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479Y1 -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 Google Patents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479Y1
KR200303479Y1 KR20-2002-0032376U KR20020032376U KR200303479Y1 KR 200303479 Y1 KR200303479 Y1 KR 200303479Y1 KR 20020032376 U KR20020032376 U KR 20020032376U KR 200303479 Y1 KR200303479 Y1 KR 200303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ressor
case
condenser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김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민 filed Critical 김광민
Priority to KR20-2002-0032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연통되고 타단은 응축기측 파이프와 압축기측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는 응축기 연결관(20) 및 압축기 연결관(30)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 바닥에 접하면서 타단은 압축기 흡입측에 연결되어 오일이 압축기측으로 귀환하도록 안내하는 모세관(40)과; 상기 압축기 연결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오일여과망(50)과; 상기 제1오일여과망과 그 상측의 응축기 연결관 사이에 개재되는 수세미 형태의 제2오일여과망(60)과; 상기 제2오일여과망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오일여과판(70)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연결관은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압축기에서 압송되는 냉매가 오일여과부재들을 통과하면서 오일이 다단계로 분리되며, 압축기 연결관을 여과하여 오일분리기를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OIL-SEPARATOR OF COOLING UNIT}
본 고안은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압송되는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냉매에서 분리하고,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탑차는, 데크의 상부에 단열구조로 이루어진 냉동탑(컨테이너)을 설치하고, 상기 냉동탑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품을 냉동기에 의해 냉장 또는 냉동시키도록 이루어진 차량을 말한다.
냉동탑차용 냉각장치는,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공기와 내부를 흐르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상기 송풍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방열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그리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로 공급하는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증발기쪽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송풍기가 설치되며, 냉각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셋팅하기 위한 온도셋팅부와 냉동탑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증발기에서의 냉매증발에 의해 열을 빼앗긴 공기는 저온 저습 상태로 변화되어 냉동탑에 내부로 송풍되어 냉동탑 내부를 냉각하며, 이 과정에서 과열증기 상태의 기체로 변화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보내져 압축, 순환된다.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되는 냉매 가스를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의 냉매 가스 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토출시키는 바, 이에 의해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윤활목적으로 압축기에 오일을 공급하고 있다. 상기 오일은 압축기 구동파트의 기계적 마찰면들의 윤활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냉매에 함유된 윤활오일이 응축기 및/또는 증발기나 팽창장치 등에 유입되면 윤활오일이 열교환기 등의 내벽에 코팅되거나 열교환기의 냉매유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윤활오일이 냉각시스템 전체를 순환하게 되면 압축기에 공급되는 오일량에 심한 변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압축기의 윤활이 안정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압축기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로 윤활오일이 공급되지 않도록 오일분리기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기체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오일이 열교환기측으로 유출되는 경우 발생하는 열교환기의 효율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압축기의 윤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오일분리기의 일 예로, 예컨대, 국내등록실용신안 164344호로 차량의 냉각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차량의 냉각기 장치에 적용된 유여과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응축기(미도시)와 연결되는 응축기 연결부(2)와, 상기 케이스(1)의 측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압축기(미도시)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제1압축기 연결부(3)와, 케이스(1)의 저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압축기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오일의 귀환을 안내하는 제2압축기 연결부(4)와, 케이스(1)의 상판 저부에 설치되는 원통형 철망(5)과, 케이스(1) 내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압력감소부(6)에 일정 회수 감기며 일단은 케이스(1)의 바닥부에 근접하고 타단은 제2압축기 연결부(4)를 통해 압축기 흡입측에 연결되어 케이스(1) 바닥에 모인 오일을 압축기로 귀환시키는 모세관(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여과기 케이스(1)에는 고정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어 유여관기가 차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압의 기체 냉매는 제1압축기 연결관(3)을 통해 유여과기를 거쳐 응축기로 공급되며, 냉매가 원통형 철망(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체 냉매는 원통형 철망(5)을 통과하고, 액상의 오일, 이물질은 원통형 철망(5)에 남게 되어 바닥에 떨어지며, 케이스(1) 바닥에 모아진 오일은 모세관(7)에 압축기 흡입측으로 귀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냉각기 장치에 적용된 유분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기체 냉매가 원통형 철망(5)을 통과할 때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 이물질이 철망(5)에 묻어 기체 냉매에서 여과되기는 하지만, 이로서는 냉매에 포함된 모든 오일을 여과할 수 없기 때문에 냉매가 오일을 포함한 상태로 냉각사이클을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이 냉각사이클을 순환함으로써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압축기의 윤활이 안정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응축기 연결부(2), 압축기 연결부(3,4) 등이 케이스(1)에 영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연결부(2,3,4)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막힐 경우 케이스(1)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고, 케이스(1)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케이스(1) 전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차종에 따라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응축기, 압축기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지만, 연결부(2,3)가 케이스(1)에 영구 고정되어 그 방향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유분리기와 응축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가 갈이지는 단점도 있다.
