Y1 KR 20020035400 U KR20020035400 U KR 20020035400U KR 200306939 Y1 KR200306939 Y1 KR 200306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gear
tooth
b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호
Original Assignee
송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호 filed Critical 송진호
Priority to KR20-2002-0035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939Y1/ko
Priority to PCT/KR2003/002593 priority patent/WO2004048123A1/en
Priority to AU2003282445A priority patent/AU2003282445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2개의 볼펜심 중, 하나의 볼펜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으로 변환시키는 작동부를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필기도중 사용자 손의 자세를 크게 변환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쉽게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a ball-point pen to write possible of two color}
본 고안은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내부에 수용한 후, 볼펜심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하면서 2개의 색깔로 필기할 수 있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연필심의 흑연 성분이 필기압력에 의하여 필기면에 묻어 글씨가 써지도록 된 연필과, 필기할 때 펜 끝에 부착된 작은 볼이 지면과의 마찰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잉크를 뽑아내어 볼에 묻은 잉크가 종이에 전사(轉寫)되는 볼펜 또는 만년필 등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필기구는, 단색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를 한 후,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고자 할 경우는, 다른 색상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밑줄을 긋는다거나 덧쓰기를 하며, 형광펜을 이용하여 덧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다른 글씨와 구별시키기 위해 밑줄을 긋는다거나 덧쓰기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균일한 모양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글씨가 미려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집중력이 떨어져 학습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사용되는 필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상부몸체(11)의 내부에 2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된 지지부재(20)를 고정시키고, 이 관통공(21)의 내부로 색깔이 다른 검정색과 빨간색의 볼펜심을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하여 지지부재(20)의 상부로 돌출시킨다.
이렇게 돌출된 검정색과 빨간색의 볼펜심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스프링(30)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지지부재(20)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각각의 볼펜심을 가압하며 걸림돌기(41)가 돌출된 가압부재(40)를 볼펜심의 내부에 결합하여 상부몸체(11)의 상면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부몸체(11)의 하부에서 상부로 하부몸체(12)를 끼워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면 필기구(10)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근래의 필기구는, 색깔이 다른 볼펜심을 사용하도록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압부재가 필기구의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색깔이 다른 볼펜심으로 전환하려고 할 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전환시키므로 손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신속한 변환이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필기도중 사용자 손의 자세를 크게 변환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쉽게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2개의 볼펜심 중, 하나의 볼펜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으로 변환시키는 작동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볼펜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검은색의 볼펜을 사용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빨간색의 볼펜을 사용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몸체
113: 안착홈 114: 멈춤공
115: 슬라이드홈 120: 상부캡
130: 하부캡 200: 작동부
210: 원형기어 220: 제1평형기어
230: 제2평형기어 240: 스토퍼
250: 변환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0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 2개의 볼펜심 중, 하나의 볼펜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으로 변환시키는 작동부(2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가 관통되고, 상.하부에 나사산(111)(112)이 형성되며, 상면에 안착홈(113)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13)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4개의 멈춤공(114)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다단으로 슬라이드홈(115)이 형성된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 나사산(111)에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121)이 형성되는 상부캡(1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나사산(112)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하부캡(13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되며 외주연에 톱니(211)가 형성되는 원형기어(210)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기어(210)의 톱니(211) 일측에 밀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톱니(221)가 형성되며, 이 톱니(221)의 하단부에 고정돌기(222)가 돌출되고, 저면에 볼펜심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돌기(223)가 형성된 제1평형기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형기어(210)의 