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086Y1 -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086Y1
KR200304086Y1 KR20-2002-0031955U KR20020031955U KR200304086Y1 KR 200304086 Y1 KR200304086 Y1 KR 200304086Y1 KR 20020031955 U KR20020031955 U KR 20020031955U KR 200304086 Y1 KR200304086 Y1 KR 200304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cover
water level
flange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조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남 filed Critical 조희남
Priority to KR20-2002-0031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200/00Special features related to earth drilling for obtaining oil, gas or water
    • E21B2200/01Seal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수 심정에 설치되는 지하수 심정 밀폐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를 심정 내외부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덮개와 아웃케이싱간을 밀접하게 차폐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심정펌프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케이블과 수위제어를 위한 수위감지선을 어떻게 밀폐성을 확보하면서 덮개장치를 통과시킬 것인가에 본 고안의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밀폐덮개 하단면, 또는 밀폐덮개와 밀착되는 아웃케이싱에 부착되는 후렌지에 요( 凹 )홈부를 만들고 이 요( 凹 )홈부에 고무팩킹을 끼운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을 통과시킨 다음 덮개장치와 후렌지간에 별도의 후렌지용 고무팩킹을 끼우고 볼트 너트로 결합시켜 조립함으로써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하수 심정 내외부간이 완벽하게 차폐되며 동력케이블과 수위선을 통과시키면서도 밀폐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omitted}
본 고안은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수 심정에 설치되는 지하수심정 밀폐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를 관정 내외부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덮개와 아웃케이싱간을 밀접하게 차폐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심정펌프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케이블과 수위제어를 위한 수위감지선을 어떻게 밀폐성을 확보하면서 덮개장치를 통과시킬 것인가에 본 고안의 초점을 두고 고안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지하수(地下水, groundwater)라 함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혼합되어 지하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가 지금까지는 개방된 상태로 있어 평상시에도 벌레의 서식지로 사용되거나 심지어는 쥐가 빠져 죽어 있는 경우도 있었으며 홍수가 났을 경우에는 오염된 지표수가 아무 저항 없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하수도화 하여 일순간에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어버릴 수 밖에 없는 상태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완전한 밀폐성이 확보된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본 고안인은 이미 특허 제0330508 호 (발명의 명칭 : 지하수 진공양수장치)와 특허 제 0330508호(발명의 명칭: 지하수 심정의 침수방지장치) 및 실용신안등록제0105323호 (실용신안등록의 명칭:지하수 진공양수장치용 조립식 후렌지) 및 실용신안등록제0176973호 (실용신안등록명칭: 지하수 양수장치), 실용신안등록제0219401호(실용신안등록명칭: 연결배관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심정밀폐덮개장치),실용신안등록 제 0176308호(실용신안등록 명칭:지하수 심정밀폐덮개) 및 실용신안등록 제 0294642호(실용신안등록명칭:지하수 심정용 덮개)에서여러 방법과 장치들을 발명 또는 고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발명과 고안에서 항상 밀폐성 확보에 장애요인으로 대두되는 것은 지하수 심정 펌프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케이블과 수위제어를 위한 수위감지선을 어떻게 밀폐성을 확보하면서 효과적으로 심정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해오는 가에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하수 심정 덮개의 하단면에 요(凹)홈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지하수 심정 덮개와 밀착되도록 아웃케이싱에 부착되는 후렌지에 요(凹)홈부를 형성하여,
동력케이블과 수위선에 고무팩킹을 끼운 후 볼트 결합을 하도록 하여 조립함으로써 밀폐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공급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조립 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후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동력케이블용 고무팩킹을 설치한 동력케이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심정덮개부분에 요홈부를 구성할 경우의 도 1의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심정덮개 2: 양수파이프 3: 수위측정관 4: 볼탑연결배관
5: 볼트구멍 6: 동력케이블용 덮개요홈부 7: 수위감지선용 덮개요홈부
8: 수위감지선용 후렌지 요홈부 9: 동력케이블용 후렌지 요홈부 10: 후렌지
11: 후렌지 볼트구멍 12: 아웃케이싱 13: 수위감지선용 고무팩킹
14: 동력케이블용 고무팩킹 15: 동력케이블 16: 동력케이블 나선
17: 수위감지선 18: 수위감지선 나선 19: 후렌지팩킹 20: 볼트