또한, 원통형 철망(5)에 의해 기체 냉매에서 분리되어 케이스(1) 바닥에 쌓이는 오일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오일과 함께 압축기에 귀환되어 불순물에 의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에서 토출된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 이물질을 기체 냉매로부터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소,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기와 압축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오일분리기와 응축기/압축기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최적의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냉각기 장치에 적용된 오일분리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상부 케이스부재
12 : 하부 케이스부재, 12a : 오일집유부
20 : 응축기 연결관, 30 : 압축기 연결관
31 : 나사부, 40 : 모세관
41 : 고정틀, 42 : 여과망
50 : 제1오일여과망, 60 : 제2여과망
70 : 제3여과판, 80 : 고정브래킷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며 응축기측 파이프와 압축기측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는 응축기 연결관/압축기 연결관과;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접하면서 타단부가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오일을 압축기측으로 귀환되도록 안내하는 모세관과; 상기 압축기 연결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메쉬구조의 제1오일여과망과; 상기 압축기 연결관과 응축기 연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세미 형태의 제2오일여과망과; 상기 제2오일여과망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3오일여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오일여과망은 상기 압축기 연결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3오일여과판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여과판 및 이 여과판에 부착되는 메쉬구조의 여과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너트가 고정되며, 상기 압축기 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사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 연결관이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응축기 연결관/압축기 연결관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는 상기 오일여과망, 오일여과판을 통해 여과된 오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 여과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용 오일분리기(100)는, 미도시된 압축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여과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도 2와 도 4에 도시됨)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부 공간과 미도시된 압축기/응축기측에서 관출된 냉매순환관을 각각 연결하는 응축기 연결관(20) 및 압축기 연결관(30)과, 압축기로부터 압송되는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여 기체 냉매만 응축기측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여과수단과, 상기 오일여과수단에 의해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귀환시키는모세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구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부재(1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부재(12)의 바닥부에는 오일이 모일 수 있도록 오일집유부(12a)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응축기 연결관(20)은 상부 케이스부재(11)에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냉매유입구(21)가 하측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냉매유출구(22)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부로 절곡 성형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압축기 연결관(30)은 하부 케이스부재(12)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여과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설치 구조의 일 예로, 예컨대, 하부 케이스부재(12)에는 너트(13)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압축기 연결관(3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너트(13)에 체결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압축기 연결관(30)이 너트(13)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압축기 연결관(30)이 하부 케이스부재(12)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응축기 연결관(20)도 압축기 연결관(30)과 동일한 구조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모세관(40)은 하부 케이스부재(12)의 내부에 삽입되는 환형 고정틀(41)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일단은 오일집유부(12a)에 모인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오일집유부(12a)의 바닥부에 근접 배치되고, 타단은 압축기 흡입측에 연결된다. 