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97Y1 -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97Y1
KR200303597Y1 KR20-2002-0032282U KR20020032282U KR200303597Y1 KR 200303597 Y1 KR200303597 Y1 KR 200303597Y1 KR 20020032282 U KR20020032282 U KR 20020032282U KR 200303597 Y1 KR200303597 Y1 KR 200303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utlet
casing
hot water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봉
Original Assignee
한국에이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이오씨(주) filed Critical 한국에이오씨(주)
Priority to KR20-2002-0032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온수 유통이 가능한 공간(S)이 형성되며 저면에 출구(21)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이 케이싱(20)의 출구(21)와 대향되는 케이싱(20)의 상부를 직하방으로 관통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21)를 개폐하는 플런저(30)와, 이 플런저(30)의 하강 시 출구(21)와 밀착되도록 플런저(30)의 하단에 마련된 밸브시일(40)과, 케이싱(20) 외부로 연장된 플런저(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출구(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플런저(3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이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플런저(30)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캠(60)과, 이 작동캠(60)이 회전축(71)에 축방향으로 직결되어 작동캠(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0)와, 이 구동모터(70)를 설치하기 위해 케이싱(20) 상부에 장착되며 플런저(30)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바닥에 관통홀(92)이 천공된 브래킷(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동모터(70)의 회전축(71)과 직결된 작동캠(60)을 통해 플런저(30)를 직접 승하강시킴으로써 출구(21)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밸브장치의 내부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VALVE APPARATUS OF HOT-WATER DISTRIBUTOR}
본 고안은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난방수관으로의 온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분배기는 난방 또는 온수보일러의 버너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각각의 난방수관으로 분배 공급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개별난방을 위해 다수개의 밸브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는 통상적으로 볼 밸브 또는 핸들 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온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실에 들어가서 볼 밸브 또는 핸들 밸브를 일일이 수동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를 통해 개폐 작동되는 온도조절밸브가 실용신안등록되어 있다(등록번호 실1995-0004641호).
실용신안등록 실1995-0004641호에 개시된 보일러용 온수분배장치의 온도조절밸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분배관으로부터 분배된 온수가 난방장소로 순환되도록 하는 공급튜브(1)와 리턴튜브(2)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된 홀(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밸브(4)와, 이 제어밸브(4)와 탄성부재(5)로 탄발 설치되어 승강을 안내함과 아울러 공급튜브(1)와 리턴튜브(2)에 형성된 플랜지(6)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밸브 캡(7)과, 이 밸브 캡(7)에 결합되어 제어밸브(4)를 승강시키는 로드(8)가 직선 안내됨은 물론 온수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시일링 부재(9)가 마련된 시일 너트(10)로 이루어진 온수 순환제어수단(11)과; 이 온수 순환제어수단(11)의 로드(8)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수단(12)은 구동기어(13)를 보유하는 모우터(14)와, 상기 구동기어(13)에 치합된 감속기어군(15)과, 상기 감속기어군(15)의 종감속기어(16)에 동축상으로 마련됨은 물론 높이 차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다가 낮아진 캠(17)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난방장소에 마련된 온도조절수단(미도시)의 전기적인 출력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모우터(14)의 회전력이 종감속기어(16)에 전달됨으로써, 이 종감속기어(16)에 제공된 캠(17)에 의해 로드(8)가 승강된다. 계속하여 로드(8)의 승강으로 제어밸브(4)는 탄성부재(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승강됨에 기인하여 공급튜브(1)와 리턴튜브(2)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된 홀(3)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온수의 순환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 온수분배장치의 온도조절밸브에서는 모우터(14)의 회전력을 다수의 기어들, 즉 구동기어(13)와 감속기어군(15) 및 종감속기어(16)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의 구조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며 제어 역시 난해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고장 발생율이 높아 제품 신뢰성 역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자동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온수분배기용 밸브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용 밸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캠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캠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장치의 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케이싱 21..출구
30..플런저 40..밸브시일
50..탄성부재 60..작동캠
61..편심부 62..스위치 작동부
63..노브 70..구동모터
