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00Y1 -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00Y1
KR200306600Y1 KR20-2002-0037855U KR20020037855U KR200306600Y1 KR 200306600 Y1 KR200306600 Y1 KR 200306600Y1 KR 20020037855 U KR20020037855 U KR 20020037855U KR 200306600 Y1 KR200306600 Y1 KR 200306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ressure
pot lid
hol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00Y1/ko
Priority to CN 03119263 priority patent/CN1233290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솥과, 상기 내솥을 덮어 취사시 상기 내솥 내부에 압력공간을 형성하며, 내솥뚜껑통공을 구비하는 내솥뚜껑과,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개방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압력을 외기로 배출하는 사용압력조정장치와,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개방 상태를 가져 상기 내솥 내의 증기를 외기로 배출하되, 전기적 신호에 따라 폐쇄되는 자동증기배출장치와,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 및 자동증기압력배출장치와 공히 연결 소통되면서 상기 내솥뚜껑통공 직상에 형성되는 공동배출로와, 상기 내솥뚜껑 내측면에서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내솥 내측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상기 공동배출로를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공간을 밀폐시키는 안전실링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Internal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안전성과 소비자 사용 편의성을 구비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밥솥에서 취사시 발생하는 소정 이상의 내솥 내의 내압은, 사용압력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외기로 배출한다. 통상, 이러한 사용압력조정장치의 구조는, 압력추를 사용하는 외장형과 스프링을 사용하는 내장형으로 나누어진다.
도1a 및 1b는 외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구
성을 보여주는데, 도 1a에서 압력추(3)가 압력조정밸브(4) 위에 올려져 있는 경우를 보여주고, 도 1b에서는 내솥뚜껑(8)에 형성된 배출구 등이 막혔을 경우 그 대처 수단으로 압력추(3)를 압력조정밸브(4)로부터 제거한 후 안전핀(19)을 사용하여 배출구 등을 뚫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외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는 취사시 발생하는 내솥 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장착된 압력추(3)의 무게로 조절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솥 뚜껑(8)에 형성된 배출구가 막히거나 압력조정밸브(4) 배출로가 막히거나 또는 자동증기배출장치의 작동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압력추(3)를 제거하고 안전핀(19)으로 배출구 및 배출로의 막힌 곳을 뚫어 내솥(10) 내부의 증기를 외기로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a 및 1b에서와 같은 압력추(3)를 이용한 외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는 동작 소음이 야기되고 외관상 기계적 느낌을 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품 내부에서 사용압력을 조정하는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13)가 제안되었고, 도 2는 이러한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13)가 적용된 종래의 또 다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전기압력밥솥은 전기압력밥솥의 힌지결합된 뚜껑을 형성하는 외뚜껑(7) 및 내뚜껑(9)과, 상기 외뚜껑(7)의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뚜껑이 닫히는 경우 내솥(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내솥뚜껑(8)과, 상향개구된 통 형상을 갖는 내솥(10)을 포함한다. 도면번호 12 및 12a는 각각 증기배출캡과 증기배출캡 통공을 표시한다.
내솥뚜껑(8)에는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13)가 설치되는데,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내솥(1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내솥(10) 내부가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증기의 배출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증기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하우징의 내부에서 증기의 배출로를 차단하도록 밸브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내솥(10) 내부 압력이 소정 이상 상승하게 되면 내부 압력에 의하여 사용압력조정장치(13)의 밸브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되고, 이에 따라 사용압력조정장치(13)가 개방되면서 내솥(1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증기가 배출로 내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 이하로 하강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다시 폐쇄된다.
또한, 내솥뚜껑(8)에는 통상 솔레노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자동증기배출장치(1)가 설치된다. 자동증기배출장치(1)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시 개방 상태를 가지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스프링 탄성력에 저항하여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취사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취사 도중 내솥(1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개방되어 내솥(10) 내부는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 동안 밥이 뜸들여진다. 밥이 알맞게 뜸들여진 후에 자동증기배출장치(1)의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며, 이에 의하여 스프링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증기배출장치(1)가 개방되어 내솥(10) 내부의 증기를 외기로 배출한다.