모세관(40)은 압력차에 의해 오일을 귀환시키는 것으로 그 길이에 따라 오일의 귀환량이 달라지는 바, 오일을 효과적으로 귀환시킬 수 있는 길이만큼 고정틀(41)에 감기게 된다. 모세관(40)의 바닥측 단부에는 메쉬구조의 여과망(42)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부재(12)에는 모세관(40)의 압축기측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43)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틀(41)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모세관 감김부가 갖추어지고,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판(44)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여과판(44)은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여과수단은, 압축기 연결관(30)의 내측 단부에 망형태로 설치되는 제1오일여과망(50), 상부 케이스부재(11) 내부의 제1오일여과망(50) 상측에 배치되는 수세미 형태의 제2오일여과망(60), 상기 제2오일여과망(60)과 응축기 연결관(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3오일여과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오일여과망(50)은 필요시 손쉽게 압축기 연결관(3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예컨대, 압축기 연결관(3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3오일여과판(70)은 직경이 대략 5㎜인 구멍(71a)이 다수개 천공된 여과판(71), 이 여과판(71) 상에 부착되는 메쉬구조의 여과망(7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는 응축기, 압축기 등과 함께 차체에 설치되는데, 차종에 따라 응축기, 압축기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응축기, 압축기의 위치가달라지게 되면 응축기, 압축기의 방향에 따라 오일분리기의 응축기 연결관(20), 압축기 연결관(3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오일분리기(100)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80)은 대략 디귿자 형태로 절곡 성형되어 상/하측의 고정부(81)에 각각 장공(8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오일분리기(100)는 상/하 케이스부재(11,12)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너트(14)가 설치되어 고정브래킷(80)의 장공(82)을 관통하면서 너트(14)에 체결되는 볼트(15)를 통해 고정된다. 오일분리기(100)가 볼트(15)를 체결하기 전에는 고정브래킷(80)의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 및 이동될 수 있으므로 오일분리기(100)를 회전 및 이동시켜 응축기 연결관(20), 압축기 연결관(3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응축기와 연결을 위한 배관을 최단거리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고정구조를 설명하면, 고정브래킷(80)을 볼트(83)로 차체에 고정하고, 오일분리기(100)를 상/하 고정부(81)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응축기, 압축기와 각 연결관(20,30)이 최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오일분리기(100)를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셋팅하고, 위치가 셋팅되면 각각 볼트(15)를 통해 오일분리기(100)를 고정브래킷(80)에 고정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에 의한 오일 분리과정을 설명한다.
압축기에서 고압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는 냉매순환관을 통해 오일 여과기의 압축기 연결관(30)에 유입된다.
압축기 연결관(30)에 유입된 냉매는 제1오일여과망(50)을 거쳐 케이스(10) 내부에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기체 냉매는 제1오일여과망(50)을 통과하게 되며, 액상의 오일과 이물질은 각각 점도와 부피가 있기 때문에 제1오일여과망(50)을 통과하지 못하여 제1오일여과망(50)에 묻어 있다가 중력에 의해 케이스(10) 바닥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1오일여과망(50)을 통과한 기체 냉매는 상측의 제2오일여과망(60)과 제3오일여과판(70)을 거친 후, 응축기 연결관(20)의 냉매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어 응축기측으로 공급된다. 기체 냉매가 제2오일여과망(60)과 제3오일여과판(70)을 통과하는 중에 냉매에 포함된 오일은 역시 제2오일여과망(60)과 제3오일여과판(70)에 묻게 되고, 이 후,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기체 냉매가 제2오일여과망(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2오일여과망(60)이 수세미 형태로 불규칙하게 얽힌 구조이기 때문에 기체 냉매가 제2오일여과망(60)을 일정한 방향성없이 통과하게 되어 규칙적으로 이루어진 구멍을 통과할 때보다 오일의 여과효과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제2오일여과망(60)을 통과한 기체 냉매가 제3오일여과판(70)의 여과판(71) 및 여과망(72)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어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 이물질의 대부분이 여과될 수 있다.
제1 및 제2오일여과망(50,60) 및 제3오일여과판(70)에 의해 기체 냉매에서 여과되어 하부로 떨어진 액상 오일은 여과판(44)을 통과하게 되고,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여과판(44)에 남게 되어 하부 케이스부재(12)의 오일집유부(12a)에는 오일만 모이게 된다.
오일집유부(12a)에 모인 오일은 모세관(40)을 통해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귀환되어 압축기를 윤활하게 된다. 이 오일은 모세관(40) 단부의 여과부재(42)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귀환된다.