도 1은 본 고안을 표현하기 위해 그려진 사시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심정 덮개(1)는 지하수 심정을 덮기 위한 공지의 밀폐덮개로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이라 본다. 이 경우 심정 덮개(1)와 결합되도록 아웃케이싱(12)에 부착한 후렌지(10)에 수위감지선용 요(凹)홈부(8)와 동력케이블용 요(凹)홈부(9)를 형성한다. 이 요홈부(8,9)는 후렌지(10)의 두께를 두텁게 할 경우에는 후렌지 살을 절삭하여 구성하여도 될 것이나 후렌지(10)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후렌지(10를 절단한 후 그 하단면에 후렌지(10)와 같은 너비를 갖는 덧판을 대어 결과적으로 요홈부(8,9)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동력케이블용과 수위감지선용을 별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심정펌프의 용량이 작을 경우 요홈부를 하나로 구성하여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을 함께 통과시키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후렌지(10)에 요홈부(8,9)를 구성하지 않는 대신 심정덮개(1)에 요(凹)홈부를 구성하여 이곳에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을 통과시킬 수도 있으며 후렌지(10)와 심정덮개(1) 양쪽에 모두 요홈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모두는 현장 여건과 심정펌프의 규격에 따른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의 규격의 변화등에 맞춰 결정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후렌지(10)에 형성한 요홈부를 이용하여 심정덮개(1)를 설치하는 경우의 예를 든다면, 동력케이블(15)과 수위감지선에 외형이 요홈부와 동일하게 성형된 고무팩킹(14)을 끼운 후 이 고무팩킹(14)이 끼워진 부분을 후렌지 요홈부에 삽입하게 된다. 그 후 후렌지용 고무팩킹(19)을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심정덮개(1)를 덮고 볼트를 이용하여 후렌지(10)와 심정덮개(1)를 결합하게 됨으로써 밀폐성을 확보하며 조립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후렌지(10)에 암나사를 가공하지 않고 볼트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볼트와 너트로 조립이 이루어 질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심정 덮개에 있어서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을 심정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해 나오는 과정에서 심정 내부와 외부간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형성한 지하수 심정에 있어서,
    지하수 심정 덮개(1)와 아웃케이싱(12)에 부착한 후렌지(10)와의 맞닿는 면에 요홈부를 구성하고 이 요홈부에 고무팩킹(14)을 설치한 동력케이블과 수위감지선을 통과시킨 다음 심정 덮개(1)와 후렌지(10) 사이에 후렌지팩킹(19)을 끼운 후 조립함으로써 지하수 심정 내부와 외부를 차폐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 밀폐 덮개 장치.
KR20-2002-0031955U 2002-10-25 2002-10-25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200304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55U KR200304086Y1 (ko) 2002-10-25 2002-10-25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55U KR200304086Y1 (ko) 2002-10-25 2002-10-25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086Y1 true KR200304086Y1 (ko) 2003-02-14

Family

ID=4940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55U KR200304086Y1 (ko) 2002-10-25 2002-10-25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0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60B1 (ko) 2008-05-14 2008-12-1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점증되는 두께의 경사면부를 갖는 회전 원판을 이용한 덮개결합장치
KR100897440B1 (ko) 2004-06-23 2009-05-27 조희남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40B1 (ko) 2004-06-23 2009-05-27 조희남 지하수 심정의 토출구와 급수구 결합장치
KR100871960B1 (ko) 2008-05-14 2008-12-1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점증되는 두께의 경사면부를 갖는 회전 원판을 이용한 덮개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68485A (ja) ディープウェル工法における表面水の強制排水方法
KR200304086Y1 (ko)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100895651B1 (ko)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KR200388001Y1 (ko) 케이블 교체설치가 가능한 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101335030B1 (ko) 스터핑 박스 밀폐형 인라인 펌프
KR200304092Y1 (ko)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KR200388000Y1 (ko) 전기신호를 이용한 수도계량기를 내장한 지하수 심정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JP2003307089A (ja) 孔内を分割した地中熱採熱孔
KR200216964Y1 (ko) 연결 배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게
KR200360999Y1 (ko)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의 개량구조
KR200309170Y1 (ko) 나사결합과 후렌지 결합을 겸한 지하수관정 덮개장치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KR100561239B1 (ko) 밀폐형 심정 덮개장치.
KR100717368B1 (ko)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20010097325A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와 그 제작방법
CN209743182U (zh) 一种基于缺水保护全自动水位监控器电箱的回灌井
KR200327297Y1 (ko)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지하수 심정 밀폐형 심정덮개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KR101568902B1 (ko)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KR200304087Y1 (ko) 지하수 심정 침수장지용 밀폐 장치
KR200329459Y1 (ko) 연장한 공기호흡관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KR100460126B1 (ko) 지하수 심정용 그라우팅 파이프 장치
US10087086B1 (en) Methods and riser pipe for dewatering of fly ash pond or pit
KR200327296Y1 (ko) 테이퍼진 내경을 이용한 밀폐덮개 하부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