또한, 내솥뚜껑(8)에는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가 설치된다.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내솥(10) 내부의 압력이 사용압력조정장치(13)의 개방 압력보다 큰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그 압력에 의하여 스프링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방되어 내솥(10) 내의 증기압력을 내솥뚜껑(8)과 내솥뚜껑커버(9) 사이로 배출한다. 이러한,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는 내솥뚜껑(8)에 형성된 배출구가 막히거나, 사용압력조정장치(13) 및 자동증기압력배출장치가 어떤 이상에 의하여 작동되지 않는 경우, 내솥(10)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하여 내솥(10)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의 스프링은 사용압력조정장치(13)의 스프링보다 큰 스프링력을 가진다.
상기 도 2의 전기압력밥솥은 도 1a 및 1b의 전기압력밥솥에 비하여 동작소음 저감성능이 우수함과 아울러 미감상 소비자 선호도면에서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내솥뚜껑(8)에 형성되는 배출구의 막힘 또는 자동증기배출장치(1), 사용압력조정장치(13) 및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의 작동 불능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증기 배출 수단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소비자가 외뚜껑(7)을 강제로 개방할 경우 안전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동
작 소음 저감 성능이 우수함과 아울러, 미감상 소비자 선호도 면에서 우수한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가 적용된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면서도, 별도의 비상 증기배출수단을 제공하여 외뚜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안전성 및 제품신뢰도를 높인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a 및 1b는 외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은 압력추(3)가 압력조정밸브(4) 위에 올려져 있는 경우를 보여주고, 도 1b는 내솥뚜껑(8)에 형성된 배출구 등이 막혔을 경우 그 대처 수단으로 압력추(3)를 압력조정밸브(4)로부터 제거한 후 안전핀(19)을 사용하여 배출구 등을 뚫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또 다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안전실링패킹(17)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 4b는 안전핀(19)으로 안전실링패킹(17)을 밀어 안전실링패킹(17)이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증기배출장치 7: 외뚜껑
8: 내솥뚜껑 8a: 내솥뚜껑통공
8b: 패킹고정구멍 10: 내솥
12: 증기배출캡 13: 사용압력조정장치
14: 바디부 14a: 증기배출로
14b: 패킹고정부 15: 커버부
16: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 17: 안전실링패킹
17a: 삽입부 17b: 걸림부
18: 공동배출로 19: 안전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솥과, 상기 내솥을 덮어 취사시 상기 내솥 내부에 압력공간을 형성하며, 내솥뚜껑통공을 구비하는 내솥뚜껑과,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개방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압력을 외기로 배출하는 사용압력조정장치와,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개방 상태를 가져 상기 내솥 내의 증기를 외기로 배출하되, 전기적 신호에 따라 폐쇄되는 자동증기배출장치와,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 및 자동증기압력배출장치와 공히 연결 소통되면서 상기 내솥뚜껑통공 직상에 형성되는 공동배출로와, 상기 내솥뚜껑 내측면에서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내솥 내측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상기 공동배출로를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공간을 밀폐시키는 안전실링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력은,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을
내솥 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가해질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외력은, 외부로부터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접근 가능한 안전핀을 사용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솥뚜껑은 패킹고정구멍을 가지고, 상기 안전실링패킹은 돌출되어 상기 패킹고정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고정구멍의 외연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내솥뚜껑의 외측면에는 바디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그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상기 패킹고정구멍의 외연부에 밀어 상기 안전실링패킹을 위치 고정하는, 패킹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좋다.
아울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의 개방 압력보다 큰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개방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압력을 상기 내솥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내솥뚜껑의 외측면에는 바디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솥뚜껑의 내솥뚜껑통공과 소통되는 증기배출로를 구비하며, 상기 자동증기배출장치 및/또는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증기배출로는 상기 공동배출로 직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동배출로의 바깥에는 증기배출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압력조정장치(13), 자동증기배출장치(1) 및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가 일체로 장착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하여, 내솥뚜껑(8)의 외측면에는 바디부(14)가 고정 설치되고, 자동증기배출장치(1) 및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는 바디부(14)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커버부(15)가 사용압력조정장치(13)를 덮은 상태로 바디부(14)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사용압력조정장치(13)를 바디부(14)에 대하여 위치 고정한다.
