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542Y1 - 옹벽용 블럭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4542Y1 KR200304542Y1 KR20-2002-0034930U KR20020034930U KR200304542Y1 KR 200304542 Y1 KR200304542 Y1 KR 200304542Y1 KR 20020034930 U KR20020034930 U KR 20020034930U KR 200304542 Y1 KR200304542 Y1 KR 2003045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coupling
- present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갖는 벽면에서 흙, 돌등이 흘러내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소정높이로 구축하는데 사용하는 블럭을 평면상에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옹벽으로 간편하게 병행하여 구축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블럭(10)상,하단의 좌우양측에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각각 형성하고 블럭표면(13)의 좌우측단부내측으로 경사면(14)과 요입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상단의 좌우양측결합홈(1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경사각도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럭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갖는 벽면에서 흙, 돌등이 흘러내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소정높이로 구축하는데 사용하는 블럭을 평면상에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옹벽으로 간편하게 병행하여 구축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 돌등이 흘러내려 붕괴가 우려되는 지역등에는 경사를 갖는 옹벽을 구축하되 그 옹벽용블럭은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블럭의 상하단에 형성하여 교차되게 적층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서로 결합하는 수단으로 벽돌과 같이 쌓고 블럭의 내측에 형성시킨 요입부에 흙을 채워 옹벽을 안정되게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블럭은 평면상에서 볼때 블럭표면이 직선형으로 갖는 것을 평면상에서 직선형을 이루는 옹벽은 구축할수 있으나 곡선형으로는 구축할수 없었다.
즉, 곡선형을 이루기 위해 양측 블럭측면이 경사각도로 맞닿게 되면 그 경사각도 크기에 따라 블럭상단의 결합홈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그 상부에 교차로 조적되는 블럭하단의 양측에 일정하게 형성된 결합돌기의 간격과 직선거리가 달라지게 되어 결합돌기를 끼워 조적할수 없었기 때문에 별도의 곡선형블럭을 구비하여 사용해야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옹벽의 평면상 곡선각도나 곡선형태(볼록, 오목등)에 따른 곡선형블록을 구비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면상에서 외측의 블력표면이 직선형을 이루는 블럭과 그 블럭의 상,하단에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각각 형성하되 블럭상단의 좌우 양측결합홈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경사각도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한 구성으로 평면상의 블럭각도를 임의적으로 변경하여 조적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블럭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블럭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블럭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선형 옹벽구축시의 블럭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볼록형 옹벽구축시의 블럭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오목형 옹벽구축시의 블럭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직선형 옹벽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볼록형 옹벽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오목형 옹벽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의 측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럭 11 : 결합홈
12 : 결합돌기 13 : 블럭표면
14 : 경사면 15 : 요입부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갖는 벽면에서 흙, 돌등이 흘러내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소정높이로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블럭(10)에 해당되며 그 블럭(10)상,하단의 좌우양측에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각각 형성하여 교차되게 적층시켜 블럭(10)의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서로 대응되게 결합하고 블럭표면(13)의 좌우측단부는 내측으로 경사면(14)과 요입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표면(13)은 평면상에서 직선형을 이루되 블럭(10)상단의 좌우양측결합홈(1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내,외측방향에서 경사각도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여 좌우 양측블럭(10a)(10b)이 맞닿게 될때 좌우양측결합홈(11)의 일정한 직선길이에서 결합돌기(12)를 끼울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결합홈(11)배치형태는 좌우양측결합홈(11)의 내측간격은 좁혀지고 외측간격은 넓어진 형태 또는 내측 간격은 넓어지고 외측간격은 좁혀진 형태를 취하더라도 동일한 기술수단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갖는 벽면에서 흙, 돌등이 흘러내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소정높이로 설치하는 데 사용하는 옹벽용 블럭으로서, 블럭(10)을 벽돌쌓기와 같이 교차되게 적층하면서 블럭(10)의 상,하단에 형성한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하여 옹벽을 설치한다.
