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153Y1 -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153Y1
KR200304153Y1 KR20-2002-0034984U KR20020034984U KR200304153Y1 KR 200304153 Y1 KR200304153 Y1 KR 200304153Y1 KR 20020034984 U KR20020034984 U KR 20020034984U KR 200304153 Y1 KR200304153 Y1 KR 200304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desk
partitions
desk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이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이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이퍼니처
Priority to KR20-2002-0034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상판에 칸막이를 결합시킴으로써 측판 및 뒷판 자재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는, 칸막이(40)를 상/하 구획하여 양분하고 상기 상/하 양분된 칸막이(40,40a)를 각각 결합하는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12,14)와, 상기 상/하 요홈형 연결구(12,14)를 연결하는 지지부(16)와, 하측 요홈형 연결구(14)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향 걸림턱(18)으로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10)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상향 걸림턱(18)에 걸려져 결합되는 절곡된 하향 걸림구(26)와, 상기 하향 걸림구(26)를 지지하며 하측 칸막이(40a)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2a)이 천공된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상판(50)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4a)이 천공된 수평부(24)로 구성되는 지지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PARTITION PLATE AND UPPER PLATE IN DESK}
본 고안은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책상 상판에 칸막이를 결합시킴으로써 측판 및 뒷판 자재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수직으로 양측판과 뒷판이 세워지고 세워진 양측판과 뒷판 위에 상판을 올려 놓은 후 양측판 및 뒷판과 책상 상판에 브라켓을 대고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책상을 조립하는 것이다.
또 회사의 사무실은 사무원들의 능률적인 업무 수행을 보호 해주는 측면에서 책상의 양측면과 후면에 칸막이를 설치하였다. 다시말해, 칸막이는 사무원들이 책상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불필요한 시선 및 잡담을 차단해주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칸막이는 양측판과 뒷판 위에 상판이 조립된 일반적인 책상의 양측면과 후면에 설치되는데, 칸막이가 대형이어서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운반시 칸막이가 무거워 불편하였다.
그리고 칸막이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칸막이와 칸막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부속품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감을 증가 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책상의 양측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양분하고 양분된 칸막이이 사이에 연결플레이트를 조립 하고 연결플레이트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고 지지브라켓에 상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책상의 양측판과 뒷판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칸막이가 대형이어서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운반시 칸막이가 무거워 불편하였던 것을 양분하여 연결플레이트로 결합하므로서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는 칸막이를 상/하 구획하여 양분하고 상기 상/하 양분된 칸막이를 각각 결합하는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와, 상기 상/하 요홈형 연결구를 연결하는 지지부와, 하측 요홈형 연결구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향 걸림턱으로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향 걸림턱에 걸려져 결합되는 절곡된 하향 걸림구와, 상기 하향 걸림구를 지지하며 하측 칸막이에 체결구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천공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판에 체결구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천공된 수평부로 구성되는 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 플레이트 12 : 상부 요홈형 연결구
14 : 하부 요홈형 연결구 16 : 지지부
18 : 상향 걸림턱 20 : 지지 브라켓
22 : 수직부 24 : 수평부
22a, 24a : 체결공 26 : 하향 걸림구
30 : 체결구 40 : 상측 칸막이
40a : 하측 칸막이 50 : 상판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는, 칸막이(40)를 상/하 구획하여 양분하고 상기 상/하 양분된 칸막이(40,40a)를 각각 결합하는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12,14)와, 상기 상/하 요홈형 연결구(12,14)를 연결하는 지지부(16)와, 하측 요홈형 연결구(14)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향 걸림턱(18)으로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10)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상향 걸림턱(18)에 걸려져 결합되는 절곡된 하향 걸림구(26)와, 상기 하향 걸림구(26)를 지지하며 하측 칸막이(40a)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2a)이 천공된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상판(50)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4a)이 천공된 수평부(24)로 구성되는 지지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인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칸막이(40,40a)는 상측 칸막이(40)와 하측 칸막이(40a)로 양분되며 칸막이(40,40a)는 칸막이와 책상의 측판으로서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상측 칸막이(40)와 하측 칸막이(40a)로 양분된 칸막이에서 하측 칸막이(40a)의 상부는 요홈형 연결구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측 칸막이(40)의 하부는 요홈형 연결구의 상부와 결합되어 하나의 칸막이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0)는 상측과 하측에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12,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서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12,14)를 지지하는 지지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요홈형 연결구(14)의 상측에는 상부 양측으로 상향 걸림턱(18)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향 걸림턱(18)은 후술되는 지지 브라켓(20)의 하향 걸림구(26)가 걸려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칸막이에 나사못 등의 체결수단으로 책상 상판을 지지케 하는 지지구이다.
상기 지지 브라켓(20)은 수직부(22) 및 수평부(24)로 구성되며 수직부(22)의 상부에는 하향 걸림구(26)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향 걸림구(26)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상향 걸림턱(18)에 걸려지도록 상기 수직부(22)의 외측 상부에서 연장 돌출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부(22)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하부 요홈형 연결구(14)보다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측 칸막이(40a)와 나사못 등의 체결구(30)로 체결이 쉽게 되도록 수직부의 하부에 체결공(22a)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부(22)의 상단에는 수직부(22)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부(24)는 수평부(24)의 상면에 놓여지는 책상의 상판(50)을 받혀주도록 수직부(22)의 내측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판(50)과 나사못 등의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4a)이 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30)는 나사못으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칸막이를 구비한 책상을 조립하는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과 뒷쪽을 가릴 상/하 양분된 칸막이와 책상 상판을 준비한다.