도면부호 18은 공동배출로를 나타내고, 제 1 연결로(18a)를 통해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공동배출로(18)와 연결 소통되고, 제 2 연결로(18b)를 통해 자동증기배출장치(1)는 공동배출로(18)와 연결 소통되므로, 내솥(10) 내부로부터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13) 혹은 자동증기배출장치(1)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공히 공동배출로(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자동증기배출장치(1), 사용압력조정장치(13) 및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는 도 2에서와 같은 종래의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동증기배출장치(1)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시 개방 상태를 가져 외뚜껑(7) 닫음시 발생되는 내솥(10) 내부 압력을 제 2 연결로(18b), 공동배출로(18) 및 증기배출캡(12)의 통공(12a)을 거쳐 외기로 배출하되, 전기적 신호에 따라 폐쇄된다.
사용압력조정장치(13)는 내장형 구조의 것이 사용되는데, 스프링의 탄성력에의하여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내솥(10)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방되어 내솥(10) 내의 가압 증기를 제 1 연결로(18a), 공동배출로(18) 및 증기배출캡(12)의 통공(12a)을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내솥(10) 내부의 압력이 사용압력조정장치(13)의 개방 압력보다 큰 안전 증기 압력에 도달하면 내솥(10) 내부의 압력을 내솥뚜껑(8)과 내뚜껑(9) 사이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압력조정장치(13)의 작동 이상이 발생하거나 내솥뚜껑(8)에 형성되는 배출구가 막혀 증기를 배출시킬 수 없게 되더라도, 내솥(1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안전실링패킹(17)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 4b는 안전핀(19)으로 안전실링패킹(17)을 밀어 안전실링패킹(17)이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솥뚜껑(8)에는 내솥뚜껑통공(8a)이 형성되고, 내솥뚜껑(8) 내측면에는 안전실링패킹(17)이 내솥뚜껑통공(8a)를 덮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취사 및 조리시, 내솥뚜껑(8)에 설치된 안전실링패킹(17)은 발생되는 내부증기압력에 의해 내솥뚜껑(8)에 밀착되어 외부로의 증기 배출을 차단한다.
내솥뚜껑(8)에는 패킹고정구멍(8b)이 형성된다. 안전실링패킹(17)은 삽입부(17a)와 걸림부(17b)를 구비하는데, 삽입부(17a)는 돌출 형성되어 패킹고정구멍(8b)에 끼워지며, 걸림부(17b)는 삽입부(17a)의 끝단에 형성되어패킹고정구멍(8b)의 외연부에 걸림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17b)와 대응되는 위치의 바디부(14) 내측면에는 패킹고정부(14b)가 구비된다. 패킹고정부(14b)는 안전실링패킹(17)의 걸림부(17b)를 패킹고정구멍(8b)의 외연부에 밀어 안전실링패킹(17)을 위치 고정한다.