81,82..마이크로 스위치 90..브래킷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난방수관으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밸브장치는 내부에 온수 유통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출구와 대향되는 케이싱의 상부를 직하방으로 관통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의 하강 시 출구와 밀착되도록 플런저의 하단에 마련된 밸브시일과, 케이싱 외부로 연장된 플런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출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플런저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플런저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캠과, 이 작동캠이 회전축에 축방향으로 직결되어 작동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를 설치하기 위해 케이싱 상부에 장착되며 플런저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바닥에 관통홀이 천공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는 플런저의 상단부 외주에 장착되는 스톱 링과, 플런저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단은 스톱 링에 지지되고 하단은 케이싱 측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래킷에는 작동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 가동접점을 갖춘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작동캠은 플런저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는 편심부와, 이 편심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되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들의 가동접점들이 각각 어긋나게 수용되도록 외주에는 제1,제2홈이 180도 대향되게 형성된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여,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들의 가동접점이 제1홈 또는 제2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캠은 인위적으로 편심부와 함께 스위치 작동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작동부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된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래킷의 상부에는 구동모터 및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밸브캡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는 각 난방수관으로의 온수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온수 유통이 가능하며 저면에 출구(21)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이 케이싱(20)의 상부를 직하방으로 관통하면서 승하강하여 출구(21)를 개폐하는 플런저(30)와, 이 플런저(30)의 하단에 마련된 밸브시일(40;valve seal)과, 플런저(30)를 상측으로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이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플런저(30)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캠(60)과, 이 작동캠(60)을 직접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0)를 갖추고 있다.
케이싱(20)은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0)은 내부에 온수 유통이 가능한 공간(S)이 형성되며 양측이 개방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수 배출을 안내하는 출구(21)는 케이싱(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난방수관(미도시)과 연결되게 된다. 또한, 케이싱(20)의 상부에는 플런저(30)가 관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관통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플런저(30) 설치를 위해, 출구(21)와 대향되는 케이싱(20)의 상부에는 바닥에 관통구(22)가 천공된 안착홈(23)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 안착홈(3)에는 플런저(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도록 축방향으로 실린더(24)가 가공된 부시(25)가 수용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30)는 부시(25)의 실린더(24)를 통해 승하강하면서 출구(21)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케이싱(20)은 양측 개방부를 통해 이웃하는 밸브장치의 케이싱과 직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플런저(3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일종의 로드로, 이의 하단은 관통구(22)를 통해 케이싱(20) 내부에 수용되며, 이의 상단은 케이싱(20) 상부와 부시(24)를 관통한 상태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밸브시일(40)은 플런저(30) 하단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고무재질로 성형된 일종의 패킹으로, 플런저(30)의 하강 시 출구(21)와 당접하게 된다.
탄성부재(50)는 케이싱(20) 상부로 노출된 플런저(30)의 상단부 외주에 장착되는 스톱 링(51)과, 플런저(30)의 상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되 상단은 스톱 링(51)에 지지되고 하단은 케이싱(20) 측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스톱 링(51)은 와셔의 일종이며, 코일스프링(5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52)의 하단은 부시(24)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플런저(30)는 코일스프링(52)에 의해 항상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작동캠(6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플런저(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70)의 회전축(71)에 직결되며 외주는 플런저(30)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는 편심부(61)와, 이 편심부(61)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되 후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81)(82)들의 가동접점(81a)(82a)들이 각각 어긋나게 수용되도록 외주에는 제1,제2홈(62a)(62b)이 대향되게 형성된 스위치 작동부(62)와, 이 스위치 작동부(62)와 함께 편심부(61)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63)로 정의된다.