상/하 양분된 칸막이(40,40a)들의 하측 칸막이(40a)의 상단부를 연결 플레이트(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요홈형 연결구(14)에 결합시키고 상측 칸막이(40)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요홈형 연결구(12)에 삽입시킨다.
다음, 지지 브라켓(20)을 하향 걸림구(26)를 연결 플레이트(10)의 상향 걸림턱(18)에 걸어 결합하고 지지 브라켓(20)의 수직부(22)에 천공된 체결공(22a)에 나사못 등의 체결구(30)를 삽입하여 상기 하측 칸막이(40a)와 체결시킨다.
다음, 하측 칸막이(40a)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20)의 수평부(24)에 책상 상판(50)을 얹혀놓고 상기 수평부(24)에 천공된 체결공(24a)을 통해 체결구(30)로 상판(50)과 체결시키면 칸막이와 책상 상판이 조립되어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양측 칸막이 및 뒷쪽 칸막이에 각각 1개 이상 설치하며 책상 상판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칸막이(40,40a)를 상/하로 양분하고 상/하로 양분된 칸막이를 연결 플레이트(10)에 의해 조립하므로서 칸막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므로 칸막이 제조가 용이하여 제작 원가가 절감되고, 칸막이의 크기가 작아 운반하기가 쉬울뿐만 아니라 책상의 양측판과 뒷판을 칸막이가 대신하여 주므로 자재가 절약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이득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를 구비한 책상을 연속적으로 연결한 경우의 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 칸막이 및 뒷쪽 칸막이에 책상 상판을 조립하는 공정은 상기 공정과 동일하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외측 걸림턱(18)에 지지 브라켓(20)에 걸어 고정하고 나사못 등의 체결구(30)로 칸막이와 체결한 후 뒷쪽 칸막이와 일측 칸막이를 설치하고 책상 상판(5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므로서 책상의 측면 칸막이가 하나씩 절약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사람들이 마주 보고 근무할 수 있도록 책상 상판(50)의 후면 뒷쪽 칸막이에 책상 상판(50)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칸막이(40,40a)를 상/하로 양분하고 상/하로 양분된 칸막이를 연결 플레이트(10)에 의해 조립하므로서 칸막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므로 칸막이 제조가 용이하여 제작 원가가 절감되고, 칸막이의 크기가 작아 운반하기가 쉬울뿐만 아니라 책상의 양측판과 뒷판을 칸막이가 대신하여 주므로 양측판과 뒷판에 대한 자재가 절약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이득을 가져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칸막이(40)를 상/하 구획하여 양분하고 상기 상/하 양분된 칸막이(40,40a)를 각각 결합하는 상/하 대칭의 요홈형 연결구(12,14)와, 상기 상/하 요홈형 연결구(12,14)를 연결하는 지지부(16)와, 하측 요홈형 연결구(14)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향 걸림턱(18)으로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10)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10)의 상향 걸림턱(18)에 걸려져 결합되는 절곡된 하향 걸림구(26)와, 상기 하향 걸림구(26)를 지지하며 하측 칸막이(40a)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2a)이 천공된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상판(50)에 체결구(30)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4a)이 천공된 수평부(24)로 구성되는 지지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KR20-2002-0034984U 2002-11-22 2002-11-22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KR200304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84U KR200304153Y1 (ko) 2002-11-22 2002-11-22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84U KR200304153Y1 (ko) 2002-11-22 2002-11-22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153Y1 true KR200304153Y1 (ko) 2003-02-17

Family

ID=4933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84U KR200304153Y1 (ko) 2002-11-22 2002-11-22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1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337B1 (ko) 2007-11-16 2010-03-09 조태원 스크린 파티션 및 책상 설치용 고정구
KR102216375B1 (ko) * 2020-11-03 2021-02-17 (주)베스툴 다용도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337B1 (ko) 2007-11-16 2010-03-09 조태원 스크린 파티션 및 책상 설치용 고정구
KR102216375B1 (ko) * 2020-11-03 2021-02-17 (주)베스툴 다용도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6164A1 (en) Office workwall system
JP6689331B2 (ja) 組立式棚
US7306107B2 (en) Organizer wall
CN104352087B (zh) 新型可变组合办公桌
KR200304153Y1 (ko)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조립구조
CN209965719U (zh) 一种一体化钢架办公屏风桌
US20050036830A1 (en) Shelving system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2304058B1 (ko) 가림판과 칸막이가 구비된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CN212003840U (zh) 一种家具用隐藏式板材安装结构
CN211341296U (zh) 一种应用于装配式墙体的新型吊挂结构
CN212995428U (zh) 悬挂式组合柜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CN214156699U (zh) 轻便柜子
JPH0461805A (ja)
KR200349015Y1 (ko) 드레스실용 선반
CN219452616U (zh) 一种新型衣柜安装配件
CN211985306U (zh) 一种水槽洗碗机的门盖玻璃面板安装结构
CN110115440A (zh) 一种多功能组合家具及其使用方法
JP3053686U (ja) ホームロッカー
CN211747899U (zh) 一种平面式搁架及衣帽间
CN213942082U (zh) 一种应用于自动麻将机的支架结构
CN218978330U (zh) 易组装的预制衣柜
CN219578549U (zh) 一种装配式厨卫壁板安装组件
KR100946337B1 (ko) 스크린 파티션 및 책상 설치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