이때, 평면상에서 볼때 옹벽을 직선형으로 구축할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좌우양측블럭(10a)(10b)을 직선형으로 배치하고 그 양측의 상단결합홈(11)에 또 다른 블럭(10)의 양측 하단결합돌기(12)를 끼워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수단으로 결합하게 되면 경사각을 이루는 결합홈(11)에 의해 블럭(10)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평면상에서 볼때 옹벽을 곡선형(볼록, 오목등)으로 구축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좌우양측블럭(10a)(10b)을 곡선형으로 배치하게 되면 그 블럭(10a)(10b)을 연결하는 직선길이는 좁혀지게 되므로 그 양측상부에 교차로 적층되는 블럭(10)하단에 일정간격을 갖는 결합돌기(12)를 끼울때 일측블럭(10a)의 결합홈(11)에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끼우고 타측블럭(10b)의 결합홈(11)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끼우는 수단으로 양측 블럭(10a)(10b)이 좁혀진 직선거리에도 불구하고 일정간격을 갖는 결합돌기(12)를 끼울수 있게 되므로 이를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여 결합함으로서 옹벽이 곡선형을 이루면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옹벽이 곡선형을 이루기 위해 양측블럭(10a)(10b)의 직선거리가 달라지게 되더라도 장방형이고 경사각도로 배치된 결합홈(11)에 의해서 결합돌기(12)를 끼워 결합할수 있고 그 옹벽의 곡선각도를 다르게 구축할때는 장방형의 결합홈(11)에 결합돌기(12)가 끼워지는 위치가 달라지는 수단에 의해 곡선형옹벽을 구축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블럭에 의해 구축된 평면상에서 본 옹벽의 형태는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은 옹벽뿐만 아니라 여러형태의 옹벽구축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옹벽용 블럭은 평편상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옹벽으로 병행하여 구축할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블럭(10)상,하단의 좌우양측에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각각 형성하고 블럭표면(13)의 좌우측단부내측으로 경사면(14)과 요입홈(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상단의 좌우양측결합홈(1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경사각도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930U KR200304542Y1 (ko) | 2002-11-22 | 2002-11-22 | 옹벽용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930U KR200304542Y1 (ko) | 2002-11-22 | 2002-11-22 | 옹벽용 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4542Y1 true KR200304542Y1 (ko) | 2003-02-15 |
Family
ID=4940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4930U KR200304542Y1 (ko) | 2002-11-22 | 2002-11-22 | 옹벽용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454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260A (ko) | 2017-11-27 | 2019-06-05 | 김영근 | 상호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구비한 좌굴 방지형 블록조립체 |
-
2002
- 2002-11-22 KR KR20-2002-0034930U patent/KR2003045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260A (ko) | 2017-11-27 | 2019-06-05 | 김영근 | 상호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구비한 좌굴 방지형 블록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14691A (ko) | 건축 요소 | |
KR102245463B1 (ko) |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판 및 이러한 조립판을 구비하는 완구 조립 세트 | |
US4769961A (en) | Building block and structure made therefrom | |
JPH038952A (ja) | 建造用モジュール | |
US20080295440A1 (en) | Building component | |
US8973322B2 (en) |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 |
US20070113505A1 (en) |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intersection assembly | |
JP2000204700A (ja) | ブロック組立体及びそれで建造した壁 | |
KR200304542Y1 (ko) | 옹벽용 블럭 | |
KR20100111647A (ko) | 보강토블록 | |
KR200339448Y1 (ko) | 보강토 옹벽용 블록 | |
US2446179A (en) | Toy building block | |
KR200403781Y1 (ko) | 식생용 점토재 바닥벽돌 | |
US7328535B1 (en) | Pivotable interlock block connector | |
KR100400169B1 (ko) |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 |
KR100401121B1 (ko) | 조립식 옹벽 블록 | |
JP7137861B2 (ja) | コンクリート壁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JPH0754360A (ja) |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 |
PT8901U (pt) | Bloco de construcao | |
KR200376797Y1 (ko) | 축조블럭 | |
KR200217586Y1 (ko) | 옹벽 축조용 블록 | |
JP3626750B1 (ja) | 側溝ブロック | |
KR200387146Y1 (ko) |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 |
JP2016142091A (ja) | 舗石用ストッパー | |
JPH1181522A (ja) | 構築用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