작동캠(60)의 편심부(6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면 두께를 편심 구성한 편심캠의 일종으로, 편심부(61)의 외주는 항상 플런저(30) 상단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편심부(61)의 편심 회전운동에 따라 플런저(30)가 상하로 왕복, 즉 승하강하게 된다. 스위치 작동부(62)는 편심부(61)와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제1홈(62a)과 제2홈(62b)은 스위치 작동부(62)의 외주에 180도 대향되면서 어긋나게 형성되되 편심부(61)의 최대 반경측 및 최소 반경측과 수평선상으로 각각 일치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노브(63)는 밸브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동캠(60)은 편심부(61)와 스위치 작동부(62) 및 노브(63)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노브(63)를 잡고서 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스위치 작동부(62)와 함께 편심부(61)가 동시 회전하여 플런저(3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70)는 작동캠(60)의 편심부(61)가 회전축(71)에 동축으로 직결된 것으로, 이는 케이싱(20) 상부에 브래킷(90)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다. 즉, 케이싱(20) 상부에는 브래킷(90)이 고정핀(91;도 3참조)을 매개로 견실하게 체결되며, 이 브래킷(90) 바닥에는 플런저(30)의 상단이 여유 있게 관통하여 작동캠(60)의 편심부(61)와 당접하도록 관통홀(92)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90)에 구동모터(70)가 견실하게 장착되며 아울러 구동모터(70)의 회전축(71)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작동캠(60)이 동축 방향으로 직결된다.
또한, 브래킷(90)에는 작동캠(60)의 회전위치에 따라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가 홀더(93)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는 작동캠(60)의 스위치 작동부(62) 외주와 근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캠(60)이 반회전할 때마다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의 가동접점(81a)(82a)들이 제1홈(62a) 또는 제2홈(62b)에 어긋나게 수용되며, 이것에 의해 온수분배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패널(미도시)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3의 미설명 부호 "100 "은 브래킷(90) 상부를 여유 있게 덮는 보호캡으로, 이 보호캡(100)에 의해 구동모터(70) 및 마이크로 스위치(81)(82)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는데, 콘트롤패널을 통해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출구가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30)가 최대한 하강하면 밸브장치의 출구(21)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70)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화살표 R 방향), 구동모터(70) 회전축(71)과 함께 작동캠(60)이 일체로 회전한다. 이 작동캠(60)의 회전으로 편심부(61)와 접해있는 플런저(30)는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점차적으로 승강하며, 이로 인해 출구(21)와 밸브시일(40)이 떨어져 출구(21)가 개방된다.
이 때의 구동모터(70) 동작은 편심부(61)의 최소반경측이 하향 위치되어 밸브시일(40)과 출구(21)가 완전하게 떨어질 때까지 진행되는데, 이것은 스위치 작동부(62)가 회전하면서 제2마이크로 스위치(82)의 가동접점(82a)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70)의 구동이 정지되기 때문이다. 즉, 출구(21)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2마이크로 스위치(82)의 가동접점(82a)이 스위치 작동부(62)의 제2홈(62b)에 수용되어 단락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며, 콘트롤패널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 때, 제1마이크로 스위치(81)의 가동접점(81a)은 제1홈(62a)에서 완전하게 벗어나 접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플런저(30)는 최대한 승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케이싱(20)의 출구(21) 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출구(21)와 연계된 난방수관으로는 온수공급이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인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장치의 출구 폐쇄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플런저(30)의 승강으로 밸브장치의 출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70)를 또다시 구동시키면, 구동모터(70)의 회전축(71)과 함께 작동캠(60)이 일체로 회전한다. 이 작동캠(60)의 회전으로 플런저(30)의 상단은 편심부(61)의 최대 반경측과 점차 접하며, 이것에 의해 플런저(30)는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점차적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밸브시일(40) 역시 하강하여 출구(21)가 폐쇄된다(도 4와 도 5참조).
이 때의 구동모터(70) 동작은 편심부(61)의 최대 반경측이 하향 위치되어 밸브시일(40)과 출구(21)가 완전하게 접할 때까지 진행되는데, 이것은 스위치 작동부(62)가 회전하면서 제1마이크로 스위치(81)의 가동접점(81a)을 단락 동작됨과 동시에 구동모터(70)의 구동이 정지되기 때문이다. 즉, 출구(21)가 완전하게 폐쇄됨과 동시에 제1마이크로 스위치(81)의 가동접점(81a)이 제1홈(62a)에 수용되어 단락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며, 콘트롤패널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 때, 제2마이크로 스위치(82)의 가동접점(82a)은 제2홈(62b)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 접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플런저(30)는 최대한 하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출구(21) 역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출구(21)와 연계된 난방수관으로의 온수공급은 차단된다.