톱니(211) 타측에 밀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톱니(231)가 형성되고, 저면에 볼펜심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돌기(232)가 형성된 제2평형기어(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평형기어(220)의 고정돌기(222)에 결합되는 고정공(241)이 관통되고, 이 고정공(241)의 하단에 결합돌기(243)가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편(242)이 대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2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가 끼워지도록 경사지게 안내공(252)이 관통된 안내구(25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25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15)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연결대(253)가 형성되고, 이 연결대(253)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15)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조절손잡이(254)가 형성된 변환부재(250)가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은색 볼펜심(B)과 빨간색 볼펜심(R)을 제1,2평형기어(220)(230)의 끼움돌기(223)(232)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평형기어(220)의 고정돌기(222)에 스토퍼(240)의 고정공(241)을 고정시킨 후, 제1,2평형기어(220)(230)의 톱니(221)(231)를 마주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에 변환부재(250)의 안내구(251)를 밀착시켜 안내공(25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케이스(100)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한 스토퍼(240)는, 탄성편(242)의 탄성에 의해 몸체(1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240)가 일정 거리 상부로 이동하여 결합돌기(243)(243a)가 몸체(110)의 멈춤공(114b)(114a)에 걸려 고정되면, 안내구(251)의 안내공(252)이 결합돌기(243)(243a)을 가압하여 멈춤공(114b)(114a)에서 이탈시키고,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는 안내공(252)에 끼워진 상태로 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멈춤공(114c)(114b)의 후방에 위치한 후, 탄성편(242)의 탄성에 의해 멈춤공(114b)(114a)에 결합시킨다.
이때, 변환부재(250)의 조절손잡이(254)는, 슬라이드홈(115)의 하단부를 통해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시켜 슬라이드홈(115)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a)(243)가 멈춤공(114b)(114c)에서 이탈되어 멈춤공(114c)(114d)에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a)(243)가 멈춤공(114c)(114d)에 고정되면, 제1,2평형기어(210)(220)는 몸체(110)의 상단부로 돌출되고, 제1,2평형기어(210)(220)의 톱니(221)(231)의 중앙에 원형기어(210)가 위치하도록 톱니(211)를 맞물려 몸체(110)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안내구(251)의 안내공(252)이 결합돌기(243)(243a)을 가압하여 멈춤공(114d)(114c)에서 이탈되어 하부로 이동하여 원형기어(210)가 안착홈(113)에 안착된다.
이때,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는, 멈춤공(114c)(114b)에 고정되며, 작동부(2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동부(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몸체(110)의 나사산(111)에 상부캡(120)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캡(120)의 걸림턱(121)이 몸체(110)의 상면을 밀착하여 원형돌기(210)가 안착홈(113)에서 유동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2)에 하부캡(130)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면, 케이스(1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장착된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검은색의 볼펜심(B)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재(250)의 조절손잡이(254)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홈(115)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면, 안내구(251)의 안내공(252)이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를 가압하여 멈춤공(114c)(114b)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는 안내공(252)에 끼워진 상태로 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멈춤공(114b)(114a)의 후방에 위치한 후, 탄성편(242)의 탄성에 의해 멈춤공(114b)(114a)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스토퍼(240)에 연결된 제1평형기어(22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제1평형기어(220)의 톱니(221)에 결합된 원형기어(21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린 톱니(231)가 상부로 이동하여 제2평형기어(23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평형기어(220)의 끼움돌기(223)에 결합된 검은색 볼펜심(B)의 단부는, 하부캡(130)의 관통공(131)을 통해 돌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검은색 볼펜심(B)으로 글씨를 필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빨간색의 볼펜심(R)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재(250)의 조절손잡이(254)를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홈(115)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안내구(251)의 안내공(252)이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를 가압하여 멈춤공(114c)(114b)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243a)는 안내공(252)에 끼워진 상태로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멈춤공(114d)(114c)의 후방에 위치한 후, 탄성편(242)의 탄성에 의해 멈춤공(114d)(114c)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스토퍼(240)에 연결된 제1평형기어(220)가 상부로 이동하면, 제1평형기어(220)의 톱니(221)에 결합된 원형기어(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린 톱니(231)가 하부로 이동하여 제2평형기어(23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평형기어(230)의 끼움돌기(232)에 