한편, 오일 여과기 내부를 청소할 경우 케이스(10)를 분리하지 않고 압축기 연결관(30)을 돌려서 하부 케이스부재(12)에서 분리하여 케이스(10) 내부를 개방한 후, 압축기 연결관(30)이 설치되어 있던 구멍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오일여과망(50)에는 그 위치상 가장 많은 이물질이 걸리게 되어 수시로 청소, 교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제1오일여과망(50)의 나사체결을 해제하여 압축기 연결관(30)에서 분리한 후, 제1오일여과망(50)을 청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압송되는 기체 냉매에 포함된 오일이 제1 및 제2오일여과망(50,60) 및 제3오일여과판(70)을 통해 다단계로 여과되고, 각 오일여과부재(50,60,70)가 각각 특징을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체 냉매에 포함된 대부분의 오일, 이물질이 여과되어 응축기에는 기체 냉매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연결관(30)이 케이스(10)에서 분리 가능하여 압축기 연결관(30) 또는/ 및 응축수 연결관(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스(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오일분리기(100)를 고정브래킷(80)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오일분리기(100)와 응축기, 압축기의 연결을 위한 배관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여과판(44), 여과망(42)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에 의하면, 압축기에서 압송되는 기체 냉매가 다단의 오일여과단계를 거치게 되어 냉매로부터 대부분의 오일,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오일이 응축기 등의 냉각장치에 유입됨으로써 발생되는 열교환 효율의 저하, 압축기 수명 단축 등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연결관을 분리하여 오일분리기 내부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를 분리, 결합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또한, 오일분리기의 응축기 연결관, 압축기 연결관과 응축기, 압축기의 배관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제거된 오일을 압축기에 귀환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에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차례로 설치되며 응축기측 파이프와 압축기측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는 응축기 연결관(20)/압축기 연결관(30)과;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접하면서 타단부가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오일을 압축기측으로 귀환되도록 안내하는 모세관(40)과;
    상기 압축기 연결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메쉬구조의 제1오일여과망(50)과;
    상기 압축기 연결관과 응축기 연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세미 형태의 제2오일여과망(60)과;
    상기 제2오일여과망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3오일여과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일여과망은 상기 압축기 연결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오일여과판은, 다수의 구멍(71a)이 천공된 여과판(71) 및 이 여과판에 부착되는 메쉬구조의 여과망(7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너트(13)가 고정되며, 상기 압축기 연결관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31)사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 연결관이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응축기 연결관/압축기 연결관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에는 상기 오일여과망, 오일여과판을 통해 여과된 오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42), 여과판(44)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KR20-2002-0032376U 2002-10-30 2002-10-30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KR200303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76U KR200303479Y1 (ko) 2002-10-30 2002-10-30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76U KR200303479Y1 (ko) 2002-10-30 2002-10-30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517A Division KR100498638B1 (ko) 2002-10-30 2002-10-30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479Y1 true KR200303479Y1 (ko) 2003-02-06

Family

ID=4940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76U KR200303479Y1 (ko) 2002-10-30 2002-10-30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4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62A (ko) 2017-11-08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젖음성 냉동기유 분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5418A (ko) * 2018-01-10 2019-07-18 성동공조 주식회사 장배관용 냉방 시스템
CN111255658A (zh) * 2020-03-20 2020-06-09 福州市虚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压缩机的内置立式油分离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62A (ko) 2017-11-08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젖음성 냉동기유 분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5418A (ko) * 2018-01-10 2019-07-18 성동공조 주식회사 장배관용 냉방 시스템
KR102046311B1 (ko) * 2018-01-10 2019-11-19 성동공조 주식회사 장배관용 냉방 시스템
CN111255658A (zh) * 2020-03-20 2020-06-09 福州市虚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压缩机的内置立式油分离器
CN111255658B (zh) * 2020-03-20 2024-02-20 福建雪人压缩机有限公司 一种用于压缩机的内置立式油分离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922131T3 (en) Samlende filterorgan med en drænmekanisme
JP3249117B2 (ja) 冷却装置を低容量運転させるためのオイル回収装置
MXPA05002848A (es) Deposito-secador para mejorar la eficiencia del ciclo de refrigeracion.
US20150143826A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refrigeration
JP2004524497A (ja) 蒸気及び液体を排出する装置及び方法
TW202338274A (zh) 節能器及包括該節能器之製冷系統
KR100498638B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KR200303479Y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CN203824147U (zh) 氟利昂多机头并联高效油分桶泵组合制冷机组
KR100194146B1 (ko)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KR100671848B1 (ko) 냉각장치용 오일분리기
KR20070013409A (ko) 냉동장치의 기액분리장치
CN2746970Y (zh) 冷冻式干燥机
KR100819015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 분리기
KR200303998Y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JP6945202B2 (ja) サイクロン式冷凍装置および該サイクロン式冷凍装置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219647125U (zh) 一种气体过滤干燥设备
KR200338071Y1 (ko) 냉각장치용 오일분리기
CN200965379Y (zh) 高效立式油气分离器
CN212390663U (zh) 一种制冰机用多功能套筒结构
KR100542150B1 (ko) 오일분리기
JPH0541318Y2 (ko)
US11353250B2 (en) Vertical oil separator
Majgaonkar et al. Review of oil separation technologies used in refrigeration systems
EP2823243A1 (en) Cooling system and a method for separation of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