한편, 이러한 밸브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캠(60)의 노브(63)를 잡고 구동모터(70)의 구동방향과 일치되게 반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노브(63)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부(61)의 회전위치에 따라 플런저(30)가 승하강함으로써 출구(21)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브(63)를 통한 출구(21) 개폐작동은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직결된 작동캠을 통해 플런저를 직접 승하강시킴으로써 출구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밸브장치의 내부 구조가 보다 콤팩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난방수관으로의 온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내부에 온수 유통이 가능한 공간(S)이 형성되며 저면에 출구(21)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의 출구(21)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싱(20)의 상부를 직하방으로 관통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구(21)를 개폐하는 플런저(30)와,
    상기 플런저(30)의 하강 시 상기 출구(21)와 밀착되도록 상기 플런저(30)의 하단에 마련된 밸브시일(40)과,
    상기 케이싱(20) 외부로 연장된 상기 플런저(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3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상기 플런저(30)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캠(60)과,
    상기 작동캠(60)이 회전축(71)에 축방향으로 직결되어 상기 작동캠(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0)와,
    상기 구동모터(7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20)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런저(30)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바닥에 관통홀(92)이 천공된 브래킷(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플런저(30)의 상단부 외주에 장착되는 스톱 링(51)과,
    상기 플런저(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단은 상기 스톱 링(51)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싱(20) 측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90)에는 상기 작동캠(6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 가동접점(81a)(82a)을 갖춘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작동캠(60)은 상기 플런저(30)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는 편심부(61)와, 상기 편심부(61)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들의 가동접점(81a)(82a)들이 각각 어긋나게 수용되도록 외주에는 제1,제2홈(62a)(62b)이 180도 대향되게 형성된 스위치 작동부(62)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들의 가동접점(81a)(82a)이 상기 제1홈(62a) 또는 제2홈(62b)에 선택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60)은 인위적으로 상기 편심부(61)와 함께 상기 스위치 작동부(6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작동부(62)의 선단에 일체로 마련된 노브(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9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70) 및 제1,제2마이크로 스위치(81)(8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밸브캡(100)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KR20-2002-0032282U 2002-10-29 2002-10-29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KR200303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82U KR200303597Y1 (ko) 2002-10-29 2002-10-29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82U KR200303597Y1 (ko) 2002-10-29 2002-10-29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597Y1 true KR200303597Y1 (ko) 2003-02-11

Family

ID=4940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82U KR200303597Y1 (ko) 2002-10-29 2002-10-29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5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57B1 (ko) * 2008-01-28 2010-04-07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온도 조절밸브
KR101146680B1 (ko) * 2009-03-18 2012-05-23 설해환 온수분배기용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57B1 (ko) * 2008-01-28 2010-04-07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온도 조절밸브
KR101146680B1 (ko) * 2009-03-18 2012-05-23 설해환 온수분배기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052A (en) Multiple outlets self-actuated irrigation valve
EP1120498B1 (en) Device to deliver and mix water
EP0855475B1 (en) Automatic and self-cleaning hygienic-sanitary system for public use
KR930001579B1 (ko) 위생설비용 자동 폐쇄 밸브조립체
KR100831163B1 (ko) 미세유량조절이 가능한 온도조절밸브
KR200303597Y1 (ko)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EP1120499B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water
KR100941632B1 (ko) 일체형 미세 유량조절밸브
KR200303599Y1 (ko) 온수분배기의 밸브장치
KR200216868Y1 (ko) 전동 볼밸브
CN107296510B (zh) 上盖组件和烹饪器具
JPH10212747A (ja) 排水栓装置
JP4389345B2 (ja) 排水栓の駆動装置
KR100541823B1 (ko)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200364796Y1 (ko) 밸브 개폐장치
JP3861201B2 (ja) 排水栓装置
CN109680778A (zh) 一种集约式智能马桶及其洁身装置组件
US4873650A (en) Water flow controller
KR200407185Y1 (ko) 밸브의 자동/수동 개폐장치
CN114110536A (zh) 一种智能声光联动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438374B1 (ko) 밸브구동기
KR200295565Y1 (ko) 밸브구동기
KR200196289Y1 (ko) 전동 볼밸브
KR200380854Y1 (ko) 삼방 밸브장치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