결합된 빨간색 볼펜심(R)의 단부는, 하부캡(130)의 관통공(131)을 통해 돌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빨간색 볼펜심(R)으로 글씨를 필기하거나 밑줄을 그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기도중 사용자 손의 자세를 크게 변환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쉽게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색깔이 다른 2개의 볼펜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 2개의 볼펜심 중, 하나의 볼펜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으로 변환시키는 작동부(2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2개의 볼펜심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하부에 나사산(111)(112)이 형성되며, 상면에 안착홈(113)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13)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된 4개의 멈춤공(114)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다단으로 슬라이드홈(115)이 형성된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 나사산(111)에 결합되며 내부에 걸림턱(121)이 형성되는 상부캡(1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나사산(112)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하부캡(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되며 외주연에 톱니(211)가 형성되는원형기어(210)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기어(210)의 톱니(211) 일측에 밀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톱니(221)가 형성되며, 이 톱니(221)의 하단부에 고정돌기(222)가 돌출되고, 저면에 볼펜심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돌기(223)가 형성된 제1평형기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형기어(210)의 톱니(211) 타측에 밀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톱니(231)가 형성되고, 저면에 볼펜심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돌기(232)가 형성된 제2평형기어(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평형기어(220)의 고정돌기(222)에 결합되는 고정공(241)이 관통되고, 이 고정공(241)의 하단에 결합돌기(243)가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편(242)이 대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240)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240)의 결합돌기(243)가 끼워지도록 경사지게 안내공(252)이 관통된 안내구(25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25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15)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연결대(253)가 형성되고, 이 연결대(253)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15)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조절손잡이(254)가 형성된 변환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KR20-2002-0035400U 2002-11-27 2002-11-27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KR200306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00U KR200306939Y1 (ko) 2002-11-27 2002-11-27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PCT/KR2003/002593 WO2004048123A1 (en) 2002-11-27 2003-11-27 Ball point pen with two available colors
AU2003282445A AU2003282445A1 (en) 2002-11-27 2003-11-27 Ball point pen with two available col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00U KR200306939Y1 (ko) 2002-11-27 2002-11-27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939Y1 true KR200306939Y1 (ko) 2003-03-11

Family

ID=3238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00U KR200306939Y1 (ko) 2002-11-27 2002-11-27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6939Y1 (ko)
AU (1) AU2003282445A1 (ko)
WO (1) WO2004048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8694B2 (ja) * 2018-05-24 2022-05-17 ミクロ株式会社 回転式繰り出し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6195A (ja) * 1993-05-10 1994-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多色ボールペン
JP2000108585A (ja) * 1998-10-01 2000-04-18 Chuichi Nagashiba 複数色ボ−ルペ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2445A1 (en) 2004-06-18
WO2004048123A1 (en)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983B2 (en)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KR20030089413A (ko) 필기구
KR200468556Y1 (ko) 형광펜을 갖는 2색 볼펜
US20080226378A1 (en) Multi-function combination pen
KR200306939Y1 (ko) 2가지 색깔의 필기가 가능한 필기구
RU2350475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иш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101069452B1 (ko) 악필교정용 필기구
KR102091564B1 (ko) 커터날을 포함하는 출몰식 필기구
US6095706A (en)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KR100283740B1 (ko) 손가락 착탈식 필기구
JP2009029028A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50080080A (ko) 쉬트 디스펜서가 구비된 필기구
US3251344A (en) Writing utensil
JP6227902B2 (ja) 筆記具
JPH0756229Y2 (ja) 筆記具
WO2023108592A1 (zh) 具有多节式芯体的自动记号工具
JPS6347511Y2 (ko)
KR200153218Y1 (ko) 필기구
KR200414278Y1 (ko) 터치팁을 구비한 볼펜 구조.
JP3090550U (ja) 複合筆記具
JP2005131968A (ja) 軸の連結構造
CN104669853A (zh) 一种带有修正带的笔
US20040001737A1 (en) Pen with multiple writ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