또한, 바디부(14)에는 증기배출로(14a)가 구비되는데, 증기배출로(14a)는 내솥뚜껑(8)의 내솥뚜껑통공(8a)의 외측에 형성되어 내솥뚜껑통공(8a)와 소통된다. 또한, 증기배출로(14a)의 직상으로 공동배출로(18)가 연결 소통된다. 또한, 공동배출로(18) 외측에는, 증기배출캡(12)이 외부로 노출되게 외뚜껑(7)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증기배출캡(12)에는 통공(12a)이 형성되어 공동배출로(18)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외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내솥뚜껑(8)에 형성된 배출구가 막히거나, 사용압력조정장치(13), 자동증기배출장치(1) 및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16)의 작동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배출캡(12)을 열고 안전핀(19)으로 내솥뚜껑(8)에 밀착된 안전실링패킹(17)을 밀어 내솥(10) 내부의 증기를 내솥뚜껑통공(8a), 증기배출로(14a) 및 공동배출로(18)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동작 소음 저감 성능이 우수함과 아울러, 미감상 소비자 선호도 면에서 우수한 내장형 사용압력조정장치가 적용된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면서도, 별도의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외뚜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안전성 및 제품신뢰도를 높인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내솥과;
    상기 내솥을 덮어 취사시 상기 내솥 내부에 압력공간을 형성하며, 내솥뚜껑통공을 구비하는 내솥뚜껑과;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개방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압력을 외기로 배출하는 사용압력조정장치와;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개방 상태를 가져 상기 내솥 내의 증기를 외기로 배출하되, 전기적 신호에 따라 폐쇄되는 자동증기배출장치와;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 및 자동증기압력배출장치와 공히 연결 소통되면서 상기 내솥뚜껑통공 직상에 형성되는 공동배출로와;
    상기 내솥뚜껑 내측면에서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내솥 내측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상기 공동배출로를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내솥뚜껑통공 덮음부위가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공간을 밀폐시키는 안전실링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외력은,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을 내솥 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외력은, 외부로부터 상기 내솥뚜껑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접근 가능한 안전핀을 사용하여, 상기 안전실링패킹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내솥뚜껑은 패킹고정구멍을 가지고, 상기 안전실링패킹은 돌출되어 상기 패킹고정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패킹고정구멍의 외연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내솥뚜껑의 외측면에는 바디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그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상기 패킹고정구멍의 외연부에 밀어 상기 안전실링패킹을 위치 고정하는, 패킹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내솥뚜껑에 설치되고, 상시 폐쇄 상태를 가지되,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상기 사용압력조정장치의 개방 압력보다 큰 소정 압력에 도달되면 개방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압력을 상기 내솥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내솥뚜껑의 외측면에는 바디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솥뚜껑의 내솥뚜껑통공과 소통되는 증기배출로를 구비하며, 상기 자동증기배출장치 및/또는 안전증기압력배출장치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8. 제 7 항에서, 상기 증기배출로는 상기 공동배출로 직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9. 제 8 항에서, 상기 공동배출로의 바깥에는 증기배출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20-2002-0037855U 2002-11-06 2002-12-20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200306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55U KR200306600Y1 (ko) 2002-12-20 2002-12-20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CN 03119263 CN1233290C (zh) 2002-11-06 2003-03-06 用于控制压力电饭锅内部压力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55U KR200306600Y1 (ko) 2002-12-20 2002-12-20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00Y1 true KR200306600Y1 (ko) 2003-03-12

Family

ID=494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855U KR200306600Y1 (ko) 2002-11-06 2002-12-20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35B1 (ko) * 2011-05-06 2013-09-0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35B1 (ko) * 2011-05-06 2013-09-04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6170B2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KR200306600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AU2001234039A1 (en) Improved fuel valve
KR100857454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302417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33674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압력제어장치
KR20100067167A (ko) 전기 보온압력밥솥의 이상 압력 배출장치
KR200339343Y1 (ko) 전기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394881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JP4181565B2 (ja) 圧力炊飯器
KR200268044Y1 (ko) 전기압력밥솥의 비상 증기배출장치
KR100309391B1 (ko) 전기압력밥솥겸용조리기의안전밸브를겸한솔레노이드밸브장치
KR100483133B1 (ko)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KR200306595Y1 (ko) 증기 배출장치 및 이 배출장치가 구비된 압력 밥솥
KR200319001Y1 (ko)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
KR100872899B1 (ko) 조리기의 안전 밸브
KR200299174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내부 압력 제어장치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KR0131729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157616Y1 (ko) 취사용 압력솥의 상시 열림형 솔레노이드밸브
KR100221650B1 (ko) 전기압력밥솥
KR100191569B1 (ko) 취사기구
KR200249767Y1 (ko) 전기보온 압력솥의 증기 배출용 밸브
CN114251688A (zh) 一种具有保湿功能的微波炉
KR200231397Y1 (ko) 전기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